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주요 ODA 사업에 대한 성 인지적 관점의 평가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der-sensitive Evaluation on South Korea's ODA Projects

여성연구
약어 : 여성연구
2015 vol.88, no.1, pp.281 - 325
DOI : 10.33949/tws.2015.88.1.008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분야 : 여성학
Copyright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9 회 열람

OECD/DAC은 국제개발에 있어서 공여국들의 성평등 원조를 권고하고 이를 얼마나 예산에 반영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젠더마커를 활용하고 있다. 사업의 내용과 대상에 있어서 그 사업이 얼마나 여성의 역량강화와 성평등에 기여했는가를 보는 것이다. 한국은 OECD/DAC에 가입한 이후 곧바로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을 제정하였는데, 제정당시 한국의 ODA의 목적에 성평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같은 기본법의 정신이 여성대상 사업이 아닌 일반사업에서 얼마나 잘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주요 ODA 분야 4개 사업을 선정하여 성인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얼마나 성인지 관점이 반영되고 있는지, 성인지 관점이 반영되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ODA 사업에 왜 성인지 관점이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성인지 관점의 평가는 ODA 사업의 최종 수혜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분석이며 사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주민 남녀들의 역학관계에 대한 분석이므로, 성평등 달성의 목적 뿐 아니라 사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유용한 이해관계자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첫째, 성평등 이슈는 현지의 여건과 니즈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수원국과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초기부터 통합해야 한다는 것, 둘째, 한국은 ODA 사업 시행에 있어서 이같은 성평등 원조와 관련한 지침과 가이드라인은 있으나 이것이 세부적으로 사업기획에 반영되지 않았고, 중범위 수준의 지침이 실행단계로 연결되기 위한 조직차원의 장치가 더 필요하다는 것, 셋째, 한국의 성평등 원조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정책결정자 수준에서 정치적 합의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and how much gender perspectives have been reflected in ODA projects in four focus areas (education,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 rural development and health)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urthermore, it attempts to explore why gender perspectives are not fully reflected in some projects, and it also explains why gender perspectives need to be reflected in the ODA projects.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 has made efforts to encourage its member countries to increase aid in support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s an effort, it introduced gender equality policy marker to see how much budget each member country spends for aid focused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every year. By doing so, it attempts to evaluate and monitor member countries’ commitment to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Right after joining the OECD DAC, South Korea also legislated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ere achieving gender equality was set out as one of the basic ideologies of South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Evaluating a development project in a gender perspective is a process to examine its final beneficiaries and the gender relations of a targeted community. In this regard, it is to do with an analysis on various stakeholders of a project in order to not only achieve gender equality but als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mplement the project. This paper finds out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has developed some policies and guidelines on aid in support for gender equality but these policies and guidelines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projects examined in this study.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institutional mechanism is required to make the policies and guidelines fully reflected in practice, and it is also noteworthy that a gender-sensitive projects can be also driven by a recipient country. Furthermore, it finds out that political will is also very important to expand gender-focused ODA projects in Korea.

ODA 평가, 성분석, 직업훈련, 도로교통(인프라), 농촌개발, 모자보건
Evaluation of ODA, Gender analysis, education and job training, trasportation and infrastructure, rural development, maternal health

