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학습 지향적인 평가가 주목받고 있는 현재 교육 평가의 흐름 속에서 온라인 영어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영 어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 진단평가를 개발, 시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 개인별 장단점에 관한 진단적 피 드백을 제공하는 방법과 절차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는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5개 언어 영역(듣 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의 진단평가를 개발하기 위해 영역별로 학습자가 꼭 성취해야 할 세부능력(subskills) 리스트를 정 하였다. 둘째, 각 시험 문항은 정해진 세부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한 세부능력 당 3개 또는 5개의 문항을 개발 하여 그 중 2/3, 3/5 이상을 맞힐 경우 해당 능력을 달성(pass)한 것으로 하였다. 셋째, 개발된 시험은 온라인 평가 시스템에 탑재되어 서울 지역 한 사이버대학교 재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넷째, 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개별 수험자에게 각 세부능력의 달성 여부, 전반적인 영어 학습 전략, 그리고 부족한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적합한 과목 추천 등의 내용을 담은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어 진단평가와 개인별로 제공된 피드백에 관한 응시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 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영어진단평가, 영어세부능력, 이러닝 영어학습자, 진단 피드백, 만족도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Alderson, J. C. / 2005 / Diagnosing foreign language proficiency:The interface between learning and assessment / Continuum

  2. [학술지] Alderson, J. C. / 2014 / Toward a theory of diagnosis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assessment : Insight from professional practice across diverse fields / Applied Linguistics 36 (2) : 236 ~ 260

  3. [단행본] ALTE / 1998 / Multilingual glossary of language testing terms / University of Cambridge Local Examinations Syndicate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단행본] Bloom, B. S. / 1981 / Evaluation to improve learning / McGraw Hill

  5. [단행본] Cronbach, L. J. / 1990 /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 Harper & Row

  6. [학술지] Doe, C. / 2014 / Diagnostic English language needs assessment (DELNA) / Language Testing 31 (4) : 537 ~ 543

  7. [단행본] Han, T. I. / 2006 / e-Learning vs. u-learning / Korean German Institute of Technology

  8. [인터넷자료] Heatley, A / RANGE and FREQUENCY programs

  9. [단행본] Hughes, A. / 2003 /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Jang, E. E. / 2009 /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of L2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Validity arguments for fusion model application to language assessment / Language Testing 26 (1) : 31 ~ 73

  11. [보고서] Jin, K. A. / 2015 / Monit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letion of Korea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s’ learning for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1)

  12. [보고서] Jin, K. A. / 2016 / Monit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letion of Korea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s’ learning for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2)

  13. [단행본] Jones, N. / 2016 / Studies in language testing:Learning oriented assessment, a systematic approach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학술지] 김주혜 / 2007 / 웹기반 영어교육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저해요인을 중심으로 / 영어학 7 (2) : 239 ~ 263

  15. [학위논문] Kim, J. H. / 2007 / The effects of meta cognitive interface on memory in web based learning

  16. [단행본] Knapp, A. / 2009 / Handbook of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and learning / Mouton de Gruyter : 629 ~ 662

  17. [단행본] Lee, W. K. / 2003 / A 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ing / Moonjinmedia

  18. [학술지] Lee, Y. -W. / 2015 / Diagnosing diagnostic language assessment / Language Testing 32 (3) : 299 ~ 316

  19. [단행본] Nation, I. S. P. / 2011 / Researching and analyzing vocabulary / Heinle Cengage Learning

  20. [단행본] Popham, J. / 2003 / Test better, teach better: The instructional role of assessment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1. [학술지] Rivers, W. P. / 2001 / Autonomy at all costs : An ethnography of metacognitive self-assessment and self-management among experienced language learners / The Modern Language Journal 85 (2) : 279 ~ 290

  22. [단행본] Shin, S. K. / 2010 / Theory and practice of foreign language assessment / Hankook Munhwasa

  23. [학술지] 송민영 / 2014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능력 특성 / 초등영어교육 20 (2) : 167 ~ 191

  24. [학술지] Sullivan, K. / 2014 / Reconsidering the assessment of selfregulated foreign language courses / Studies in Self-Access Learning Journal 5 (4) : 443 ~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