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문화예술계 성인지 교육 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Gender Edu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교육문화연구
약어 : JOEC
2020 vol.26, no.2, pp.415 - 433
DOI : 10.24159/joec.2020.26.2.415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2 회 열람

본 연구는 미투 운동 이후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성인지 교육의 실태와 쟁점을 탐색하고, 문화예술계성인지 교육이 우리 사회의 젠더 관계 변화를 견인하는 변혁적 교육이 되기 위해서 어떤 전략적 고민들이 필요한지살펴보았다. 문화예술계에 나타나는 젠더 기반 폭력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폐쇄적 인맥구조와 경제적 불안정성 등으로인해 피해사실이 신고로 이어지는 비율이 매우 낮았고, 문화예술 분야의 특수성으로 신체 자율권 및 인격권의 침해를당연히 여기는 관습이나 잘못된 통념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예술계의 성평등한 인권환경을 조성하기위해 제시한 성인지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계 성인지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 둘째, 지역 중심의 전문 인력 양성 및 활동 지원, 셋째, 공동체적이고 참여적인 성인지 교육의 과정으로서 문화예술활동모니터링에 대한 지역 주민의 참여 확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and issues around gender education that have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Korean society since the #MeToo movement. It also looked at what strategic changes are needed in order to make gender education in culture and the arts a transformative process that drives broader changes in gender relations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based violence i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reporting of such violence was very low due to the closed structure of the social networks and inherent economic instability of the sector.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ertain customs around or misconceptions about the infringement of bodily autonomy and personal rights, which may be taken for granted due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sector. Therefore, to create a gender-equal human rights environment i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gender education are proposed. Firstly, regulatory support to promote gender edu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ly, there should be increased support towards cultivating locally-centered professional manpower and activities. Thirdly,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enlisted in monitoring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as a process of communal and participatory gender education.

성인지 교육, 젠더 감수성, 비판적 페다고지, 여성, 양성평등
Gender education, Gender sensitivity, Critical pedagogy, Female, Gender equality

