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 환경에서의 법교육 실천 사례 연구 - 정치와 법 과목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Law-related Education in the On-Offline Parallel Class Environment - Focusing on Politics and Law -

법교육연구
약어 : -
2021 vol.16, no.1, pp.27 - 62
DOI : 10.29175/klrea.16.1.202104.27
발행기관 : 한국법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법교육학회
5 회 열람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전염병 확산으로 인해 온라인 개학이 갑작스럽게 시행된 상황에서 면대면 교실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연구자가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수업이 이루어지는 수업 환경에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로 한 학기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통해 법교육(Law-related Educaton)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수업을 전환한다는 것은 면대면 수업에 맞추어 설계된 수업 목표, 수업내용, 교수・학습전략, 평가 등 수업의 전 과정을 온라인 학습 환경에 맞게 재설계하는 활동이다. 이때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도 법교육에서의 성취기준 및 교과 역량이 달성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자가 실천한 수업 사례를 통해 온라인 학습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한 블렌디드 수업은 오히려 학생들의 능동적인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 환경이 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하나의 수업 실천 사례로서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들에게 하나의 설계 자원으로서 의미 있게 활용되어 법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The COVID-19 pandemic prompted an implementation of online schooling, which posed difficulty in shifting from face-to-face lessons in classrooms to online lessons at hom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about Law-related Education learned from the progress in designing and practicing blended learning, in which onlin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go in parallel during one semester. Shifting to online classes requires redesigning all components of a lesson including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s which once designed simply for face-to-face classes. Under such circumstances, creating proper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s essential to reach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developing subject competencies in Law-related Education. Cases of the researcher’s actual classes showed how online features of blended learning promotes the students’ active inquiry activities

온라인 개학,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사회과 수업 설계, 정치와 법, 법교육, 교수학습방법
Law-related Education, Blended learning, on-offline parallel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