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형 혁신학교인 다행복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실시하여 다행복학교의 성과와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급과 지정연차를 고려하여 9개 학교를 선정한 다음 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행복학교의 성과로 교장‧교감 선생님의 민주적 리더십을 통한 구성원간 신뢰 형성, 교사 다모임을 통한 자발적 연대감 형성, 참여를 통한 학생들의 자발성, 선생님께 밝게 다가오는 학생들, 교사에서 학생으로 수업관점의 변화 등을, 일반학교에도 우선적으로 확산했으면 하는 다행복학교의 성과로는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 담임교사 행정업무 덜어내기, 수업 나눔 형태의 수업공개 및 협의회, 묶음 수업(블록 수업), 학생들의 인성과 잠재력 개발, 예산 집행의 자율성, 학생 참여중심의 행사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행복학교의 과제로 1년에 다 바꿀 수 없음, 변화에 대한 교직원 공유, 획기적 업무 경감, 학교 변화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전체적 동참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행복학교의 발전과 일반화를 위해 투입 차원, 구조 차원, 정치 차원, 개인 차원, 문화 차원, 교수․ 학습차원, 환경 차원, 산출 차원에서 도입되거나 내실화되어야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부산다행복학교, 혁신학교, 교사문화, 학교변화

참고문헌(35)open

  1. [보고서] 강혜영 / 2016 / 행복배움학교 성과분석 연구

  2. [보고서] 김용하 / 2015 / 부산지역 다행복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 393 ~ 454

  3. [보고서] 김지태 / 2016 / 부산지역 다행복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초등사례).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초등) : 197 ~ 244

  4. [단행본] 박병량 / 2012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학지사

  5. [보고서] 박순기 / 2016 / 혁신초등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초등) : 173 ~ 194

  6. [학술지] 박승배 / 2016 / 전라북도 제4기 혁신학교 종합평가 결과 분석 / 초등교육연구 27 (2) : 269 ~ 287

  7. [학술지] 배은주 / 2014 / 혁신학교 운영의 특징과 갈등 탐색 / 교육사회학연구 24 (2) : 145 ~ 180

  8. [보고서] 백병부 / 2014 /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 분석: 교육격차 감소를 중심으로

  9. [보고서] 부산광역시교육청 / 2014 / 부산혁신학교 추진 기본 계획

  10. [보고서] 부산광역시교육청 / 2015 / 부산다행복학교, 되돌아보다. 2015학년도 부산다행복학교 성과보고서

  11. [보고서] 부산광역시교육청 / 2016 / 혁신교육, 희망을 이야기하다. 부산다행복학교성과보고서

  12. [보고서] 부산광역시교육청 / 2017 / 2017학년도 부산다행복학교 운영 계획

  13. [학술대회] 성기선 / 2017 /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 2017 전국시도교육청네트워크 교육혁신 국내학술대회 자료집 : 153 ~ 178

  14. [학술지] 성병창 / 2017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 도입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연구 / 교육혁신연구 27 (4) : 149 ~ 171

  15. [보고서] 안광식 / 2015 / 2015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16. [보고서] 안지영 / 2015 / 부산다행복초등학교의 교사문화 형성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33 ~ 54

  17. [학위논문] 양서영 / 2016 / 마할라노비스 거리 매칭을 활용한 서울형혁신학교 성과 분석

  18. [학위논문] 유경훈 / 2014 / 학교혁신 과정의 양가성(ambivalence) : 혁신 학교 운영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19. [학술지] 윤석주 / 2016 /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33 (1) : 217 ~ 241

  20. [학술지] 윤정 / 2016 /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의 갈등경험에 관한 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34 (2) : 221 ~ 252

  21. [학술지] 이경아 / 2016 /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26 (1) : 75 ~ 100

  22. [보고서] 이상철 / 2016 / 부산다행복학교 질 관리를 위한 평가모형 및 평가지표 개발

  23. [보고서] 이수광 / 2017 / 부산다행복학교 2년차 중간평가 및 정책 발전 방향 연구

  24. [학술지] 이승호 / 2016 /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34 (3) : 129 ~ 158

  25. [학술지] 이연선 / 2017 /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 교육혁신연구 27 (1) : 63 ~ 90

  26. [단행본] 이용숙 / 2002 /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교육과학사

  27. [보고서] 이정순 / 2016 / 부산지역 다행복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중등학교 중심). 2016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 연구보고서 : 553 ~ 610

  28. [보고서] 조윤정 / 2015 /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발전방안

  29. [보고서] 진명순 / 2015 / 학교문화 혁신을 위한 교사들의 소통과 참여 활성화 방안 탐구 : 75 ~ 104

  30. [보고서] 최창의 / 2015 / 시‧도교육청 혁신학교 정책 비교 연구-경기‧전북‧서울을 중심으로-

  31. [학위논문] 한영욱 / 2015 / 혁신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32. [학술대회] 홍동희 / 2017 / 혁신학교 일반화를 위한 제안 / 부산다행복학교추진위원회 회의자료

  33. [단행본] Creswell, J. W. / 2003 /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 Sage

  34. [단행본] Hoy, W. K. / 2005 /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 McGraw-Hill

  35. [인터넷자료] OECD / PISA 2015 Results: polices and practice for successful schools(VOL. 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