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불교사상사에서 경량부/비유자는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본 散考는중현에 의해 언급된 鳩摩羅設摩의 ‘文頌’과 扇帙略의 ‘論門’을 통해 그들의 기원과 실태에 대해 이리저리 궁리해 본 것으로, 정리하면 이러하다. 1. 중현은 <순정리론> 상에서 상좌 슈리라타(경량부)의 유부 성교 설(5 因說) 비판을 힐난하면서 그의 先師라는 뉘앙스로서 구마라설마의 文頌과선질략의 論門을 언급하였다. 2.1. <비바사론>에 의하면 文頌은 世間現喩(dṛṣṭānta: 譬喩를 포함한세간속설)로써 현성법을 해설하는 형식, 혹은 文頌者 자신이 이를 과장(紛 飾 增益)하여 집성한 讚佛頌과 같은 형식의 논의이기 때문에 진실에서 벗어난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문송(찬불송)은 <구사론>에 따르면 kāvya, 문송자는 kavi의 譯語이다. 2.2. 이로 볼 때 문송은 三藏의 賢聖法과는 구별되는 世間法으로, 예컨대 쿠마라라타의 <유만론>(혹은 <대장엄경론>)과 같은 비유ㆍ우화 형식, 馬鳴의 <불소행찬>과 같은 詩詠(kāvya) 형식의 문헌이었을 것이기 때문에중현이 언급한 文頌者(kavi) 구마라설마는 상좌 슈리라타 등 譬喩者의 선구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1. 선질략은 <비바사론>에서 4종 問記(문답법)에 대해 논의하던 중 捨 置記의 예화 중에 언급되며, <순정리론>에서는 問記論에 관해 논란하던중 그의 論에 설해진 ‘물음의 정의’가 어떤 이(稱友 등에 의하면 라마)에 의해 인용된다. 3.2. 하리발마에 의하는 한 論門은 논의방식을 의미하며, 그의 이제설은그 중의 하나인 世間門과 第一義門에 근거한 것이었다. 이에 따를 경우“자아가 존재한다”(세간문의 世諦)거나 “존재하지 않는다”(제일의문의 眞 諦)는 두 말은 모두 가능하다. 3.3. 선질략의 ‘물음의 정의’에서도 두 가지 뜻에 근거하여 어느 한 쪽도부정되지 않는데(따라서 그의 論門 또한 논의/문답방식에 관한 것이라 할수 있다), 이를 전한 라마 역시 “자아는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고 존재하지않는 것이기도 하다”고 논의하며, 하리발마와 쿠라마라타는 牝虎銜子의 비유로써 이 같은 사실을 설명하였다. 4.1. <바사론>의 비유자는 비록 세간현유로써 유부의 현성법을 비판하였을지라도 오로지 비유만을 설한 것도, 다른 부파에 비해 더 많은 비유를 사용한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그들이 비유자로 불린 것은 구마라설마와 같은文頌者들로부터 유래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4.2. <대비바사론>과 <순정리론> 상의 비유자 설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도 적지 않고, 중현 역시 ‘비유자’를 單稱뿐만 아니라 特稱(有譬喩者,一類譬喩論師)이나 全稱(諸譬喩者, 上座及餘一切譬喩者)으로 호칭하기도 하며, 상좌 슈리라타를 ‘지금의 어떤 비유자(今時一譬喩者)’로 전하고있다. 따라서 <바사론>의 비유자가 바로 경량부는 아니며, 비유자 또한 하나의 계통이 아니었을 것이다. 4.3. 추측하건대 비유자에는 적어도 ① 구마라설마-쿠마라라타/마명으로 이어지는 세간현유 위주의 文頌者 계통, ② 선질략-세우(<問論>의 저자)-하리발마(-라마)로 이어지는 논의(문답)방식을 강조한 계통, ③ 구마라설마/선질략-<바사론>의 어떤 비유자-상좌 슈리라타-라마/世鎧 등의상좌 徒黨으로 이어지는 경량부 계통이 있었을 것인데, 이들은 계통과 견해를 달리하였을지라도 ‘비유자’라는 공통의 기반 하에 있었기에 관련성마저 부정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4.4. 그러나 두드러진 경향성으로 볼 때 쿠마라라타와 마명은 세간속설인 文頌의 경향을 계속하여 이어갔고, 하리발마는 第一義門에 따라 一切 皆空을 주장한데 반해 상좌 슈리라타 일파는 바야흐로 유부의 불설론을 부정하고 “오로지 불타 자신에 의해 직접 현시된 經만을 지식의 근거로 삼는다”는 모토 하에 ‘경량부’로 자칭하였다.

