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한국사회는 여러 형태의 다인종․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장애이동의 경우 그 가족은 물론 아동이 겪는 어려움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교육 지원은 이제 한국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머지않은 장래에 한국은 분명히 다문화 사회가 도래하게 될 것이고 이를 위한 준비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장애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심과 배려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이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에 대한 지원 역시 일반 다문화가정 아동의 지원 맥락에서 교육지원 방안의 흐름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미국, 호주,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어온 역사적, 사회적 관점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요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장애아동 교육지원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장애아동 교육지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문화 관련 선행연구, 통계자료, 정책 보고서 등 문헌 조사를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장애자녀의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중재가 필요하다. 각국의 다문화교육 정책과 장애아동 교육지원은 아동의 조기적응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책임 있는 공공기관의 담당자를 사례 관리자로 두고 발달지체 위험 아동이 조기발견과 중재가 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의 부모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과 상담, 관련 교육기관을 홍보하고 연계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안정이 장애자녀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 각국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정책에서 볼 수 있듯이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효과를 위해서는 장애아동가족에 대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안정과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비용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지원을 위한 체계적이고 단일화 된 종합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의 장애자녀에 대한 상담, 의료, 복지,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 각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그 중심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각국은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해 다양한 다문화이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사와 부모와의 상담,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다문화 이해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본다.

키워드

다문화가정 교육정책, 국제비교, 장애아동.

참고문헌(32)open

  1. [학술대회] 곽숙희 / 2006 / 다문화 사회 교육의 인식 전환 / 국제이해교육 포럼 자료집

  2. [단행본] 곽한영 / 2008 / 비교다문화 정책론, 일반교사 다문화교육 연수 자료집 / 중앙교육문화센터 : 91 ~ 110

  3. [학술지] 김미나 / 2009 / 다문화 사회의 진행 단계와 정책의 관점: 주요국과 한국의 다문화정책 비교 연구 / 행정논총 47 (4) : 193 ~ 223

  4. [학술지] 김선미 / 2000 /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사회적 적용에 따른 문제 / 사회과교육학연구 4 : 63 ~ 81

  5. [학술대회] 김성재 / 2006 / 다문화 사회에서의 국제이해교육 / 제7차 국제이해교육 학술대회자료집 : 64 ~ 74

  6. [학위논문] 김아영 / 2006 /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7. [학술대회] 김현덕 / 2007 /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 / 2007년도 제2차 국제이해교육 포럼 자료집 : 2 ~ 13

  8.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 교육인적자원부 : 1 ~ 29

  9. [학술지] 박성혁 / 2009 / 다문화교육정책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 모색 / 시민교육연구 41 (2) : 97 ~ 127

  10. [학술지] 이로미 / 2010 / 다문화국가 이민자 정착 정책 및 지원 서비스 분석: 미국과 캐나다 사례를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 14 (1) : 179 ~ 208

  11. [학술지] 이용승 / 2004 / 호주의 다문화주의 / 동아시아연구 8 : 177 ~ 205

  12. [학술지] 이용승 / 2007 / 독일의 다문화 가족 정책 / 민족연구 31 : 113 ~ 213

  13. [학술지] 이은송 / 2010 / 일본의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연구: 이문화교육에서 다문화공생교육으로 / 교육철학연구 13 (49) : 133 ~ 154

  14. [학술지] 이 진 석 / 2007 / 호주의 다문화 교육 전개과정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7 (3) : 21 ~ 32

  15. [인터넷자료] 설동훈 / “다문화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포럼자료집

  16. [학술지] 선영애 / 2009 / 다문화교육 활동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0 (3) : 305 ~ 319

  17. [학술지] 신수진 / 2011 / 다문화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2 (1) : 299 ~ 328

  18. [학술지] 장흔성 / 2007 /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자산 다문화 가정 / 사회과학논총 6 : 31 ~ 41

  19. [학술지] 장인실 / 2006 /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연구 24 (4) : 27 ~ 53

  20. [학술지] 전재영 / 2011 / 다문화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적 접근 / 초등도덕교육 (35) : 29 ~ 54

  21. [보고서] 조영달 / 2006 / 다문화 가정교육 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서 : 1 ~ 348

  22. [학위논문] 양영자 / 2008 /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탐색

  23. [단행본] 이태주 / 2008 / 다문화 사회의 이해 / 동녘

  24. [보고서] 윤희원 / 2006 / 다문화 가정 지원 우수 사례 연구 : 1 ~ 13

  25. [보고서] 행정안전부 / 2010 / 201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계주민 현황

  26. [학술지] 홍원표 / 2008 /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 교육원리연구 13 (2) : 89 ~ 113

  27. [학술대회] Kim, H.J / 2011 / Reality of Multicultural Homes in Korea and Ways of Supporting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The 20th Asian Conference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 119

  28. [학술지] Bennet, C / 2001 / Genres of research in multicultural education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1 (2) : 171 ~ 217

  29. [기타] Desmond, C / 2001 / The Rise and Fal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Australian Schooling System / Carl A. Grant, Joy

  30. [단행본] L. LEI / Golbal 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Lawrence erlbaun associates / publishers Mahwah, New Jersey

  31. [단행본] Eitzen, D.S / 2000 / Social Problems, 8th ed / MA: Allyn and Bacon

  32. [단행본] Sleeter, C.E / 2003 /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s to race, class and gender, 2nd ed / New York: John Wiley and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