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 도시연구 -이론적 자원과 방법-

Research on North Korean Cities - Theoretical Sources and Method -

북한학연구
약어 : -
2012 vol.8, no.2, pp.83 - 120
DOI : 10.23040/kcidoi.2012.8.2.003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연구분야 : 지역학
Copyright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1 회 열람

본 논문은 북한 주민들의 구술자료, 특히 생애사 구술자료를 활용하여 어떻게북한 도시를 연구할 것인가에 관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의 성격과 지역정체성의 개념, 도시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을 검토하고, 이들 이론이 북한 도시공간 연구에 주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의 도시공간을 탐구한다는 것은 북한의 도시공간 내의 행위자들의 행위와 상호작용에 의해 어떻게 특정한 사회적 공간이 생산되는가를 밝히는 작업이어야 한다. 둘째,다양한 행위자들과 사회세력들 간에 일어나는 공간의 생산을 둘러싼 경합과 갈등, 권력관계에 착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공간이 생산될 뿐만 아니라 공간이 인간 행위를 규제하고 물질들의 공간적 배치가 인간의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행위자들에 의한 공간의 소비와 체험, 공간에 대한 행위자들의 해석과 의미부여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공간을 통해이루어지는 권력의 지배에 초점을 둘 것인가, 공간을 점유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저항과 갈등, 공간의 전유에 초점을 둘 것인가라는 쟁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북한 주민들의 구술생애사 자료가 북한 도시연구, 특히 북한 도시의 정체성을 탐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그 의의와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북한 도시연구에서 탈북이주민의 생애사자료를 비롯한 구술자료는 ‘주관성’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주체의 공간경험과 그를통해 형성되는 지역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어 적합한 자료가 된다. 개별적인 질적 사례의 설명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술자의 기억이 생산, 변형, 재현되는 사회적, 공간적 맥락을 고려하고, 사례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구술자의 경험을 맥락, 의도, 의미와 함께 서술하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 도시연구의 주제 영역으로일상적 공간을 통한 주체 형성과 주민들의 대응, 도시공간의 전유와 활용, 일상공간의 변화와 지역정체성 변화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orth Korean urban studies by utilizing oral materials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 of space, concept of local identity, and sociological theories relevant to urban studies, and draws implications from these theories for further research as follows. First, studies into North Korean urban spaces should reveal how social space is produced by behavior and interaction of actors. Second, the study needs to focus on competitions, conflicts, and power relations in regard to the production of space between the various actors. Third,consumptions and the actors’ experiences of the space, as well as their interpretations must be revealed because the social space is not only produces within interactions by agents, but it also regulates human behaviors. Fourth, there are relentless debates on whether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domination of power through space, or on the resistance, conflict, and appropriation of space by various actors. This paper addresses the oral materials of North Korean refugees which can be utilized as valuable data for the North Korean urban studies, and the paper also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order to set aside the explanatory power of individual qualitative cases,social and spatial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where the interviewee’s memory is produced, transformed, and reproduced. And various strategies of interpretation should be utilized by narrating experience of interviewee’s experience as well as the context, intention, and meaning. Lastly, the subjects of North Korean urban studie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oral materials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as following: the formation of agents through the space of daily life and response of agents, the appropri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space by agents, and the change of daily space and the change in local identity.

북한, 도시연구, 공간과 장소, 구술사, 생애사, 정체성
North Korea, Urban Studies, Space and Place, Oral History,Life History, Identity

