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고전소설의 일반적 특징으로 언급되고 있는 ‘우연성과 초현실성’이 고전소설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조장하는 주된 요소임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그리고 이상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최척전>을 수록하고 있는 문학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점검하였다. 점검 결과, 우선 <최척전>은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전쟁(정유재란)이 서사 전개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소설에 비해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이라는 점을 문학사적 의의로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우연성과 초현실성을 드러내는 화소도 여전히 존재함을 부각하면서, 이를 ‘고전소설의 일반적 특징’ 차원에서 분석·정리하였다. 문제는 <최척전>에서 보이는 ‘우연성과 초현실성’을 곧바로 조선 후기에 유행한 영웅 소설의 그것과 동질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나아가 그러한 요소가 <최척전>의 사실성 확보라는 문학사적 의의와는 구별되는 일종의 텍스트적 한계인 것처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결국 사실성을 보다 철저하게 구현한 소설만이, 소설이라는 장르의 본령에 다가선 것이라는 암묵적 전제가 깔려있다는 점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더욱이 해당 지도서의 관점은 고전소설과 현대소설을 사실성의 확보라는 규준을 통해 구획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이질성을 강조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반성적 성찰이 요구된다. 교육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의 문제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연성과 초현실성’의 이면에 잠복해 있는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함께 환기할 수 있는 교육적 관점이 절실하다. <최척전>의 경우, ‘장륙불의 현몽’이나 이산을 겪었던 가족들의 극적인 재회는 단순히 사건 전개를 위한 우연적이고 초현실적인 화소가 아니라 실제로 전란을 겪었던 당대의 많은 사람들이 <최척전>을 통해 받았을 문학적 위안을 가능케 한 요소로서 교육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적 관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설 장르를 넘어 당대의 전쟁 체험이 반영된 일기와 전(傳) 등의 부대 자료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특히 많은 교사들이 수업 진행을 위해 자주 활용하는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그 집필 과정에서 작품의 창작과 향유를 둘러싼 역사적 맥락을 충분히 조명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들이 보다 온당한 작품의 분석과 감상에 이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문학 교육, 고전소설, 우연성, 초현실성, 최척전

참고문헌(17)open

  1. [학위논문] 강진구 / 2002 / 근대초기 소설론 연구 : 우연성 논의를 중심으로

  2. [학술지] 김성룡 / 2004 / 우연성과 환상성 / 국어국문학 (137) : 191 ~ 211

  3. [학술지] 김용기 / 2014 / 교과서 속 고소설의 定典化 양상과 교수ㆍ학습 방향-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1종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고소설연구 (38) : 95 ~ 128

  4. [학술지] 김주환 / 2013 / 고등 문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 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16 (3) : 27 ~ 51

  5. [단행본] 김흥규 / 2002 / 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 / 고려대 출판부

  6. [단행본] 민족문학사연구소 / 2017 / 한국 고전문학작품론 1 한문소설 / 휴머니스트

  7. [단행본] 민족문화추진회 / 1977 / 국역 해행총재 9 / 민족문화추진회

  8. [단행본] 서대석 / 고전산문 연구와 국어교육 : 42 ~ 43

  9. [학술지] 서인석 / 1979 / 고대소설에 있어서의 ‘우연성’ 문제: <유충렬전>을 중심으로 / 선청어문 10 : 139 ~ 167

  10. [단행본] 신동흔 / 2004 / 이생규장전 / 한겨레아이들

  11. [단행본] 윤여탁 / 2014 / 고등학교 문학 교사용 지도서 / 미래엔

  12. [학술대회] 장경남 / 2017 / 고소설과 일기 / 한국고소설학회 제118차 정기학술대회 : 49 ~ 67

  13. [단행본] 조동일 / 1973 /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 한국문화연구소

  14. [학술지] 조희정 / 2016 /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 고전문학과 교육 (32) : 63 ~ 118

  15. [단행본] 한국고소설학회 / 2005 / 고전소설 교육의 과제와 방향 / 월인

  16. [단행본] 한철우 / 2015 / 중학교 국어 5 / 비상교육

  17. [학술지] 허춘 / 1991 / 고소설의 우연성 재검토 / 제주대학교 논문집 33 : 13 ~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