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 시대의 서사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서사 텍스트가 다문화 이해교육의 중심제재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서사의플롯이 삶의 형식과 닮아있어 가치의 교호작용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재미작가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Native Speaker)을 텍스트로 삼아 다문화교육 요소를 탐색하였다. 이 소설에서는 헨리(‘나’)의 자기정체성 찾기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언어’와 ‘문화’를 통해 미국사회의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을 제재로 다문화 교육을 한다면, 텍스트이해(사실적 사고)--개인 경험과 연관(확산적 사고)--사회공동체의 교섭 작용탐구(대응적 사고)과정을 통해 새로운 세계 인식으로 나아가야 한다.

키워드

키워드

참고문헌(23)open

  1. [학술지] 공명수 / 2010 / 이창래의 『원어민』을 활용한 주체행위성 교육 / 영미문학교육 14 (2) : 33 ~ 56

  2. [학술지] 김남국 / 2005 / 다문화 시대의 시민: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 국제정치논총 45 (4) : 97 ~ 121

  3. [학술지] 김미나 / 2009 / 다문화교육정책의 추진 체계 및 정책 기제 연구 : 행위 주체별 정책 목표와 수단을 중심으로 / 다문화사회연구 2 (2)

  4. [학술지] 김미영 / 2006 / 이창래 小說에 재현된 韓國女性과 韓國文化 / 어문연구(語文硏究) 34 (1) : 229 ~ 250

  5. [학술지] 김용재 / 2003 / 서사 문화 창조를 지향하는 문학 교육 방법 시론 / 한국초등국어교육 (23) : 82 ~ 101

  6. [단행본] 마르코 마르티니엘로 / 2002 /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 한울

  7. [학위논문] 박수정 / 2010 / 이창래 소설의 백인성의 신화와 해체

  8. [학술지] 박인기 / 2002 /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 국어교육학연구 (15)

  9. [학술대회] 박인기 / 2011 / 학교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커리큘럼 상호성, 다문화 시대의 학교 교육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0. [학술지] 방정민 / 2009 / 이창래 소설,『네이티브 스피커(Native Speaker)』연구 / 비교문학 (48) : 135 ~ 156

  11. [학술대회] 송현정 / 2011 /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 방향 탐색, 다문화 시대의 학교 교육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2. [학술지] 왕철 / 1996 / <네이티브 스피커>에서의 엿보기의 의미 / 현대영미소설 3 (2)

  13. [단행본] 우한용 / 1997 / 문학교육과 문화론 / 서울대출판부

  14. [학술지] 원진숙 / 2007 /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 국어교육학연구 (30) : 23 ~ 50

  15. [단행본] 유선모 / 2004 / 1990년대의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의 경향, In 한국계 미국작가론 / 신아사

  16. [학술지] 이경희 / 2011 /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사회학연구 21 (1) : 111 ~ 131

  17. [학술지] 장인실 / 2008 /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 초등교육연구 21 (2) : 281 ~ 305

  18. [학술지] 조규익 / 2006 / 바벨탑에서의 自我 찾기-『네이티브 스피커』의 外延과 內包- / 어문연구(語文硏究) 34 (2) : 161 ~ 182

  19. [보고서] 조영달 / 2006 / 한국 사회의 다문화 교육과 교육 방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지원 방안 연구

  20. [학술지] 황규호 / 2008 / 한국 다문화교육 내용선정의 쟁점과 과제 / 교육과정연구 26 (2) : 57 ~ 85

  21. [학위논문] 이혜경 / 2006 /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에 나타난 정체성 위기와 인간관계회복 연구

  22. [학술지] 이영애 / 2009 / [원어민]에 나타난 미국 다문화주의 비판 / 영어영문학연구 51 (2) : 197 ~ 214

  23. [학위논문] 한혜숙 / 2009 / 이창래의 Native Speaker에 나타난 Korean-American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