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교사의 교육적 지원을 통한 자폐아동의 학교생활 변화 연구

A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an Autistic Child's School Life in an Inclusion Education Context

교과교육학연구
약어 : -
2008 vol.12, no.1, pp.273 - 292
DOI : 10.24231/rici.2008.12.1.273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8 회 열람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물리적 통합이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일반 학급에서 사회 적, 교육과정 통합이 어떻게 시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담임교사의 교육적 지원을 통해 초등 학교 3학년 남자 자폐아동의 학교생활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탐색하고자 예비관찰과 집중관 찰, 면담 등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관찰 시기였던 물리적 통합단계에서는 아동은 자폐적 특성을 그대로 드러냈지만, 담임교사에 의해 교육적 지원이 제공된 사회적 통합과 교육과 정 통합의 단계에서는 자폐아동에게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담임교사가 자폐아동을 위해 제공한 교육적 지원은 생활면과 학업면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학교생활의 변화과정을 살펴 볼 때, 자폐아동의 학습능력이 향상되었고 혼자만의 일방적 상호작용에서 함께 하는 쌍방적 상호 작용으로 점차 변화되어갔다. 또한 공격적, 방어적 태도가 줄어들고 협동심과 자립심이 증가하여 통합학급 내에서 자폐아동의 학교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실제 적인 통합교육이 되려면 교사의 애정과 관심,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필수적이며, 자폐아동을 둘러 싼 관련인과의 협력관계, 자폐아동 및 그 학급아동 간의 쌍방적 상호이해를 위한 시도가 함께 이루 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of an autistic child's life at school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A boy who has been diagnosed as an Autism, was selected. In order to get the resources, general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ing process of the autistic child's life at school was observed in the stage of physical integration with no educational support. In the stage of physical integration, where the class was integrated for the sake of qualitative integration of the child, there was no educational support offered; the child revealed his autistic tendencies. Second, the educational support was given in the academic aspect. The school subjects were revised and all those efforts were made as the investigator got together with a special teacher to discuss the curriculums at the Curriculum Revisions Council and to revise the curriculum of cooperative learning-based social studies and that of science for the child with autism. Third, there were changes to him both in the academ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pect after the educational support was given. The changes were as follows; in the academic aspect, the negative sides of the child revealed in the early semester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educational support was given.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his learning abilities increased, his own one-way interactions changed to the two-way interactions, his aggressive and defensive attitudes decreased, and his cooperation and autonomy increased. In the integrated class, the autistic child's school life went through very positive changes.

통합학급, 자폐 아동, 학교생활, 교육적 지원
inclusion, autistic child, school life, educational support

  • 1. [학위논문] 권원영 / 1998 / 특별한 친구 프로그램을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변화 연구
  • 2. [단행본] 강경숙 / 2000 / 세 학교의 통합교육 운영사례 /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 3. [학위논문] 고지민 / 2001 /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따른 통합학급 내 상호작용 특징 연구
  • 4. [학술지] 김현기 / 2004 / 통합적 ball sports program이 자폐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평생체육연구소 논문집 / 16 : 93 ~
  • 5.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2 / 모든 학생의 교육성과 제고를 위한 특수교육 발전 종합계획안(2003~2007)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6. [단행본] 국립특수교육원 / 2000 /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 /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 7. [단행본] 국립특수교육원 / 2001 / 지역사회 중심의 특수교육 운영방안 /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 8. [학위논문] 김수연 / 2002 / 놀이프로그램의 통합 및 놀이수정 교수 여부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정서적 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9. [단행본] 김원경 / 2003 / 특수교육법 신론 / 서울: 특수교육
  • 10. [단행본] 김청송 / 2002 / 정신장애 사례연구:DSM-IV를 중심으로 / 서울: 학지사
  • 11. [단행본] 박승희 / 2001 / 특수교육 발전 5개년(2003~2007)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12. [단행본] 박승희 / 2004 /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 서울: 교육과학사
  • 13. [학술지] 신경미 / 2002 / 일반학교와의 교류교육을 통한 우정 지원 프로그램 적용이 자폐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친구관계 기술 습득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 저널 / 3 (4) : 107 ~ 4
  • 14. [학술지] 신현기 / 2003 / 초등 통합학급 저학년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 신장 방안에 관한 반성적 고찰 / 재활복지 / 7 (2) : 26 ~ 2
  • 15. [학위논문] 오선영 / 2000 / 또래지원망 프로그램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16. [학위논문] 이경아 / 2005 / 자폐성 장애아동의 유치원?초등학교 통합에서의 적응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17. [학술지] 이근매 / 1998 / 자폐성 아동의 완전통합에 관한 연구 / 정서학습장애연구 / 14 (1) : 133 ~ 1
  • 18. [단행본] 이용숙 / 2005 / 실행연구방법 / 서울: 학지사
  • 19. [단행본] 이유훈 / 2003 / 유?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 20. [단행본] 정동영 / 2001 /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 연구 /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 21. [학술지] 최혜승 / 2005 / 통합교실에서 자폐아동의 사회적 수용 및 친구관계 증진 전략 / 발달장애학회지 / 9 (2) : 137 ~ 2
  • 22. [학위논문] 황정숙 / 2003 / 자폐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 23. [단행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1994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IV)(4th ed.) / Washington, DC: APA
  • 24. [학술지] Fisher, D. / 2001 / Access to the core curriculum: Critical ingredients for student success /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 22 (3) : 148 ~ 3
  • 25. [단행본] Hallahan, D. / 1994 / Exceptional children: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6th ed.) / Boston: Allyn & Bacon
  • 26. [단행본] Halvorsen, T. A. / 2001 / Building inclusive schools: Tools and strategies for success / MA: Ally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