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위한 사례개념화/평가 모델

Case Conceptualization/Assessment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목회와상담
약어 : -
2016 vol.26, pp.361 - 392
DOI : 10.23905/kspcc.26..201605.012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연구분야 : 기독교신학
Copyright © 한국목회상담학회
159 회 열람

이 논문은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을 위한 사례개념화/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논한 것이다. 사례개념화는 효과적인 상담에서 매우 중요한데 상담이론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접근할 수 있다. 여성주의 목회상담은 전통 목회상담을 비판하고 반박함으로써 출현한 것이기에 여성주의 목회상담이론에 근거한 사례개념화가 필요하여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위한 사례개념화는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과 여성주의 목회신학에 근거하여 구성되었다.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은 여성주의 상담의 하나로 사회적 여성주의와 유색여성주의이론에 근거하여 전개되었다.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은 여성주의 해방신학에 매우 지대하게 영향 받았으며 현대에 이르러 젠더, 인종, 경제, 성적 경향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개인차를 강조하는 이론에 근거한다. 이 부분에서 이론적으로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과 매우 유사하기에 여성역량강화상담에서 강조하는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개인적 · 사회적 정체성은 상호의존적이다,’ ‘ 상담자와 내담자는 평등하다,’ ‘여성의 시각은 가치 있다.’를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을 위한 사례개념화 실제에 반영하고자 했다. 그 뿐 아니라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을 위한 사례개념화는 여성주의 목회신학의 하나님이해에 근거한 ‘춤추고 놀이하는 하나님’에 기초해 구성했다. 이를 위해 캐터린 라쿠나가 우리를 위한 하나님에서 논의한 페리코레틱 삼위일체 하나님, 리타 브락이 에로틱 힘으로서의 하나님과 놀이하기, 샐리 맥페이그의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 연인, 하나님 친구의 모델을 참고했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사례개념화의 주요 핵심요소인 내담자의 정체성, 문화적 배경, 심리학적, 신학적 평가, 상담 목표 등을 논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se conceptualization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e case conceptualization is an important tool for effective pastoral counseling and can differ according to where its theory stands.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nt the case conceptualization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on the basis of feminist pastoral theology since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differs from traditional counseling in terms of its basic theory and conception. The bases for the feminist pastoral case conceptualization are feminist empowerment theory and feminist pastor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The feminist empowerment theory is mainl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feminism and the perspective of women of color. Similarly, feminist pastoral theology walks a fine line between the feminist liberation perspective and the constructive perspective. Thus, case conceptualization for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pursues the four principles of feminist empowerment theory: the personal is the political, the individual identity and the social identity are interdependent, women’s experiences are valued, and counselors and clients are equal. Another resource for the feminist pastoral case conceptualization is the feminist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the dancing and playing Trinity,” “the perichoretic Trinity” of Catherine LaCugna, “erotic power” and ”playing” of Rita Brock, “God of the Mother, God of a Partner, God of Friends” of Sallie McFague, and “Han-women-playing” of Chung are used for construction of the Trinity. Finally, the client’s identity, cultural background,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ssessment, and the goal setting of case conceptualization are discussed for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여성주의 목회상담, 여성주의 사례개념화, 여성주의 목회상담 평가, 페리코레틱 하나님과 목회상담, 삼위일체와 목회상담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feminist case conceptualization, feminist pastoral assessment, the perichoretic God and assessment, Trinity and pastoral counseling

