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data to help foster expertise for consultants as well as to improve quality of care by identifying areas of improvement in daycar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consulting based on experiences of consultants.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eight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were appointed by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n area A and B to serve as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consultants. Semi-structured interviews based on a discussion guide were conducted twice with each participant. Materials from interview sessions and summary of results were collected, transcribed, classified, and analyzed. This research found that consultants regularly participate in various consultant education and training sessions. They are also making efforts on their own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ir skills and competencies. They provide individual support to daycare centers by providing specific examples or guidance on updates to evaluation criteria,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childcare providers facing challenges at work. They try to use discretion in word choice when writing the report. Although consulting compensation is considered appropriate as volunteer service given specified hours required, they express the need to adjust the compensation based on required level of expertise, time, effort, and distance to travel. In conclusion, systematic and specialized training sessions to develop their expertise are needed to resolve challenges faced by them. Centralized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standardized consulting materials are needed to minimize challenges during consulting and to provide professional and objective consulting.

키워드

Childcare accreditation, consulting, consultant

참고문헌(23)open

  1. [인터넷자료] 국무총리실 / 만 5세 어린이 교육·보육, 국가가 책임진다

  2. [학위논문] 김동례 / 2007 /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3. [단행본] 김영천 / 2006 / 질적연구방법론 I / 문음사

  4. [학위논문] 김용년 / 2014 /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위한 현장 지원 컨설팅에서 컨설턴트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5. [학술지] 남미경 / 2008 /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의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생태유아교육연구 7 (3) : 25 ~ 45

  6. [학술지] 남미경 / 2010 /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조력체제 개발 / 생태유아교육연구 9 (1) : 1 ~ 26

  7. [학위논문] 박성경 / 2013 / 어린이집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8. [단행본] 보건복지부 / 2014 / 2014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팅 관리 매뉴얼 / 보건복지부

  9. [보고서] 서문희 / 2013 / 어린이집의 질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제도 중장기 개편방안

  10. [학위논문] 서은총 / 2012 / 평가인증 방문조력가의 경험이야기

  11. [학술지] 심성경 / 2006 /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참여교사의 인식비교 / 유아교육학논집 10 (2) : 75 ~ 94

  12. [학술지] 양옥승 / 2000 /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인증제개발연구 / 아동학회지 21 (4) : 177 ~ 196

  13. [학위논문] 엄유미 / 2017 / 육아종합지원센터 평가인증 컨설턴트 교육에 대한 컨설턴트의 인식 및 지원요구

  14. [학위논문] 유정희 / 2015 /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팅 현장지원에 대한 문제점 분석

  15. [학위논문] 정나나 / 2013 / 보육정보센터의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팅 현황 및 컨설턴트 인식 조사

  16. [단행본] 정석기 / 2015 / 수업컨설팅의 이해와 적용 / 박영사

  17. [학위논문] 조민순 / 2016 / 평가인증 컨설턴트의 전문성 및 컨설팅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경험의 연구

  18. [학위논문] 조영자 / 2006 /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 인증시설과 비인증시설 비교연구

  19. [학위논문] 채혜선 / 2009 /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20. [학술지] 최종미 / 2015 / 어린이집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턴트의 활동 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 (1) : 73 ~ 96

  21. [학술지] 황옥경 / 2007 / 보육시설평가인증 조력 현황분석 및 조력체계 개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3 (2) : 123 ~ 146

  22. [학술지] 황해익 / 2012 / 보육교사의 보육컨설팅에 대한 인식, 요구도 및 활성화 방안 / 교육혁신연구 22 (1) : 47 ~ 66

  23. [학술지] 황해익 / 2012 /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16 (3) : 187 ~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