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평전이란 말은 일본의 신조어이지만, 1980년대 이후 중국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한 인물의 일생을 단순히 객관적으로 서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논평의 뜻을 부각시킨 전기물을 평전이라 부른다. 전기에 논평이 첨부되면 객관 서술에서 벗어날 우려를 내포하지만, 반드시 ‘恣意’의 혐의를 둘 필요는 없다. 타자의 일생을 기록하는 전기에 저술가의 논평을 개입시키는 서술방식을 평전이라고 특별히 지칭하는 것은 특히 고전 연구 분야에서는 매우 적극적 의의를 지닌다. 고전 인물의 연구는 자료의 양적, 질적 한계 때문에 인물의 생평을 추적하기 어려운 예가 많다. 이때 사료와 자료를 비판 없이 인용하는 방식을 탈피하고, 한 인물의 성격과 언행을 추적하면서 그 인물의 행동 양태와 가치 실현 방식, 구체적 업적을 ‘하나의 관점에서’ 겸허하게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평전’의 서술은 매우 유효하다. 방법적으로는 율곡 李珥가 김시습의 삶을 ‘心儒跡佛’로 개괄한 것은 평전 저술가인 이이 자신의 사상적 고투를 반영하고, 김시습의 삶을 하나의 키워드로 요약하여 삶의 전체 풍광을 생동적으로 묘사한 대단히 의미 있는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생평의 서술에는 서술자=작가의 개입이 일어난다. 자료에 대한 按語가 있고 인물의 언행에 대한 論評이 있다. 고정된 관념을 분쇄하고 한 인물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일은 무미건조한 자료의 집적으로 끝날 수가 없다. 고전 연구자로서 한 인물의 생평을 서술할 때 중요한 것은 事實과 遺文을 연결시키는 논증적, 고거적 자세이다. 특히 근대 이전의 인물들에 대한 평가는 종교, 학맥, 당색, 인맥, 지역성 등등 여러 가지 이유에서 한 인물의 실상을 왜곡하거나 재단하는 일이 적지 않았다. 또한 시대별 시문의 유행 양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한 인물의 실제 시문을 특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유를 포함한 여러 이유에서 자료가 일실되고 파편화되어 한 인물의 삶을 온전하게 개괄할 수 없는 예도 있다. 본고는 林芸의 학맥 귀속 문제, 金笠의 인물 규정 문제, 안평대군 佚文의 고증 문제 등 몇몇 사례를 중심으로, 생평 서술에서 유의해야 할 점을 언급해 두었다. 그런데 서술자=작가로서 고전 연구자는 텍스트 바깥에 실재하는 사실을 독자에게 읽히려고 신문기사처럼 문장을 쓸 수는 없다. 그렇다고 텍스트 언어에 초점을 맞추고 픽션을 중시하여 상상력을 극도로 활용할 수도 없을 것이다. 고전연구에서 말하는 전기(biographie)는 年譜의 수준으로 그쳐서는 안 되겠지만, 거꾸로 전기-픽션(biofiction)으로 나아가서도 안 될 것이다.

키워드

평전, 輯佚, 編年, 闕疑, 학맥의 확인, 시문양식의 파악, 파편화된 자료의 집성, 事實과 遺文의 논증적․고증적 연결

참고문헌(37)open

  1. [학술지] 신승운 / 1998 / 주자의 명신언행록 편찬과 그 자료 / 서지학보 (22) : 45 ~ 75

  2. [단행본] 심경호 / 2003 / 김시습평전 / 돌베개

  3. [단행본] 심경호 / 2012 / 한국기초한문학사 / 태학사

  4. [단행본] 심경호 / 2013 / 한문산문미학 / 고려대학교출판부

  5. [학술지] 심경호 / 2013 / 한국한문문집을 활용한 학문연구와 정본화 방법에 관한 일고찰 / 민족문화 42 : 287 ~ 336

  6. [학술지] 심경호 / 2015 / 안평대군의 「재송엄상좌귀남서(再送嚴上座歸南序)」 등 불교 관련 시문에 관해서 / 민족문화연구 (68) : 357 ~ 388

  7. [학술지] 심경호 / 2015 / 조선시대 문집 편찬의 역사적 특징과 문집 체제 / 한국문화 (72) : 101 ~ 130

  8. [학술지] 심경호 / 2016 / 한국 한문산문사 서술의 제문제 / 한국한문학연구 (64) : 59 ~ 117

  9. [학술지] 심경호 / 2017 / 첨모당(瞻慕堂) 임운(林芸)의 생애와 학술 / 南冥學硏究 (54) : 47 ~ 105

  10. [학술지] 심경호 / 2017 / 한국 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47 : 9 ~ 48

  11. [단행본] 심경호 / 2017 / 김삿갓 한시 / 서정시학

  12. [단행본] 심경호 / 2017 / 안평대군 / 알마

  13. [학술지] 이근명 / 2005 / 『宋名臣言行錄』의 編纂과 後世 流傳 / 기록학연구 (11) : 255 ~ 291

  14. [단행본] 이응수 / 1939 / 金笠詩集 / 학예사

  15. [단행본] 이응수 / 1941 / 김립시집 / 한성도서

  16. [단행본] 이응수 / 1956 / 풍자시인 김삿갓 / 국립출판사

  17. [단행본] 林語堂 / 1947 / The Gay Genius : The Life and Times of Su Tungpo / John Day Company

  18. [단행본] 林語堂 / 1959 / 則天武后 / みすず書房

  19. [단행본] 林語堂 / 2005 / 小沼丹全集 補巻 / 未知谷

  20. [단행본] 林語堂 / 2009 / 武则天传 / 东方出版社、群言出版社版本

  21. [단행본] 林語堂 / 2012 / 소동파평전 / 지식산업사

  22. [단행본] 束景南 / 1992 / 朱子評傳 상․하 / 역사비평사

  23. [단행본] 中川久定 / 1979 / 自傳の文学 ルソーとスタンダール / 岩波新書

  24. [단행본] 中村真一郎 / 1992 / 文学としての評伝 / 新潮社

  25. [단행본] 白川静 / 1972 / 孔子伝, 中公叢書 / 中央公論新社

  26. [단행본] 白川静 / 2016 / 공자전 : 반체제 인사의 리더에서 성인이 되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공자 이야기 / 펄북스

  27. [단행본] 由良君美 / 1983 / みみずく偏書記 / 靑土社

  28. [단행본] 由良君美 / 2012 / みみずく偏書記 / ちくま文庫

  29. [학술지] 有田英也 / 2012 / 生の記述としての伝記と自伝 / ヨーロッパ文化研究 31

  30. [학술지] Alain Buisine / 1991 / Biofictions / RSH 224

  31. [단행본] Georg Misch / 1976 / Geschichte der Autobiographie Band 1.1 / Klostermann

  32. [단행본] Georg Misch / 2014 / A history of autobiography in antiquity / Routledge

  33. [단행본] Philippe Lejeune / 1993 / 자서전의 규약 / 문학과지성사

  34. [단행본] Robert Folkenflic / 1993 / The Culture of Autobiography / Stanford University Press

  35. [단행본] Roland Barthes / 1984 / La mort de l’auteur, in Le Bruissement de la langueEssais critiques IV / Seuil

  36. [학술지] Wimsatt, W. K. / 1946 / The Intentional Fallacy / The Sewanee Review 54 (3) : 468 ~ 488

  37. [단행본] Wimsatt, W. K. / 1954 / The Verbal Icon : Studies in the Meaning of Poetry / University Press of Kentuc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