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상의 「오감도-시제1호」는 시어들의 기호적 특성과 그 출현 방식을 통해 시적 세계를 구조화하는데, 이는 데리다가 『그라마톨로지』에서 말한바 ‘상징의 기호-되기’를 통해 의미를 지속적으로 유예하면서 세계의 운동성을 연속적 과정으로 보여준다. 이때 ‘기호-되기’를 통해 이 시가 지향하고자 하는 세계는 현실과의 ‘상징적 관계’를 거부하는 과정을 통해 유추될 수 있다. 즉 「오감도-시제1호」는 현실 세계를 삭제하거나 배제하기보다는, 현실 세계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기호-되기’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이 시는 ‘무서움’과 ‘다른 사정’들로 상징화된 현실의 상황을 지나 ‘기호-되기’의 본체인 시 자체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오감도-시제1호」는 현실 세계와 끝없이 마찰할 수밖에 없는 불안한 내적 상태를 보여주면서, 현실의 의미를 통과한 지점에서 새롭게 구축될 기호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것은 마침내 ‘어떤 현실’의 상징적 폭력 속에 내던져진 ‘육체’라는 기호의 운명적 슬픔일 수 있다.

키워드

이상, 오감도, 시제1호, 상징, 상징적 관계, 기호, 기호-되기

참고문헌(17)open

  1. [단행본] 임종국 / 1956 / 이상전집 / 태성사

  2. [단행본] 김승희 / 1986 / 이상 / 열음사

  3. [단행본] 김승희 / 1993 / 이상 / 문학세계사 : 68

  4. [단행본] 김준오 / 1996 / 시론 / 삼지원 : 204 ~ 206

  5. [단행본] 김윤식 / 1995 / 이상문학전집 4: 이상 연구에 관한 대표적 논문 모음 / 문학사상사 : 20 ~ 27

  6. [단행본] 이승훈 / 1987 / 이상시연구 / 고려원 : 70

  7. [학술지] 조해옥 / 2003 / 임종국의 『이상전집』과 『이상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상 리뷰 (2) : 53 ~ 75

  8. [학술지] 이원도 / 2005 / 이상의 「오감도 시제1호」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 새얼어문논집 (17) : 93 ~ 109

  9. [학술지] 최미숙 / 2006 / 이상(李箱) 시의 심미성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119) : 573 ~ 597

  10. [학술지] 정끝별 / 2009 / 이상 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오감도 시제1호」의 시적 계보를 중심으로 / 한국시학연구 (26) : 65 ~ 92

  11. [학술지] 김흥년 / 2013 / 이상(李箱)의 『오감도(烏瞰圖)』 「시제1호(詩第一號)」의 문학사적 맥락(文學史的 脈絡)과 함께 읽기 / 인문논총 31 : 107 ~ 130

  12. [학술지] 강동우 / 2019 / 「오감도 시제1호」의 시제(詩題) ‘오감도(烏瞰圖)’와 ‘13’의 의미 재고(再考) / 인문사회 21 10 (6) : 543 ~ 556

  13. [학술지] 이병철 / 2021 / <오감도(烏瞰圖)-시제1호(詩第一號)>에 나타난 회화성 연구 -시어 ‘그리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74) : 165 ~ 183

  14. [학술지] 황현산 / 1998 / 『오감도』 평범하게 읽기 / 창작과비평 (가을) : 339

  15. [단행본] 김은자 / 1988 / 현대시의 공간과 구조 / 문학과비평사 : 77

  16.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9 / 독일 비애극의 원천 / 한길사

  17. [단행본] 자크 데리다 / 2010 / 그라마톨로지 / 민음사 : 141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