  • 1. [기타] 관계부처합동 / 2010 /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 / 제7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7-1호)
  • 2. [기타] 관계부처합동 / 2010 / 분야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011~ 2015) / 제8차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8-1호)
  • 3. [기타] 관계부처합동 / 2012 / 필리핀 국가협력전략(2012-2016)
  • 4. [기타] 농림축산식품부 / 2011 / 2011년(제2차년도)필리핀 농촌개발 사업
  • 5. [보고서] 김은경 / 2011 / 제4차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H LF-4)논의주제에 대한젠더관점 의제 개발
  • 6. [기타] 관계부처합동 / 2012 / 필리핀 국가협력전략(2012-2016)
  • 7. [보고서] 교통연구원 / 2013 / 캄보디아 3번국도 개보수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 8. [보고서] 김은경 / 2014 / 성인지 관점에서의 ODA 사업 평가 연구
  • 9. [기타] 오은정 / 2011 / KOICA 성 주류화 가이드라인 / 한국국제협력단
  • 10. [보고서] 오은정 / 2013 / KOICA 성 평등 개발협력사업 방안
  • 11. [보고서] 이영현 / 2013 / 직업훈련 프로그램 종합평가 : 베트남을 중심으로(최종보고서)
  • 12. [보고서] 채재은 / 2013 / 베트남 교육분야 개발협력 방안 : 직업교육훈련을중심으로
  • 13. [기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2013 / 필리핀 농촌개발 사업 사업계획서
  • 14. [보고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 2011 / 캄보디아 보건의료지원사업 출장 보고
  • 15. [보고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 2013 / 2013년도 캄보디아 통합 모자보건증진사업추진계획(안)
  • 16. [보고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 2014 / 2014년도 캄보디아 통합 모자보건증진사업 추진계획(안)
  • 17. [보고서] 한국국제협력단 / 2009 / 한-베트남 산업기술학교 2차 지원사업 종료평가결과보고서
  • 18. [보고서] 한국국제협력단 / 2011 / 한-베 산업기술학교 2차 지원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 19. [기타] 한국농어촌공사 / 2013 / 필리핀 농촌개발사업 사업계획서 / 내부자료
  • 20. [보고서] 한국농어촌공사 / 2013 / 필리핀 농촌개발사업 준공식 참석 및 현장점검결과보고
  • 21. [보고서] 허라금 / 2010 / KOICA 사업의 성 주류화 방안
  • 22. [기타] AUSAID / 1998 / Guide to Gender and Development
  • 23. [기타] AUSAID / 2011 / Promoting Opportunities for all-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 Thematic Strategy November 2011
  • 24. [보고서] Cambodia Ministry of Health Battambang Provincial Health Department / Report of community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upporting by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 Care (KOFIH)
  • 25. [단행본] CIDA / 2010 / CIDA’s framework for Assesing Gender Equaltiy Results / CIDA
  • 26. [기타] CIDA / 2010 / Gender Equality Action Plan : 2010-2013 / CIDA
  • 27. [기타] CIDA / 1997 / Guide to Gender Sensitive Indicators / CIDA
  • 28. [단행본] FAO / 2005 / Women in Agriculture, Environment and Rural Production / FAO Fact Sheet Philippines
  • 29. [기타] GIZ / 2012 / GIZ Gender Strategy
  • 30. [기타] JICA / 2008 / Philippines: Country Gender Profile
  • 31. [기타] GTZ / 2006 / Impacts on Gender Equality in Development Cooperation
  • 32. [단행본] JICA / 2007 / Trends and Approaches on Gender and Development / JICA
  • 33. [보고서] KWDI / 2014 / Policy Review on Vocational Training from Gender Equality Perspective: Final Draft
  • 34. [단행본] Momsen, Janet Henshall / 2004 / Gender and Development / Routeledge
  • 35. [학술지] Moser. C. / 2010 / Gender Mainstreaming since Bejing: A Review of Success and Limitations in International Institutions / Gender and Development / 13 (2) : 11 ~ 2
  • 36. [단행본] Molund, S. / 2007 / Looking Back, Moving Forward : SIDA Evaluation Manual / Swedish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 37. [단행본] OECD / 2004 / Aid in Support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Donor Charts / OECD
  • 38. [단행본] OECD / 2012 / Skills Development Pathway in Asia / OECD
  • 39. [보고서] PCW / 2014 / Plan Framework of Philippine Plan for Gender-Responsive Development 1995-2025
  • 40. [기타] PCW / 2014 / Filipino Men and Women Fact Sheet 2014
  • 41. [단행본] SIDA / Gender Equality in Practice. A Maual for SIDA / Swedish Intern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 42. [인터넷자료] SDC / Gender Analysis
  • 43. [단행본] Seoul National University / 2012 / Developing a program o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in Battambang Province / KOFIH
  • 44. [인터넷자료] / CIDA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