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CD 유통수익률, 실업률, 경기동행지수, 소비자물가지수, 코스피지수 등의 거시경제변수가 변액연금 및 변액유니버셜보험의 해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V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충격반응함수를 통한 결과, 본 연구는 CD 유통수익률에 양(+)의 충격 발생 시 동시적 영향으로 최초 1개월 내에 변액연금 및 변액유니버셜보험 해지율이 하락한 이후 곧 해지율이 상승하였으며, 이후 충격발생 6개월이 지나기 전에 이러한 충격반응은 대부분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장상황을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 증가율에 발생한 양(+)의 충격으로 변액보험 해지율이 1개월 이전부터 1개월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에 발생한 양(+)의 충격으로 변액보험 해지율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액연금과 변액유니버셜을 비교해 보면, CD 유통수익률과 경기동행지수에서 발생한 충격에 변액유니버셜의 해지율 반응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반면,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발생한 충격에는 변액연금의 해지율 반응이 컸다. 분산분해의 결과, 변액연금 해지율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변액유니버셜 해지율은 경기동행지수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키워드

변액보험 해지율, 구조적 벡터자기회귀 모형, 충격반응함수, 분산분해

참고문헌(19)open

  1. [학술지] 권용재 / 2012 / 경제변수가 변액연금보험과 변액유니버셜보험의 해약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보험금융연구 23 (4) : 3 ~ 28

  2. [학술지] 김유미 / 2013 /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변액연금 해지율의 추정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 (4) : 723 ~ 736

  3. [학술지] 류건식 / 2011 / 생명보험 해약률의 계량경제적 분석 / 산업경제연구 24 (2) : 1099 ~ 1121

  4. [학술지] 박송춘 / 2008 / RP금리가 상호저축은행의 금리결정에 미치는 효과분석 / 金融工學硏究 7 (4) : 133 ~ 155

  5. [학술지] 정세창 / 2009 / 생명보험회사의 해약률에 관한 연구 / 보험학회지 (82) : 155 ~ 178

  6. [학술지] 최성관 / 2000 / 시계열모형을 이용한 선거개입의 경제적 영향분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1 (2) : 257 ~ 267

  7. [학술지] 최영목 / 2008 / 경제변수가 생명보험 해약률에 미치는 영향 / 보험금융연구 19 (3) : 3 ~ 36

  8. [보고서] 황진태 / 2010 / 생명보험 상품별 해지율 추정 및 예측 모형

  9. [보고서] Cox, S / 2006 / Annuity Lapse Rate Modelling: Tobit or Not Tobit?

  10. [학술지] Dar, A / 1989 / Interest Rates, the Emergency Fund Hypothesis and Saving Through Endowment Policies: Some Empirical Evidence for the U.K /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56 (3) : 415 ~ 433

  11. [단행본] Hamilton, J / 1994 / Time Series Analysi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학술지] Kiesenbauer, D / 2012 / Main Determinants of Lapse in the German Life Insurance Industry /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16 (1) : 52 ~ 73

  13. [학술지] Kim, C / 2005 / Modeling Surrender and Laps Rates with Economic Variables /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9 (4) : 56 ~ 70

  14. [학술지] Kim, S / 2000 / Exchange Rate Anomalies in the Industrial Countries: A Solution with a Structural VAR Approach /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45 : 561 ~ 586

  15. [학술지] Kuo, W / 2003 / An Empirical Study on the Lapse Rate : The Cointegration Approach /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70 (3) : 489 ~ 508

  16. [학술지] Outreville, F / 1990 / Whole-Life Insurance Lapse Rates and the Emergency Fund Hypothesis / Insurance : Mathematics and Economics 9 : 249 ~ 255

  17. [학술지] Plosser, C. I / 1977 / Estimation of a Non-Invertible Moving Average Process : The Case of Overdifferencing / Journal of Econometrics 6 : 199 ~ 224

  18. [학술지] Plosser, C. I / 1978 / Money, Income, and Sunspots: Measuring Economic Relationship and the Effects of Differencing /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4 : 637 ~ 660

  19. [학술지] Yilanci, V / Are Unemployment Rates Nonstationary or Nonlinear?: Evidence from 19 OECD Countries / Economics Bulletin 3 (47) : 1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