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金剛恩遊錄」은 18세기 후반 제주 출신 문인 張漢喆(1744:영조 20년~?)이 쓴 장편의 금강산 遊山錄이다. 본고에서는 아직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이 작품의 작가 및 서지, 저술 연대와 경위, 구성 체재와 기술 방식 등에 대해 살폈다. 다음, 작품에 기술된 여행의 내용과 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였으며,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산수 취미와 금강산관 및 산수관을 살폈다. 그리고 유산기로서 이 작품이 보여주는 문예적 특성으로서 간결․평이한 서술과 사실적 묘사 방식, 인상을 描出하고 서사적 흥미를 고취하는 기교를 살피고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이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를 논했다.

키워드

「금강은유록(金剛恩遊錄)」, 장한철(張漢喆), 유산기(遊山記), 금강산, 기행문, 18세기

참고문헌(11)open

  1. [기타] / 承政院日記

  2. [기타] / 日省錄

  3. [기타] 張漢喆 / 金剛恩遊錄 / 한문필사본

  4. [단행본] 張漢喆 / 1979 / 漂海錄 / 범우사

  5. [학술지] 강혜선 / 1992 / 17․8세기 금강산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 / 관악어문연구 17 : 92 ~ 111

  6. [학술지] 이종묵 / 1997 / 遊山의 풍속과 遊記類의 전통 / 고전문학연구 12 : 385 ~ 407

  7. [학술지] 안대회 / 2012 / 조선 후기 小品體 遊記의 연구 / 대동문화연구 (79) : 211 ~ 243

  8. [단행본] 이혜순 / 1997 / 조선 중기의 유산기 문학 / 집문당

  9. [단행본] 정 민 / 2007 /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 휴머니스트 퍼블리싱 컴퍼니

  10. [학술지] 정병욱 / 1961 / <漂海錄>에 대하여 / 인문과학 6 : 157 ~ 174

  11. [학술지] 정우봉 / 2012 /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 한국한문학연구 (49) : 101 ~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