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문장이 관형사처럼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은 여러 나라 언어에 존재하는 범언어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언어에 따라 수식하는 성분이 명사 앞에 올 수도 있고 명사 뒤에 올 수도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형절은 모두 수식하는 성분이 핵심명사 앞에 온다. 한국어에서는 관계관형절이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중국어에서는 관계관형절이 그리 많이 쓰이지 않는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한․중 번역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계절을 다루어 왔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교하며 관계관절 형성에 관련된 의미론적인 제약의 차이를 살펴본다. 살펴본 결과 관계절 형성에 있어서 한국어나 중국어는 모두 의미론적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중국어의 관계절 형성에 있어서 의미론적 제약을 더 많이 받는다.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접관계(逆接關係)가 드러나는 구문, 핵심명사를 수식하는 부분이 뒤에 오는 절의 조건이 되는 구문, 그리고 양보관계(讓步關係)가 드러나는 구문은 한국어나 중국에서 모두 관계절 구문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둘째, 점층관계(漸層關係)에 있는 문장은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모두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할 수 있으나 점층복문으로 점층관계를 표현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셋째, 동작의 순서가 드러나는 문장은 한국어에서는 관계절로 표현해도 큰 문제가 없지만 중국어에서는 관계절보다 접속문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앞뒤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문장의 주어가 유정물일 때는 한국어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중국어에서는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하지 않고 접속문으로 표현한다. 넷째, 목적성이 드러나는 구문의 경우, 주어가 무정물일 때는 한국어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중국어에서는 접속문으로 표현한다. 문장의 주어가 유정물일 때는 한국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하지 않는 반면, 중국어에서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다섯째, 인과관계(因果關係)가 드러나는 경우, 한국어에서는 관계절 구문으로 표현할 수는 있지만 중국어에서 주로 접속문으로 표현한다.

키워드

관형절, 관계절, 비교언어학, 의미론

참고문헌(17)open

  1. [단행본] 고영근 / 2008 / 우리말 문법론 / 집문당

  2. [학위논문] 김민정 / 2009 / 한국어와 중국어 관형절 대조 연구

  3. [학술지] 김아영 / 2010 / 중국어와 한국어의 관형절 대조연구―기사와 사설에서의 사용 제약을 중심으로- / 중국문학 64 : 343 ~ 370

  4. [학술지] 閔在基 / 1991 / 한국어 관계절에 관한 연구 / 인문과학논총 23

  5. [학술지] 박기덕 / 1983 / 한국어의 관형절에 관한 연구 / 언어와 언어학 9

  6. [학위논문] 박소연 / 2013 / 관계절의 한국어 번역 유형에 관한 연구

  7. [학술지] 배진영 / 2002 / 접속 관형절 구성의 형태․통사적 특성 / 比較文化硏究 5

  8. [학술지] 연재훈 / 2012 / 유형론적 관점의 한국어 관계절 연구 / 國語學 (63) : 413 ~ 457

  9. [학술지] 오충연 / 2012 / 國語 關係節의 相 / 어문연구(語文硏究) 40 (4) : 35 ~ 56

  10. [학위논문] 류력녕 / 2013 / 한국어 관형절과 중국어 명사 수식절의 대응에 관한 연구

  11. [학위논문] 이설 / 2006 / 한국어와 중국어 접속문의 표현 방식에 대한 대조 연구

  12. [학위논문] 장려용 / 2016 / 한국어․중국어․영어 접속표현의 유형론적 대조연구

  13. [학술지] 전경준 / 2014 / 국어 관계절 연구 / 청람어문교육 (51) : 233 ~ 264

  14. [학위논문] 정연아 / 2006 / 중의적인 관계관형절 구성의 운율 연구

  15. [학술지] 채희락 / 2012 / 한국어에 과연 관계절이 존재 하는가: 분사절 분석 / 언어 37 (4) : 1043 ~ 1065

  16. [학술지] 홍용철 / 2010 / 한국어 명사 외곽 수식어들의 어순과 명사구 구조 / 생성문법연구 20 (1) : 27 ~ 50

  17. [학술지] 홍용철 / 2012 / 한국어의 관계절 표지 / 언어 37 (4) : 1067 ~ 1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