  • 1. [학술지] 김경 / 2015 / 상호존중의 관계를 통한 창발적 상담수퍼비전: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 목회와상담 / 24 : 7 ~ kci
  • 2. [단행본] 김민예숙 / 2013 / 여성주의 상담: 구조화 모델 워크북 / 한울
  • 3. [학술지] 김수현 / 2006 / 심리치료 사례공식화 방법의 개관과 비교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8 (2) : 255 ~ 2 kci
  • 4. [학술지] 김수현 / 1997 / 정신역동적 사례공식화: 계획공식화 방법과 개별적 갈등공식화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9 (1) : 129 ~ 1
  • 5. [학술대회] 김수현 / 1995 / 정신역동적 사례공식화: CCFT와 PF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3 ~
  • 6. [학술지] 김용민 / 2015 / 성서를 사용하는 진단과 상담 / 목회와상담 / 24 : 43 ~ kci
  • 7. [단행본] 라쿠나, 캐서린 모리 / 2008 / 우리를 위한 하나님: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인의 삶 / 대한기독교서회
  • 8. [단행본] 맥페이그, 샐리 / 2006 / 어머니, 연인, 친구: 생태학적 핵 시대와 하나님의 세 모델 / 뜰밖
  • 9. [단행본] 버만, 펄 / 2007 / 사례개념화: 원리와 실제 / 학지사
  • 10. [단행본] 스턴버그, 로버트 / 2002 / 로버트 스턴버그의 사랑의 기술 / 사군자
  • 11. [단행본] 이미혜 / 2012 / 여성주의상담과 사례 슈퍼비전 / 학지사
  • 12. [학술지] 이윤주 / 2001 / 상담 사례개념화 요소목록 개발 및 수퍼비전에서 중요하게 지각되는 사례개념화 요소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3 (1) : 79 ~ 1
  • 13. [학술지] 정희성 / 2015 / 부부목회상담을 위한 새로운 하나님 이해: 춤추는 어머니, 연인, 친구 하나님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96) : 191 ~ 96 kci
  • 14. [단행본] 정희성 / 2011 / 여성과 목회상담 / 이대출판부
  • 15. [학술지] 정희성 / 2008 / 성폭력 피해자의 생존과 재활을 위한 성서 읽기 -여성주의 목회신학적 연구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55) : 203 ~ 55 kci
  • 16. [학술지] 정희성 / 2002 / 열린 체계로서의 목회 임상 진단 / 목회와 상담 / 2 : 250 ~
  • 17. [단행본] Brock, Rita Nakashima / 1993 / Journeys by Heart: a Christology of Erotic Power / Crossroad
  • 18. [단행본] Buxton, Graham / 2005 / The Trinity, Creation and Pastoral Ministry: Imaging the Perichoretic God / Graham Boxton
  • 19. [학술지] Doering, Carrie / 1992 / Developing Models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 Journal of Pastoral Care / 46 (1) : 23 ~ 1
  • 20. [단행본] Enns, Carolyn Zerbe / 1997 / Feminist Theories and Feminist Psychotherapies: Origins, Temes, and Variations / Haworth Press
  • 21. [학술지] Hawley, Dale / 1994 / Couples in Crisis: Using Self Report Instruments in Marriage Counseling / Pastoral Psychology / 43 : 93 ~
  • 22. [단행본] Herlihy, Barbara / 2014 /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ories and Intervention / Wiley
  • 23. [학술지] Kuyken, Willem / 2008 / Process Issue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Case Conceptualization / Behavio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 36 : 757 ~
  • 24. [학술지] Malony, Newton / 1993 / Making a Religious Diagnosis: The Use of Religious Assessment i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Pastoral Psychology / 41 (4) : 237 ~ 4
  • 25. [단행본] Neuger, Christie Cozad / 2001 / Counseling Women: a Narrative, Pastoral Approach / Fortress Press
  • 26. [단행본] Pembroke, Neil / 2006 / Renewing Pastoral Practice: Trinitarian Perspectives o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Ashgate
  • 27. [학술지] Perry, Samuel / 1987 / The Psychodynamic Formulation: Its Purpose, Structure, and Clinical application /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144 : 543 ~
  • 28. [단행본] Rodgerson, Thomas / 2015 / Understanding Pastoral Counseling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29. [학술지] Underwood, Ralph / 1982 / Personal and Professional Integrity in Relation to Pastoral Assessment / Pastoral Psychology / 31 (2) : 109 ~ 2
  • 30. [단행본] Worell, Judith / 2003 / Feminist Perspectives in Therapy: Empowering Diverse Women / John Wiley and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