키워드

鳩摩羅設摩, 帙略, 文頌, 論門, 譬喩者, 經量部, 쿠마라라타, 訶梨跋摩, 上座 슈리라타, 邏摩, 文頌者, 世間現喩

참고문헌(63)open

  1. [기타] / 『百喩經』(T: 『大正藏』4)

  2. [기타] / 『大莊嚴經論』(T: 『大正藏』4)

  3. [기타] / 『品類足論』(T: 『大正藏』26)

  4. [기타] / 『大毘婆沙論』(T: 『大正藏』27)

  5. [기타] / 『阿毘曇毘婆沙論』(T: 『大正藏』28)

  6. [기타] / 『俱舍論』(T: 『大正藏』29)

  7. [기타] / 『順正理論』(T: 『大正藏』29)

  8. [기타] / 『瑜伽師地論』(T: 『大正藏』30)

  9. [기타] / 『大乘成業論』(T: 『大正藏』31)

  10. [기타] / 『阿毘達磨雜集論』(T: 『大正藏』31)

  11. [기타] / 『成實論』(T: 『大正藏』32)

  12. [기타] / 『異部宗輪論』(T: 『大正藏』49)

  13. [기타] / 『俱舍論記』(T: 『大正藏』41)

  14. [기타] / 『三論玄義』(T: 『大正藏』45)

  15. [기타] / 『一切經音義』(T: 『大正藏』54)

  16. [기타] / 『出三藏記集』(T: 『大正藏』55)

  17. [단행본] Pradhan, P. / 1976 / Abhidharmakośabhāṣyam of Vasubandhu / Kashi Prasad Jayaswal Research Institute

  18. [단행본] Wogihara, U. / 1989 / Abhidharmakośavyākhyā / Sankibo Buddhist Book Store

  19. [단행본] Lama Chimpa / 1990 / Tāranātha's History of Buddhism in India / Motilal Banarsidass

  20. [단행본] 加藤純章 / 1989 / 經量部の硏究 / 春秋社

  21. [단행본] 干潟龍祥 / 1954 / 本生經類の思想史的硏究 / 東洋文庫

  22. [기타] 木村泰賢 / 國譯 異部宗輪論, 國譯大藏經13

  23. [단행본] 寺本婉雅 / 1977 / タ-ラナ-タ 印度佛敎史 / 國書刊行會

  24. [단행본] 三友健用 / 2009 / アビダルマディ-パの硏究 / 平樂寺書店

  25. [단행본] 小谷信千代 / 2007 / 俱舍論の原典解明-隨眠品 / 大藏出版

  26. [단행본] 에띠엔 라모뜨 / 2006 / 인도불교사2 / 시공사

  27. [단행본] 宇井伯壽 / 1944 / 佛敎論理學 / 大東出版社

  28. [단행본] 李鍾徹 / 2001 / 世親思想の硏究 : 釋軌論を中心として / 山喜房佛書林

  29. [단행본] 平等通昭 / 1968 / 梵詩邦譯 佛陀の生涯 / 印度學硏究所

  30. [단행본] 平川彰 / 1973 / 阿毘達磨俱舍論索引, part one/part two / 大藏出版

  31. [단행본] 河村孝照 / 1974 / 阿毘達磨論書の資料的硏究 / 日本學術振興會

  32. [단행본] / 1983 / 織田佛敎大辭典 / 大藏出版

  33. [단행본] / 1979 / 梵和佛敎大辭典 / 講談社

  34. [학술지] 권오민 / 2008 / 上座 슈리라타(Śrīlāta)와『經部毘婆沙』 / 보조사상 30 : 263 ~ 306

  35. [학술지] 권오민 / 2008 / 經量部와 譬喩者의 의미와 관계-衆賢의 『順正理論』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21 : 7 ~ 55

