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 남성 사무직 종사자가 갖는 결혼가치관과 이러한 결혼가치관 형성에 관련된 경험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2017)에서 제시한 한국표준직업분류표의 ‘사무종사자’에 해당하는 미혼 남성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혼 남성 사무직 종사자들의 결혼가치관은 안정적·낭만적 가치관과 소극적·배타적 가치관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결혼가치관의 형성과 관련된 긍정적인 경험은 ‘행복한 가정에 대한 동경’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련된 부정적인 경험은 ‘불안한 고용시장에서 고군분투하기’와 ‘평생 불가능한 내 집 마련의 꿈’, ‘타인에 의해 저울질 되는 나의 결혼’으로 도출되었다. 심층면담 분석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이러한 경험은 결혼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혼 남성을 대상으로 결혼과 가정에서 오는 긍정적 가치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청년세대의 결혼 및 출산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rriage values of unmarried male office workers and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forming these marriage values. For this purpose, eight unmarried males who were classified as "clerks" in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The marriage values of unmarried male office workers were found to coexist with stable and romantic values, negative values, and exclusive valu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ositive experienc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marriage values appeared as "longing for a happy family". In addition, negative experiences related to this were derived from "struggling in an uneasy employment market", "dream of making a home impossible for a lifetime", and "my marriage being weighed by others".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the marital value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for unmarried men to raise awareness of the positive values coming from marriage and family. In conclusion, it has a significance as basic data for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raise the marriage and childbirth intention of young genera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rat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6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