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50.52
18.191.150.52
close menu
KCI 등재
대량모듈성과 사고의 유연성 -“내용 통합자로서의 언어”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Massive Modularity and the Flexibility of Mind: A Criticism on the Language-As-Content-Integrator Hypothesis
천현득 ( Hyundeuk Cheon )
철학연구 61권 307-331(25pages)
DOI 10.26839/PS61.10
UCI I410-ECN-0102-2021-100-000907556

이 글은 대량으로 모듈적 구조에서도 사고의 유연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제안된 한 가지 유력한 가설을 검토한다. 먼저, 우리는 사고의 유연성이 대량모듈성에 제기하는 도전을 소개한 후, 언어 모듈의 작동이 모듈-교차적 사고의 형성과 처리에 구성적으로 관여한다는 커러더스(Curruthers 2002; 2006)의 “내용 통합자로서의 언어” 가설을 검토하고, 세 가지 이유에서 이 가설이 성공적이지 않음을 보인 다. 첫째, 해당 가설은 가정하고 있는 모듈성의 약한 개념은 모듈성 논제의 설명력을 약화시킨다. 둘째, 언어 모듈이 상이한 모듈에 속하는 개념들을 통합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취약하다. 셋째, 해당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인용된 실험 결과들은 실제로 그 가설에 대한 좋은 증거를 제공하지 않는다.

One of the main criticism against the massive modularity thesis is that it cannot explain the flexibility of thinking. In this article, we review one of the most promising hypotheses, which are supposed to explain the flexibility from the modular structure of cognition. First of all, we spell out the challenges posed by the flexibility of thinking. And then, we examine Curruthers(2002; 2006)'s proposal that the operation of language modules is constitutively involved in the formation and processing of cross-modular thoughts. We claim that the “Language as a Content-Integrator” hypothesis is not successful for three reasons. First, the weak conception of modularity adopted by Carruthers weaken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ular thesis. Second, the argument that language modules incorporate concepts belonging to different modules is not established. Third, the experimental results cited as supporting the hypothesis do not provide good evidence for the hypothesis.

Ⅰ. 문제의 설정: 모듈적 구조와 내용 통합의 문제
Ⅱ. “내용 통합자로서의 언어” 가설
Ⅲ. 모듈성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Ⅳ. 언어 모듈의 역할에 대한 검토
Ⅴ. 경험적 증거의 미결정성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