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시설인 연수원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수원은 최근 공급과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를 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술적인 접근은 매우 미비한 상태로 학술적 접근을 통한 이론적, 산업적, 정책적 시사점의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수원을 방문한 이용자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각된 연수원의 서비스스케이프, 시설만족, 이벤트만족의 영향관계를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연수원의 서비스스케이프의 세부차원은 청결쾌적성, 심미기능성, 안전성의 세 가지 세부차원으로 구분된다. 이 결과는 호텔, 컨벤션, 레스토랑 등 다른 환대산업과 연수원이 지닌 물리적 환경이 시설의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세부차원을 지닐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서비스 스케이프 지각의 세 가지 세부차원, 즉 청결쾌적성, 심미기능성, 안전성은 모두 시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결쾌적성과 안전성은 회귀계수와 유의수준에 있어 심미기능성보다 응답자들의 시설만족에 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들의 연수원에 대한 만족은 이벤트에 대한 만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이 연수원에 대해 만족할수록 워크숍, 세미나, MT, 수련회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나의 독립된 유형의 환대시설로서 연수원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is an exploratory analysi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centers that have rapidly increased in South Korea. Although HRD centers have become an established industry owing to the rapid increase in supply and demand, the academic approach is still lacking. In particular, more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to present theoretical, industrial, and policy im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rvicescape, facility satisfaction, and event satisfaction of HRD centers.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253 people who have visited HRD cen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servicescape of HRD centers, which are cleanliness-comfort, aesthetics-functionality, and safety. Second, the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servicescape, namely cleanliness-comfort, aesthetics-functionality, and safety, all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facility satisfaction. Third, the responden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the HRD center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vent satisfaction. The current results reveal that HRD centers are a new type of hospitality facility with uniqu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ther hospitality facilities and offer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HRD center industr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23-00340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