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35.203
3.146.35.203
close menu
KCI 등재
일의 문화적 의미와 기술혁명 시대
The Meaning of the Work and the 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김종규 ( Kim Jong Gyu )
인문과학 71권 5-35(31pages)
DOI 10.31310/HUM.071.01
UCI I410-ECN-0101-2019-000-001001939

인간은 일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세계를 구축해왔다는 점에서, ‘일’은 근본적으로 문화적 행위이다. 이 같은 일의 공적 의미는 근대와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붕괴되었고, 이로써 인간의 제작 활동은 도구를 사용하는 행위로 제한되었다. 도구가 생산의 수단이자 하나의 상품으로 전환됨으로써 ‘호모 파베르’ 역시 문화적 존재로서의 이해 가능성이 극단적으로 위축되어왔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혁명은 이중적으로 이해된다. 그 하나는 인간의 일을 더 이상 사적 영역에 귀속될 수 없게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인간 활동을 극단적으로 위축시키는 것이다. 이 둘은 사실 별개의 것이 아니며, 이러한 점에서 인간에게 위기이나 그와 동시에 기회이기도 하다. 이것이 기회이기 위해서는 근대 이후 인간 일의 의미왜곡에 대한 추적과 비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기술혁명 시대에 조응할 수 있는 인간 일의 의미와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타진될 수 있다.

Human work is the fundamental cultural activities in that human beings have built their own unique cultural world through the work. This public meaning of the work collapsed in the wak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fter which human production activities have been restricted to those using tools. As a result, Homo faber was reduced to a tool-using man, rather than a tool-making man, and the cultural meaning of the Homo faber has become extremely narrow. In this process, the new technological revolution is understood from the two standpoints. One is that human work is no longer attributable to the private realm, and the other is the boundary of human activities has been extremely restricted. These two are not separate facts, and in this respect they are both a crisis to man and an opportunit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ke this an opportunity, it is necessary to pursue and criticize the meaning of human work that has been distorted since the modern era, and to examin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human work that can cope with the age of new technological revolu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제작하는 존재로서의 인간
Ⅲ. 인간의 제작 활동이 갖는 인간학적 의미
Ⅳ. 호모 파베르(homo faber)의 왜곡과 기술혁명
Ⅴ. 결론 및 제언 - 4차 산업혁명과 일의 의미변화 가능성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