  36. [학술지] 권오민 / 2009 / 『俱舍論』에서의 經量部 (1) / 한국불교학 (53) : 251 ~ 288

  37. [학술지] 권오민 / 2009 / 俱舍論』에서의 經量部(2) / 불교학보 (51) : 7 ~ 44

  38. [학술지] 권오민 / 2009 / 佛說과 非佛說 / 문학 사학 철학 (17)

  39. [학술지] 권오민 / 2010 / 『順正理論』에서의 經量部 / 불교학보 (54) : 9 ~ 45

  40. [학술지] 宮本正尊 / 1936 / 譬喩者, 大德 法救, 童受, 喩鬘論の硏究 / 日本佛敎協會年報 (1)

  41. [학위논문] 김성철 / 1996 / 龍樹의 中觀論理의 起源

  42. [단행본] 梶山雄一 / 1989 / 인도불교의 인식과 논리 / 민족사

  43. [학술지] 福元亮嚴 / 1961 / 成實論の部派の問題 / 佛敎學硏究 (18)

  44. [학술지] 福田琢 / 1998 / 經量部の大德 ラ-マ / 佛敎史學硏究 41 (1)

  45. [단행본] 福田琢 / 2000 / 北朝ㆍ隋ㆍ唐 中國佛敎思想史 / 法藏館

  46. [단행본] 福田琢 / 2000 / 加藤純章博士還曆記念論集 アビダルマ佛敎とインド思想 / 春秋社

  47. [학술지] 本庄良文 / 1987 / 馬鳴詩のなかの經量部說 / 印度學佛敎學硏究 36 (1)

  48. [학술지] 本庄良文 / 1992 / Sautrāntika / 印度學佛敎學硏究 40 (2)

  49. [학술지] 本庄良文 / 1993 / 「馬鳴の學派に關する先行學說の吟味」(渡邊文麿博士追悼記念論集 / 原始佛敎と大乘佛敎 2 : 27 ~ 44

  50. [학술지] 本庄良文 / 1993 / 經を量とする馬鳴 / 印度學佛敎學硏究 42 (1)

  51. [학술지] 所理惠 / 1990 / 成實論/俱舍論と譬喩者ㆍ經量部との關わりについて(2) / 密敎文化 191

  52. [학술지] 所理惠 / 1990 / 成實論と譬喩者ㆍ經量部 / 印度學佛敎學硏究 39 (1)

  53. [학술지] 水野弘元 / 1930 / 譬喩者と成實論 / 駒澤大學佛敎學會年報 1

  54. [학술지] 櫻部建 / 1953 / 經量部の形態 / 印度學佛敎學硏究 2 (1)

  55. [단행본] 宇井伯壽 / 1978 / 國譯一切經, 論集部3

  56. [학술대회] 原田和宗 / 2003 / 經量部をめぐる諸問題 / 2003年 9月 6日 印佛大會於佛敎大學發表文

  57. [학술지] 原田和宗 / 2004 / 經量部をめぐる諸問題(1) / 印度學佛敎學硏究 52 (2)

  58. [학술지] 原田和宗 / 2006 / 經量部をめぐる諸問題(2) / 印度學佛敎學硏究 54 (2)

  59. [단행본] 平井俊榮 / 1999 / 新國譯一切經, 毘曇部6

  60. [단행본] 박창환 / 2007 / The Sautāntika Theory of Seeds(bīja) / University of California

  61. [학술지] Honjō Yoshifumi / 2003 / The Word Sautrāntika / JIABS 26 (2)

  62. [학술지] J. Przyluski / 1940 / Dārṣṭāntika, Sautrāntika and Sarvāstivādin / The Indian Historical Quarterly 16

  63. [학술지] Robert Kritzer / 2003 / Sautrāntika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 JIABS 2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