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3.150
18.117.183.150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 구성방식과 내용구성 변화 분석
A Study on the Change of Regional Learning and Content Composition in Primary Geography Education
김다원 ( Dawon Kim )
한국지리학회지 7권 3호 261-274(14pages)
DOI 10.25202/JAKG.7.3.2
UCI I410-ECN-0102-2019-900-001739495

본 연구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지리영역의 지역학습을 위한 지역 구성방식과 내용구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지역학습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와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구성방식에서는 ‘고장 → 우리지역(지역사회 또는 우리나라 지역, 지방) → 우리 국토 → 세계 여러나라 → 지구촌’의 틀을 유지하면서 환경확대적 구성방식을 보인다. 둘째, 지역 내용구성은 자연환경(위치, 지형, 기후), 인문환경(산업, 인구, 도시, 교통, 자원, 생활모습), 상호교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학년별, 지역의 규모별에 구분 없이 지역의 내용구성은 비슷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로벌, 글로컬 시대에서 요구하는 지역 간 상호작용과 글로벌 맥락에서 지역성 파악, 그리고 지역학습의 단계에 따라 심화 확장적인 지역학습을 위해서는 지역 구성방식 및 내용구성의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regional composition and contents for regional learning in primary geography education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regional lear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way of regional composition, it shows a widening horizon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the community → the region → the country → the world → the global’. Second, the contents of regional learning are physical environment (location, topography, climate), human environment (industry, population, city, traffic, resources, life style) and mutual exchang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sirable direction of regional composition and contents for interactions between regions that are required in the global and glocal era, localization in global context, and deepening of regional learning.

I. 서론
II. 초등학교 지리영역의 지역학습 내용 체계 변화
III. 지역의 구성방식과 내용구성의 특징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