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관형사형 어미+성싶/듯싶/듯하-’의 기능 차이

A Study on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Adnominal Ending+‘seong sip-’, ‘dus sip-’, and ‘dus ha-’

언어와 정보 사회
약어 : -
2017 vol.30, pp.99 - 130
DOI : 10.29211/soli.2017.30..004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연구분야 : 언어학
Copyright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79 회 열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unctional differences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adnominal ending+seong sip/dus sip/dus ha-’. The first, compared to the bound noun ‘seong’, the bound noun ‘dus’ implicates not only positive dimension, but also negative dimension. Based on this difference,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adnominal ending+seong sip-’ and ‘adnominal ending+dus sip-’ can be distinguished on functional view point. Secondly, compared to ‘ha-’, ‘sip-’ has more subjective feature and it represents speaker’s strong subjective attitude. From this view point,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adnominal ending+dus sip-’ and ‘adnominal ending+dus ha-’ are distinguished. In the last, we concluded that the form ‘adnominal ending+seong sip-’ is differ from ‘adnominal ending+dus sip-/ha-’ from the view point of ‘territory of information’ and this kind of difference is a result from the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seong’ and ‘dus’.

문법적 연어, 양태, 양태 의미, 의존명사, 정보영역
grammatical collocation, modality, modal meaning, bound noun, territory of information

  • 1. [단행본] 가미오 아키오 / 2002 / 続·情報のなわ張り理論 / 大修館書店
  • 2. [학위논문] 다카치 토모나리 / 2014 / 현대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양태체계 연구
  • 3. [학술지] 다카치토모나리 / 2016 / ‘–(으)ㄹ 것이–’와 ‘–(으)ㄹ 터이–’에대한 일고찰 / 언어와 정보 사회 / 27 : 87 ~ kci
  • 4. [단행본] 박재연 / 2006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 태학사
  • 5. [단행본] 안효경 / 2001 / 현대국어의 의존명사 연구 / 도서출판 역락
  • 6. [학술지] 이기종 / 2000 / {듯하다}, {듯싶다}, {성싶다}의 의미 차이 / 한국언어문학 / 44 : 647 ~
  • 7. [학술지] 이영경 / 2005 / 싶다' 구문의 史的 변천에 대한 일고찰 / 한국문화 (35) : 1 ~ 35 kci
  • 8. [단행본] 이주행 / 2009 / 한국어 의존 명사 연구 / 한국문화사
  • 9. [학술지] 이필영 / 2006 / 서술부 양태 표현의 부정 양상 -보조용언적 구성을 중심으로 / 國語學 (48) : 175 ~ 48 kci
  • 10. [학술지] 임근석 / 2008 /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 國語學 (51) : 115 ~ 51 kci
  • 11. [단행본] 장경희 / 1985 / 한국어의 양태 범주 연구 / 탑출판사
  • 12. [학위논문] 정유남 / 2006 / 현대 국어 추측의 양태 의미 연구
  • 13. [학술지] 정혜선 / 2010 / ‘싶다’ 構文의 歷史的 變化 /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2) : 169 ~ 2 kci
  • 14. [학술지] 차현실 / 1984 / ‘싶다’의 의미와 통사구조 / 언어 / 9 (2) : 305 ~ 2
  • 15. [단행본] Palmer, F. R. / 2001 / Mood and Modali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6. [기타] 문화체육관광부 / 2011 / 21세기 세종계획 최종 성과물(2011.12. 수정판)
  • 17. [단행본] 김별아 / 2002 / 꿈의 부족 / 문이당
  • 18. [단행본] 주요섭 / 2012 / 사랑 손님과 어머니(외) / 유페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