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90.141
18.116.90.141
close menu
KCI 등재
여행 경험 서사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최부의 <표해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ans-media Storytelling using Travel Experiences - Focused on Choi-Bue’s Pyohae-rok
윤인선 ( Yoon In-sun )
기호학 연구 66권 61-84(24pages)
DOI 10.24825/SI.66.3
UCI I410-ECN-0102-2022-700-000584215

본고는 최부의 <표해록>을 문화 콘텐츠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최부의 <표해록>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스토리텔링 콘텐츠인 < 명대의 운하길을 걷다-항주에서 북경 2500Km 최부의 ‘표해록’ 답사기 >와 < EBS 세계테마기행 중국 명대 운하길을 가다 >에 주목한다. 이 두 텍스트는 최부의 <표해록>에 나타나는 장소에 대한 인식과 행위, 감정 등을 창작자가 여행을 바라보는 틀로 삼아, 그것을 재매개하는 매체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형성한다. 이때 <명대의 운하길을 걷다>는 문자 매체를 통해 여행 경험을 재매개하는 과정에서 최부의 <표해록>을 매개로 재구성되는 역사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양상을 보인다. 이에 반해, <명대의 운하길을 가다>는 영상 매체를 통해 여행 경험을 재매개하며 최부의 <표해록>을 관광에 기반한 스토리텔링으로 확장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세 텍스트는 각각 최부가 작성한 명대의 운하길 여행기, 명대 운하길에 대한 역사 스토리텔링, 명대 운하길에서 나타나는 관광 스토리텔링이라는 독립적인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동시에 이 세 텍스트는 최부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명대 운하길에 대한 과거의 역사, 현재의 관광이라는 맥락에서 거대한 이야기 세계를 형성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고에서 살펴본 세 텍스트의 상호 관련성 양상은 추후 문학을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을 위한 하나의 가능성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retelling Choi-Bue’s Pyohae-rok to storytelling contents. To this end, we pay attention to Walk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and Go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retelled around Pyohaerok. These two texts use the perception of the place, actions, and emotions that appear in Choi-Bue’s Pyohae-rok as a framework for the creator’s perception of the travel. And it forms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medium that remediates it. Walk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remediates the travel experience through letter media, and retells Choi-Bue’s Pyohae-rok into a storytelling based on history. And Go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remediates the travel experience through video media, and retells Choi-Bue’s Pyohae-rok into a storytelling based on tourism. Each of the three texts has an independent value: the travelogue on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the historical storytelling on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and the tourism storytelling appearing on t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se three texts can be said to be trans-media storytelling that forms a huge story-worl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e past and tourism of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centered on the Choi-Bue’s Pyohae-rok.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exts can function as a possibility for planning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using literature.

Ⅰ. 들어가며
Ⅱ. 최부의 <표해록>에 나타나는 경험의 서사화 양상
Ⅲ.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표해록>의 활용 가능성
Ⅳ. 마치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