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전래한 불사리는 우리나라에 전래된 석가의 진신사리 가운데 봉안처가 알려진 유일한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전래 이후 전세과정에 대한 문헌자료가 풍부하여 우리나라 불사리신앙과 불교미술의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자장전래 불사리 관련 『삼국유사』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내용의 일부는 후대에 윤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자장이 전래한 사리의 종류는 원래 100매의 진신사리가 중심이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佛頭骨과 佛牙 추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윤색의 배경으로는 9세기 중반부터 13세기에 걸쳐 佛頂骨과 佛牙 중심으로 재편되는 사리신앙의 변화가 작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통도사 계단에 봉안된 진신사리 친견과 관련된 여러 기록을 분석한 결과 통도사 계단의 蓋石은 원래 개폐가 용이한 구조였으며, 사리를 꺼내서 수계의식을 거행한 사례도 확인된다. 그리고 의식과 관련된 기록을 단서로 통도사 계단을 조사한 결과 원래 계단 위로 올라가기 위한 층계가 5곳에 배치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울산 태화사지 인근에서 발견된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은 일반 석종형 부도와 달리 구조적으로 사리공의 개폐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통도사 계단의 사리친견 사례로 본다면 태화사지 사리탑 또한 구조적으로 진신사리를 봉안했던 사리탑일 가능성이 있다. 끝으로 통도사 계단 石蓋의 형태는 13세기 후반까지 가마솥(釜, 鑊) 모양으로 묘사되다가 14세기 후반 이후에는 현재의 모습과 같은 石鍾으로 표현이 바뀐다. 이를 통해 통도사 계단은 14세기에 이르러 대대적인 중수가 있었으며, 중수 이전 개석의 형태는 감은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치와 유사한 형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형태의 근원과 명칭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감은사 사리기는 『계단도경』에 묘사된 계단의 형태를 사리기로 변용했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慈藏, 眞身舍利, 佛牙, 佛頭骨, 통도사 戒壇, 사리장엄구, 삼국유사

참고문헌(25)open

  1. [기타] / 續高僧傳

  2. [기타] / 關中創立戒壇圖經

  3. [기타] / 三國史記

  4. [기타] / 三國遺事

  5. [기타] / 牧隱集

  6. [기타] / 高麗史

  7. [단행본] 김복순 / 1990 / 新羅華嚴宗硏究 / 민족사

  8. [학술지] 김연수 / 2000 / 韓國舍利器에서의 ‘寶帳’ 형식에 대한 考察 / 美術資料 (65)

  9. [학술지] 남동신 / 1992 / 자장의 불교사상과 불교치국책 / 한국사연구 76

  10. [학술지] 남동신 / 2016 / 삼국유사 속의 삼국유사-전후소장사리조 /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7

  11. [학술지] 노재성 / 2003 / 자장율사의 생애 /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논문집 10

  12. [단행본] 신종원 / 1992 / 신라초기불교사연구 / 민족사

  13. [단행본] 오인 / 2015 / 백제 사리장엄과 동아시아 불교문화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4. [단행본] 이난영 / 1992 / 韓國古代金屬工藝硏究 / 일지사

  15. [학술지] 장충식 / 2003 / 한국 불사리신앙과 그 장엄 / 불교미술사학 1

  16. [단행본] 장충식 / 1997 / 한국의 불교미술 / 민족사

  17. [학술지] 장충식 / 1979 / 韓國石造戒壇考 / 불교미술 4

  18. [학술지] 주경미 / 2010 / 남송대 정치 변동과 불사리장엄 / 미술사와 시각문화 (9) : 54 ~ 85

  19. [학술지] 최효식 / 2012 / 중국 북경 지역 계단(戒壇) 배치와 형제(形制)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 (10) : 237 ~ 246

  20. [학술지] 한정호 / 2008 / <皇龍寺刹柱本記>와 불사리장엄구 연구 / 미술자료 (77) : 15 ~ 40

  21. [학술지] 한정호 / 2010 /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寶帳形舍利器 復元再考 / 신라문화 (35) : 133 ~ 156

  22. [단행본] 허흥식 / 1984 / 韓國金石全文 / 아세아문화사

  23. [단행본] 황수영 / 1999 / 한국금석유문 / 혜안

  24. [학술지] 황수영 / 1962 / 울산의 십이지상부도 / 미술자료 5

  25. [단행본] / 1983 / 通度寺誌 / 아세아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