  • 1. [단행본] 김백영 / 2009 / 지배와 공간 / 문학과지성사
  • 2. [학위논문] 金鍊鐵 / 1996 / 北韓의 産業化 過程과 工場管理의 政治(1953-70) : ‘수령제’ 政治體制의 社會經濟的 起源
  • 3. [단행본] 김왕배 / 2000 / 도시, 공간, 생활세계 / 한울
  • 4. [학술지] 문재원 / 2010 / 마산의 지역성을 둘러싼 정체성의 정치 - ‘가고파’ 이미지의 전유와 기획을 중심으로 / 석당논총 (47) : 59 ~ 47 kci
  • 5. [단행본] 민유기 / 2007 / 도시이론과 프랑스 도시사 연구 / 심신출판사
  • 6. [단행본] 박소영 / 2012 / 개성 각쟁이의 사회주의 적응사: 북한 신해방지구 개성의 변화 / 선인
  • 7. [단행본] 유인철 / 2010 / 구술된 경험읽기, In 여성주의 역사쓰기 / 아르케
  • 8. [학술지] 윤택림 / 1994 / 기억에서 역사로-구술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 한국문화인류학 / 25
  • 9. [학술지] 윤택림 / 2008 / 과천 신도시의 주민되기 - 구술생애사를 통한 지역정체성의 형성 분석 -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1 (2) : 307 ~ 2 kci
  • 10. [단행본] 이무용 / 2005 / 공간의 문화정치학 / 논형
  • 11. [단행본] 이종석 / 2000 / 새로 쓴 현대 북한의 이해 / 역사비평사
  • 12. [학술지] 이희영 / 2005 /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 한국사회학 / 39 (3) : 120 ~ 3 kci
  • 13. [학술지] 이희영 / 2011 / 텍스트의 ‘세계’ 해석과 비판사회과학적 함의 : 구술자료의 채록에서 텍스트의 해석으로 / 경제와 사회 (91) : 103 ~ 91 kci
  • 14. [단행본] 조용환 / 1999 / 질적 연구 / 교육과학사
  • 15. [학술지] 조정아 / 2008 / 북한의 교육일상 연구: 과제와 접근방법 / 현대북한연구 / 11 (3) : 230 ~ 3 kci
  • 16. [단행본] 장세훈 / 2007 / 체제전환기 북한의 도시화 추이와 전망, In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 변화 / 한울
  • 17. [학술지] 최병두 / 1996 / 데이비드 하비의 역사·지리유물론 / 경제와 사회 (31)
  • 18. [단행본] 최봉대 / 2003 / 탈북자 면접조사 방법, In 북한연구 방법론 / 한울
  • 19. [학술대회] 최봉대 / 2012 / 북한의 도시연구: 미시적 비교의 문제들과 방법적 보완의 모색 /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과 북한의 미래,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 개소 기념 학술회의 자료집
  • 20. [단행본] 최완규 / 2006 /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 한울
  • 21. [단행본] 장세훈 / 2007 /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 변화 / 한울
  • 22. [단행본] 한국공간환경학회 / 2000 / 공간의 정치경제학 / 아카넷
  • 23. [학술지] 홍준기 / 2011 / 글로벌 시대의 대도시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도시인문학 방법론 논의의 맥락에서―조나단 프리드먼과 짐멜의 이론을 중심으로 / 철학탐구 / 29 : 63 ~ kci
  • 24. [단행본] Abrams. L / 2010 / Oral History Theory / Routhledge
  • 25. [단행본] Chase, S. E. / 2005 / Narrative Inquiry: Multiple Lenses, Approaches, Voices, In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Sage Publications, Inc.
  • 26. [단행본] Edensor, T. / 2008 /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 도서출판 이후
  • 27. [단행본] Giddens, A. / 2010 /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 새물결
  • 28. [단행본] Giddens, A. / 1998 / 사회구성론 / 자작아카데미
  • 29. [단행본] 심재중 / 2002 / 현대인의 정체성 / 한울
  • 30. [단행본] Hall, S. / 1996 / Ethnicity: Identity and Difference, In Becoming National / Oxford University Press
  • 31. [단행본] 구동회 / 1994 /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 한울
  • 32. [단행본] Lefebre, H. / 2005 / 현대세계의 일상성 / 기파랑
  • 33. [단행본] Lefebre, H. / 2011 / 공간의 생산 / 에코리브르
  • 34. [단행본] Portelli, A. / 1991 / The Death of Luigi Trastulli and Other Stories: Form and Meaning in Oral History / SUNY Press
  • 35. [단행본] Ricoeur, P / 2004 / 시간과 이야기 3: 이야기된 시간 / 문학과 지성사
  • 36. [단행본] Scheroer, M. / 2010 / 공간, 장소, 경계 / 에코리브르
  • 37. [단행본] Thompson, P. / 1978 / The Voice of the Past: Oral History / Oxford University Press
  • 38. [단행본] 구동회 / 1995 / 공간과 장소 / 대윤
  • 39. [학술지] White, L. / 2000 / Telling More: Lies, Secrets, and History / History and Theory Theme (39)
  • 40. [단행본] 황정랑웅 / 2000 / 도시의 공간과 시간 / 대우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