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오사이트로서 석회동굴의 지형적 특성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caves as a Potential Geosite

경관과 지리
약어 : JAKPG
2011 vol.21, no.1, pp.45 - 55
DOI : 10.35149/jakpg.2011.21.1.005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사진지리학회
151 회 열람

카르스트 지형 지오파크 조성을 위해서는 그 지오사이트에 해당하는 석회동굴에 대한 지형·지질학적 연구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이 창조되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9개 석회동굴의 스펠레오뎀을 중심으로 각 동굴의 특징적 지형을 파악하였다. 고수굴, 노동굴, 온달굴은 휴석과 휴석소가 전형적으로 발달한 동굴이다. 천동굴에는 전형적인 종유관이 형성되고 있고, 고씨굴에는 동굴벽에 동굴산호가 잘 발달해 있다. 환선굴과 대금굴에는 거대하고 기형적인 석순과 종유석이 성장하고 있고, 특히 환선굴에는 대규모 동굴퇴적물이 존재한다. 성류굴에서는 석순과 종유석이 물에 잠긴 경관이 관찰되어 동굴발달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천곡동굴은 유일하게 시가지에 발달한 동굴로서 접근성이 높다. 기존의 자연학습관과 인근의 돌리네와 우발라를 연계시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이곳은 훌륭한 카르스트지형 학습장소가 될 것이다.

To create Karst Topography Geopark, a topographic and geological study should be initiated on the limestone caves corresponding to the Geosite, and storytelling should be cre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ought to accomplish thi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topographies of 9 limestone cav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speleothem of each. Gosugul, Nodonggul and Ondalgul were found to have developed rimstone and rimstone ponds. Typical straw stalactites are well developed in Cheondonggul, while Gossigul features a wall with cave coral. Huge and typical stalagmites and stalactites grow in Hwanseongul and Daegumgul, with an especially large cave deposit in Hwanseongul. In Seongryugul, stalagmites and stalactites submerged in water have been observed, which helps explain the history of the cave? development. Cheongokdonggul is the only developed one in an urban setting, which allows high accessibility. If a program where the existing nature study hall, neighboring doline and uvala were linked, this would be a good Karst topography study site.

지오파크, 지오사이트, 스토리텔링, 석회동굴, 스펠레오뎀
Geopark, Geosite, Storytelling, Limestone cave, Speleothem

  • 1. [단행본] (사)한국지구과학회 / 2009 / 가족이 함께 떠나는 주말지질여행 / 이치사이언스
  • 2. [단행본] 권동희 / 2010 / 한국의 지형 / 한울 아카데미
  • 3. [단행본] 권혁재 / 2004 / 지형학 / 법문사
  • 4. [단행본] 김주환 / 2010 / 기후지형학 / 동국대학교 출판부
  • 5. [학술지] 김창환 / 2009 /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 한국지형학회지 / 16 (1) : 57 ~ 1 kci
  • 6. [단행본] 서무송 / 1996 / 한국의 석회암지형 / 세경자료사
  • 7. [단행본] 서무송 / 2010 / 카르스트지형과 동굴연구 / 푸른길
  • 8. [단행본] 손영운 / 2009 /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답사기 / 살림
  • 9. [단행본] 양승영 / 2001 / 지질학사전 / 교학연구사
  • 10. [단행본] 우경식 / 2004 / 동굴 / 지성사
  • 11. [학술지] 전영권 / 2009 / 지오투어리즘과 교육적 활용을 위한 문화지형의 발굴과 스토리텔링 구성 : 만어사와 반야사를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19 (4) : 107 ~ 4 kci
  • 12. [학술지] 전영권 / 2010 /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 한국지형학회지 / 17 (4) : 53 ~ 4 kci
  • 13. [학술지] 정필모 / 2010 /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분석 / 한국지형학회지 / 17 (2) : 77 ~ 2 kci
  • 14. [단행본] 한국지리정보연구회 / 2004 / 개정판 자연지리학사전 / 한울아카데미
  • 15. [학술지] 홍시환 / 1975 / 한국의동굴 / 지리학회보 / 13 : 8 ~
  • 16. [단행본] 홍시환 / 1979 / 한국의 자연동굴 / 금화출판사
  • 17. [단행본] 홍시환 / 1995 / 한국의 동굴 / 대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