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투표참여는 대의정부에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정치참여이지만, 2018년 전국동시선거에서 투표율은 60.2%로 높지 않다. 낮은 투표율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유권자 개인적 선택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투표참여는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s) 속의 개인들이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하는 사회적 압력(social pressure)의 산물이기도 하다. 1950~60년대 미국 투표행태 연구자들이 주목한 가족, 친구, 동료 사이의 동질화(homogeneity) 효과와 정치사회화가 대표이론이다. 또한 2000년대 사회자본이론이 제시하고 있는 바람직한 규범으로서의 투표참여 역시 사회연결망의 효과를 강조한 이론이며, 2012년 동료연결망(peer networks)에 영향을 받는 사회적 시민(social citizen)이론도 같은 맥락이다.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시점에 한국 유권자의 투표참여 결정에서도 사회관계요인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밝히기 위해, 423개 서울시 행정동 집합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거형태가 이질적이고 부동산 거래가격 분산이 큰 행정동일수록 투표율이 낮았다. 사회관계의 이질성이 클수록 사회연결망에 의한 투표 동원효과는 감소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투표참여는 개인의 선택이면서 동시에 가족이나 친구와 맺는 사회관계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While voting is the source of democratic legitimacy of representative governments, the turnout rate of 2018 Korea Local Election is only 60.2%. Why low is it? Not only is voting results from the individual’s choices, but it also origins from the social networks which individuals construct with family members, friends, and peers. From the beginning of voting behavior studies, scholars have theorized mechanisms of social networks effects in voting, such as homogeneity effect, political socialization. In the 2000s, a social capital theorist insisted on the influences of social networks on citizen behaviors. And another theorized the peer networks effects and social citizen. We analyze the 2018 Seoul Mayor election turnout in the ward-based unit and report that the more heterogeneous ward is, the less is turnout. Voting turnout could be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social networks that voters make. Voter participates in voting not so much because of who he is, but because of the networks and pressure he make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III. 분석 방법
IV.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46-00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