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약어 : JKLH
2010 no.45, pp.113 - 155
DOI : 10.30527/klcc..45.201006.004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한문학회
15 회 열람

본고는 조선 주자학자들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論語』 경학에서 ‘學’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주자 문헌 가운데 『논어집주』 首章(‘學而時習之’장)의 주석은 學의 개념과 관련하여 오래도록 주목을 받았다. 무엇보다 學의 개념에 대한 주자의 직접적 설명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었다. 學의 개념과 관련하여 주자 자신의 저술과 조선 주자학자의 주석을 두루 검토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學의 주체와 대상’, ‘學과 習의 관계’, ‘習과 悅’, ‘悅과 樂․不慍’, ‘習과 知․行’ 등의 연관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주자 논어학에서 學의 개념은 철저하게 개체의 내재적 근거에 기반한 자기완결성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學의 개념은 무한 연쇄의 과정 속에서 수행되는 지속성을 통해서만 스스로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함의가 주자 논어학의 형성 과정 속에서 일관되게 모색되었고, 그 최종 형식이 『논어집주』였다. 『논어집주』는 주자의 주석 내용뿐만 아니라 주석의 형식 자체를 통해서도 學의 개념적 함의를 전달하고 있다. 주자의 學 개념 자체가 순환적 지속의 구조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어집주』 ‘학이시습지’ 장의 주석 방식이 바로 그러한 學의 개념을 구조화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a survey of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tradition of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based on the footnotes of Zhuzi(朱子) himself and new confucianists in Chosŏn. In the approach to the subject and object of learning and to the relationship of learning(學) and training(習), Zhuzi and his disciples fundamentally restricts the concept of learning to the self-completeness of an individual. The infinite duration of such a process is demanded for the realization of learning, and this argument forms the core sphere in Zhuzi's interpretation of Confucian Analects. Zhuzi's doctrine is inarnated not only through the content of his argument, but through the very structure of the argument. It is to be called 'circular infinity', and it has worked as a key term in the reception of Confucian Analects in Chosŏn period.

『論語集註』, 學, 習, 주자학, 『論語詳說』
Zhuzi(朱子), New Confucianism, Confucian Analects, learning, training

  • 1. [학술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1989 / / 韓國經學資料集成 / 18
  • 2. [인터넷자료]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 한국경학자료시스템
  • 3. [단행본] 朱熹 / 2000 / 論語或問 in: 朱子全書 6 / 上海古籍出版社
  • 4. [단행본] 朱熹 / 2000 / 論語精義 in: 朱子全書 7 / 上海古籍出版社
  • 5. [기타] 金昌協 / 論語詳說 / 규장각
  • 6. [학술지] 이영호 / 2003 / <論語集注>의 成書過程을 통해 본 朱子 經學의 特徵 / 漢文學報 / 9 (1) : 332 ~ 1 kci
  • 7. [학술지] 이영호 / 2004 / [論語集註]의 註釋方式과 그 經學史的 繼承樣相 / 동양학 / 35 (35) : 15 ~ 35 kci
  • 8. [학위논문] 전재동 / 2007 / 17세기 율곡학파의 논어 주석 연구
  • 9. [학술지] 정형우 / 1989 / <五經四書大全>의 수입 및 그 刊板 廣布 / 동방학지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