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in Relation to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Styl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도에 소재한 대학생 386명(남학생: 165, 여학생: 221)을 연구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고통감내력, 분노표현양식(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고통감내력,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 중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는 고통감내력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internalized shame, distress tolerance, 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내면화된 수치심, 고통감내력,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in relation to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Style. Participants included 386 college students (165 males; 221 females).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Distress Tolerance Scale,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were used. After verif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in relation to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styl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Internalized Shame, Distress Tolerance, and the Anger In/Anger Out Expression sty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ger Control Expression sty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asurement revealed that Distress Toler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the Anger Out Expression Style. Distress Tolerance showed no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In, and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Control.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internalized shame, distress tolerance, 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내면화된 수치심, 고통감내력,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

참고문헌

1.

고윤경 (2007).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희주 (2014). 고통 감내력, 분노반추와 역기능적 분노의 관계: 청년과 성인 집단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계수 (2004).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SPSS 아카데미.

4.

김모아, 이영호 (2013). 분노신념과 분노표현이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병질, 자기애에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4(2), 193-213.

5.

김미림, 홍혜영 (2013). 중학생의 수치심 경향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135-156.

6.

남기숙 (2008). 수치심, 죄책감 경험과 대처가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민경환, 김지현, 윤석빈, 장승민 (2000). 부정적정서 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정서 종류와 개인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16.

8.

박성아 (2010).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9.

박지선 (2009).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청소년의정서조절결함 모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 현 (2008). 서울시 지방공무원의 완벽주의성향과 자아존중감, 분노 및 수치심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수균 (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22(4), 1147-1168.

13.

서지영 (1996). 특성분노의 반응양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제 변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안봉화 (2011).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승희, 권선중 (2014). 신경증적 경향성과 알코올 중독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4(1), 424-424.

16.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척도(ISS)의 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17.

장진아 (2006). 여성의 대상관계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장하연, 조용래 (2012).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 감내력이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2(3), 299-313.

19.

정해숙, 정남운 (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와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2), 89-107.

20.

전현숙, 손정락 (2011). 역기능적 분노표현 및 비합리적 신념과 마음챙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377-396.

21.

최은영 (2010).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외상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2.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 문제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2(2), 479-492.

23.

한덕웅, 전겸구, 이장호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24.

한혜림 (2004). 자기애가 사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 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홍세희 (2001). 임상심리학 이론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최신 연구 방법론: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매개 모형과 잠재평균 모형의 분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 3월 workshop 자료집.

2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27.

Anestis, M. D., Selby, E. A., Fink, E. L., & Joiner, T. E. (2007). The multifaceted role of distress tolerance in dysregulated eating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0(8), 718-726.

28.

Bradshaw, J. (2005).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Florida: Health Communications, Inc.

29.

Buckner, J. D., Keough, M. E., & Schmidt, N. B. (2007). Problematic alcohol and cannabis use among young adults: The roles of depression and discomfort and distress tolerance. Addictive Behaviors, 32(9), 1957-1963.

30.

Cicchetti, D., Ackerman, B. P., & Izard, C. E. (1995).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01), 1-10.

31.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Inc.

32.

Ellard, K. K., Fairholme, C. P., Boisseau, C. L., Farchione, T. J., & Barlow, D. H. (2010). Unified protocol for the trans 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Protocol development and initial outcome data.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7(1), 88-101.

33.

Hawkins, K. A., Macatee, R. J., Guthrie, W., & Cougle, J. R. (2013). Concurrent and prospective relations between distress tolerance, life stressors, and anger.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3), 434-445.

34.

Jerome, E. M., & Liss, M. (2005). Relationships between sensory processing style, adult attachment, and cop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6), 1341-1352.

35.

Kaufman, G. (1989).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Springer

36.

Kernberg, O. F.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Jason Aronson.

37.

Lewis, H. B. (1990). Repression and Dissociation:Implications for Personality Theory, Psychopathology and Health.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

Leyro, T. M., Zvolensky, M. J., & Bernstein, A. (2010).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nd disorder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mong adults. Psychological Bulletin, 136(4), 576-600.

39.

Linehan, M. M. (1993).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Guilford Press.

40.

McHugh, R. K., Daughters, S. B., Lejuez, C. W., Murray, H. W., Hearon, B. A., Gorka, S. M., & Otto, M. W. (2011). Shared variance among self-report and behavioral measures of distress intoler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5(3), 266-275.

41.

Nock, M. K., & Mendes, W. B. (2008). Physiological arousal,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deficits among adolescent self-injur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1), 28-38.

4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44.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45.

Simons, J. S., & Gaher, R. M. (2005).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29(2), 83-102.

46.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New York: Springer.

47.

Spielberger, C. D., Reheiser, E. C., & Sydman, S. J. (1995).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18(3), 207-232.

48.

Tangney, J. P., Burggraf, S. A., & Wagner, P. E. (1995). Shame-proneness, guilt-proneness, and psychological symptom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4(9), 741-754.

49.

Tangney, J. P., Wagner, P., & Gramzow, R. (1992). Proneness to shame, proneness to guilt,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3), 469-478.

50.

Tangney, J. P., Wagner, P. E., Hill-Barlow, D., Marschall, D. E., & Gramzow, R. (1996).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constructive versus destructive responses to anger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4), 797-809.

51.

Vujanovic, A. A., Hart, A. S., Poter, C. M., Berenz, E. C., Niles, B., & Bernstein, A. (2013).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in relation to PTSD symptoms among-traumaexposed adults.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5(2), 235-24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