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219.206
18.188.219.206
close menu
KCI 등재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맞춤형 다학제간 근거기반 상담 적용 및 활용방안: 내레티브 노출치료(Narrative Exposure Therapy: NET)를 중심으로
Application of customized interdisciplinary evidence based counseling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with PTSD: Focused on Narrative Exposure Therapy(NET)
박진아 ( Park¸ Jinah )
DOI 10.34244/JFOYS.2019.16.3.51
UCI I410-ECN-0102-2022-300-000539041

본 연구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Stress Traumatic Disorder: PTSD) 맞춤형 다학제간 근거기반 상담 적용 모델 제안 및 추후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전쟁 및 국가분쟁으로 인한 생명의 위협, 탈출, 고문 및 난민 생활로 인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폭력 관련 외상 사건을 경험한 생존자 대상 PTSD 치료에 효과적인 근거기반 상담개입으로 검증된 내러티브 노출치료(Narrative Exposure Therapy: NET)를 중심으로 북한이탈 청소년 PTSD 맞춤형 근거기반 상담 모델을 제안하였다. 둘째, 추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북한이탈 청소년 PTSD 맞춤형 근거기반 상담 모델 적용을 위해 북한이탈 청소년 전문가로 구성된 다학제간 협력 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더 나아가 북한이탈 청소년 PTSD 맞춤형 상담전문가 양성 및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TSD 치료전문가, 청소년상담전문가, 정신건강의학전문가 및 교육전문가의 다학제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 구축 및 전문가 양성과 재교육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 청소년 PTSD 맞춤형 근거기반 상담 적용 및 효율적인 정책 마련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ustomized interdisciplinary evidence based counseling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with PTS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stomized evidence based counseling model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with PTSD based on Narrative Exposure Therapy(NET) was proposed. NET has been known as the evidence-based PTSD intervention for survivors experienced continuous and repetitive violent traumatic events due to life threat, escape, torture and refugee life due to war and national disputes. Second,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system consisting of experts from North Korean refugee youth was proposed to apply the PTSD customized evidence-based counseling model based on NET for North Korean youth refugee.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establishment, application, training and re-education process of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among PTSD therapists, North Korean youth refugee counseling specialists, psychiatrist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for North Korean youth refuge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ningful basic data for applying the customized interdisciplinary evidence based counseling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with PTSD and establishing the effective policy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Ⅰ. 서론
Ⅱ. 북한이탈 청소년 PTSD 현황 및 상담 개관
Ⅲ. 북한이탈 청소년 PTSD 맞춤형 근거기반 상반프로그램(NET)
Ⅳ. 북한이탈 청소년 PTSD 맞춤형 다학제간 상담서비스 시스템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