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62.103
3.139.62.103
close menu
KCI 등재
구비설화 <효불효다리>에 대한 문학치료적 반응과 자녀서사 유형
A Study of the Patterns of Literary Therapeutic Reaction to ‘Bridge and Mother’ and the Narrative Types of Son & Daughter
박재인 ( Park Jai In )
인문과학 75권 5-37(33pages)
DOI 10.31310/HUM.075.01
UCI I410-ECN-0102-2021-000-000593046

이 글은 문학치료에서 말하는 자녀서사의 발달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구비설화 <효불효다리>의 활용 방안을 구안하고,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논의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효불효다리> 설화의 전승 양상과 문학치료 현장의 반응 양상들을 종합하여, <효불효다리>를 통해 본 자녀서사를 ‘(1) 부모의 성공적인 욕망 추구와 행복의 이야기, (2) 부모의 욕망추구가 나타나지 않는 이야기, (3) 부모의 욕망 추구가 실패하고 부모가 처벌되거나 자녀가 좌절하는 이야기, (4) 부모의 욕망 추구는 성공하고 자녀는 안전하지만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회복되지 않는 이야기’로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건강한 개체화 ‘분리와 연결’개념을 활용하여, <효불효다리>가 어떠한 문학치료적 특장을 지닌 작품인가를 확인하였고, 자녀서사의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효불효다리>를 통한 자녀서사를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첫째, 부모의 욕망 추구와 그에 대한 자녀의지지, 그리고 부모와 자녀의 행복과 성장 등을 서사적 전개의 중요 분기점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내담자가 어떤 경로의 서사를 선호하는가를 통해 4가지 유형으로 자녀서사를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아들들의 다리 놓기’, ‘아들들의 북두칠성 되기’ 화소의 상징적 의미를 내담자가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분리와 연결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으로 한 고등학교에서 진행한 문학치료 활동 사례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동화 창작물을 대상으로, 자녀서사의 양상을 구분하고, 분리와 연결을 기준으로 그 서사의 발달정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각 화소가 동화 창작물에 어떻게 구현되는가에 따라 자녀서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narrative patterns of son and daughter from a literary therapeutic point of view. It has discussed how to utilize the folk tale “Bridge and Mother” and apply it to the actual analysis. Taken together, with regard to the styles of transmission and the patterns of literary therapeutic reaction, there are four different narrative types in total. These types include all of the probabilities of reactions that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counseling based on literature therapy. In addition, the concept of connectedness and separateness can be applied to analyzing the story of son and daughter. It is the core element of the ‘individuation’ theory in psychology. It i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this, I have confirmed the literary therapeutic feature of this story and set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tory of son and daughter. Finally, the validity of this assessment was reviewed while analyzing actual field cases.

Ⅰ. 서론
Ⅱ. 문학치료 진단도구로서의 <효불효다리>
Ⅲ. 청소년의 동화창작 활동과 자녀서사 유형 분석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