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 근대 문학사에서 이광수가 중요한 위치에 놓인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불교와 이광수 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 역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근대의 제 학문에 대한 이광수의 광범위한 지적 편력 내에서 불교의 위치를 가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이에 식민지 후반기, 황도불교, 전근대 불교, 친일문학, 불교문학 등에 입각한 이광수 문학에 대한 환원주의적 시각이 강한 설득력을 얻어왔다.
하지만 식민지 후반기 이광수의 불교 사상이 이광수가 일제의 신체제 논리에 따르기 전에 형성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 선상에서 이 글은 ‘불교와 이광수’의 도구적 관계성, 즉 불교를 계몽적 기획에서 변질된 친일담론의 기반, 피식민지 작가의 방어기제 등으로 설명하는 것과 다른 방향에서 수행하였다. 이광수는 1920년대부터 불교를 소재로 삼은 문학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식민지 현실 속의 한국 불교의 정신과 근대 문학의 이념이 혼합되어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세속화(profanation) 개념과 함께 ‘이광수의 불교’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의 의미를 새롭게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박한영의 근대적․세속적 불교 사상을 이광수가 수용한 불교의 방법으로 보고 『금강산유기』(1924)를 살펴보았다. 둘째, 불교와 세속화의 관계를 확장하여 「길놀이」(1939)와 「난제오」(1940)를 독해하였다. 셋째, 앞서의 작업들을 바탕으로 『원효대사』(1942) 속 원효의 파계의 의미와 그 사상적․윤리적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이 글에서는 이광수가 수용한 불교가 작가에 의해 문학적․불교적 좌표공간에 어떻게 배치되는가를 확인하였다.

Lee Gwang-su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teady discussions have been ha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his literature. It is a difficult task to discuss the status of Buddhism within the modern academic framework and its relevance to the writer’s literature. A perspective that focused on Buddhism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notion of impossibility in Lee Gwang-su’s works gained a strong persuasive power in explaining literature that germinated from the political conditions of the time.
However, a new approach is needed since the writer’s Buddhist philosophy during the late colonization period was formed before he accepted the new Japanese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n angle that is different from explaining an instrumental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Lee Gwang-su, that is, explaining Buddhism as a foundation for pro-Japanese discourse-changed from an initial plan for enlightenment―or as a defense mechanism of colonial writers. Lee Gwang-su began to write works with Buddhist themes from the 1920s. Works from this period blended the spirit of Korean Buddhism amid the colonial reality, as well as ideology of modern literatu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Buddhism as was embraced by Lee Gwang-su, along with the concept of profanation. The purpose is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Buddhist ideas as shown in the writer’s works. Three tasks were undertaken to this end. First, we regarded that Lee Gwang-su embraced modern and profane Buddhist philosophy of Park Han-young, and examined “Geumgangsanyugi”(1924) accordingly. Second, exp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profanation, we analyzed ‘Gilnori’(1939) and ‘Nanjeo’(1940). Third, based on these, we investigated the meaning of renunciation of Buddhist priest Wonhyo as described in “Wonhyodaesa”(1942) as well as its philosophical and ethical nature. By doing so, we examined how the writer put Buddhism as he embraced on literary and Buddhist coordinate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박한영 혹은 이광수가 수용한 불교의 방법-『금강산유기』
3. 세속화의 상상과 그 한계-「길놀이」, 「난제오」
4. 원효의 파계와 ‘증상만(增上慢)’의 윤리-『원효대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810-000586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