  • 1. [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 2006 / 양성평등교육 활성화 방안
  • 2. [학술지] 김경주 / 2013 / 자치단체 공무원의 성인지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 / 한국자치행정학보 / 27 (3) : 1 ~ 3 kci
  • 3. [보고서] 김동식 / 2018 / 문화예술계(영화산업) 여성종사자 인권상황 실태 조사
  • 4. [보고서] 김선희 / 2010 / 경기도 성평등교육 전문강사 양성실태 및 표준교육안 개발
  • 5. [학술지] 김지승 / 2019 /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바란다 / 예술人 / 29
  • 6. [학술지] 김학실 / 2014 / 효과적인 성 주류화 정책을 위한 우선순위 연구 - 성별영향분석평가를 중심으로 - / 한국자치행정학보 / 28 (1) : 257 ~ 1 kci
  • 7. [학술지] 김혜인 / 2018 / 양성평등문화정책 구축을 위한 문화예술계의 성 격차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정책논총 / 32 (3) : 33 ~ 3 kci
  • 8. [보고서] 류정아 / 2019 / 문화․체육․관광 분야 성인지 현황 조사․분석 연구
  • 9. [단행본] 노경혜 / 2018 / 경기도 문화정책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경기상상캠퍼스를 중심으로 /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10. [보고서] 류정아 / 2018 / 성평등 문화정책 현황 및 발전방안
  • 11. [보고서] 박근화 / 2019 / 공연예술분야 성(性)인지 인권환경 실태조사
  • 12. [학위논문] 박명원 / 2012 / 장애아동·청소년의 성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13. [학술지] 박미영 / 2011 / 노년기 체험중심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여성연구논집 / 22 : 139 ~
  • 14. [학위논문] 배유경 / 2015 /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
  • 15. [보고서] 송인자 / 2019 / 2018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양성 연구
  • 16. [학술지] 심우진 / 2019 / 학교태와 언어교육의 해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9 (5) : 763 ~ 5 kci
  • 17. [학술지] 오재림 / 2006 / 교육부문에서 성평등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과 과제 / 아시아여성연구 / 45 (1) : 235 ~ 1 kci
  • 18. [보고서] 이갑숙 / 2007 / 양성평등교육의 수요 및 통합관리방안 연구
  • 19. [학술지] 이경욱 / 2019 / 여성노인의 젠더인식을 위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 -‘선녀와 나무꾼’ 독서토론을 중심으로 / 독서치료연구 / 11 (2) : 113 ~ 2 kci
  • 20. [학위논문] 이주환 / 2018 /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관점에서 본 노동조합 성평등 교육의 성과와 과제 : 민주노총 성평 등 강사단 교육 사례 연구
  • 21. [보고서] 이화진 / 2019 / 성평등 교육을 위한 지역콘텐츠 개발 연구
  • 22. [보고서] 이혜진 / 2019 / 문화예술행사 성인지 모니터링을 위한 추진방향
  • 23. [보고서] 장현정 / 2013 / 성인지정책교육 컨텐츠개발-안전, 건강
  • 24. [보고서] 전길양 / 2015 / 성인지 교육의 효율적 기반체계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 25. [학위논문] 정서연 / 2012 / 노년기 성인식과 성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 26. [보고서] 조자경 / 2017 / 평등스쿨 운영방안 연구 – 서울시 성평등교육을 중심으로
  • 27. [단행본] 토니 포터 / 2019 / 맨박스 Man Box 남자다움에 갇힌 남자들 / 한빛비즈
  • 28. [보고서]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 2012 / 2012 생애주기별 양성평등의식교육 성인기‧노인기
  • 29. [보고서] 황정임 / 2018 /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
  • 30. [학술지] 홍기원 / 2019 / 문화정책의 성주류화전략 적용을 위한 시론적 연구 / 문화와 정치 / 6 (2) : 37 ~ 2 kci
  • 31. [보고서] 홍선영 / 2012 / 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 32. [보고서] 홍선영 / 2012 / 장애아동 유형별 성폭력예방교육 실태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
  • 33. [학술지] Dunn, Kathleen / 1993 / Feminist Teaching: who are your students? / Women’s Studies Quarterly / 21 (3/4)
  • 34. [단행본] Esping-Andersen, Gosta / 2014 / 끝나지 않은 혁명 / 나눔의 집
  • 35. [단행본] Freedman, Estelle / 2009 / Feminist Pedagogy: Looking Back to Move Forward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36. [단행본] Freire, Paulo / 2010 / 페다고지30주년 기념판 / 그린비
  • 37. [단행본] Wood, Julia / 2009 / Feminist Pedagogy: Looking Back to Move Forward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38. [인터넷자료] / 교육통계서비스 누리집
  • 39. [인터넷자료] / 금천구마을공동체지원센터 누리집
  • 40. [인터넷자료] / 동아대학교 누리집
  • 41. [인터넷자료] / 서울시성평등활동지원센터 누리집
  • 42. [인터넷자료] / 세계경제포럼 누리집
  • 43. [기타] 경기도 / 2019 / 도, 찾아가는 성인지교육 ‘경기젠더스쿨’ 운영. 보도자료
  • 44. [기타] 여성가족부 / 2017 / 성평등보이스와 함께 나누는 ‘나의 성평등 실천사례’. 보도자료
  • 45. [기타] 이웅 / 2020 / 문화예술계 성폭력 예방교육 전문강사 36명 본격 활동 / 연합뉴스
  • 46. [기타] 정순형 / 2019 / 부산여성가족개발원, 남성보이스단 워크숍 개최 / 부산일보
  • 47. [기타] 조윤제 / 2019 / 창원시 남성공무원 ‘양성평등 보이스단’ 내달 출범 / 경남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