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Jeongeupsa(井邑詞) as a text of Paekjae Cultural Area for attaining a clue to the history of Paekjae Literature. It also arr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ekjae Literaure and Korea Sockyo. By this point of view, we can reach the 'space-time' context of Jeongeupsa clearly, in concurrence with new history of ancient Korean Poetry which contains not only Shilla(Kyeongjoo Cultural Area) but Paekjae. For understandig Jeongeupsa as a text of Paekjae, we have to watch its position on the whole context of Paekjae Poetry. But the existing Paekjae poems are only two(Jeongeupsa and Sanyoohwaka), adding four background stories of missing poems. But we can reach their context and cultural background of 'Paekjae' as space than time. Shilla had failed to harmonize the heart of other contry so the space of Paekjae Culture still alive to the 9th century. Korea Sockyo has some different factors which cannot originate in the cultural space of Hyangga. Especially the rhetoric and the lyric point. We try to find their origin from the 'Repetition' and the 'Refraction' of Paekjae Poetry, not from the 'Series' and the 'Bisymmetry' of Shilla Hyangga. Not only Jeongeupsa will be a clue to this, but many poems of Manyosoo(萬葉集) in Japan can be good instances. The name "Paekjae" is the earnest wish on Koean History. The continentality and oceanic nature of Paekjae have gained the very summit of Korean Culture. We must reconstruct its culture, beginning with the poetry, starting from Jeongeupsa.

키워드

Jeongeupsa, Paekjae Cultural Area, Korea Sockyo, Akji of the Korean History, Series, Bisymmetry, Repetition, Refraction, Hyangga, Shilla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釋一然 / 三國遺事 / 高麗大 晩松文庫本

  2. [단행본] 이혜구 / 2000 / 신역 악학궤범 / 국립국악원

  3. [단행본] 掌樂院 / 2003 / 樂章歌詞 / 다운샘

  4. [단행본] 고운기 / 2007 / 사뇌가 형식 발생론 서설 / 보고사

  5. [학술지] 김사엽 / 2004 / 韓譯 萬葉集 : 김사엽 전집 8~12

  6. [단행본] 김영수 / 2007 / 삼국의 부전가요 연구 / 단국대 출판부

  7. [단행본] 김흥규 / 1999 / 고려속요의 장르적 다원성 / 태학사

  8. [단행본] 도수희 / 2004 / <정읍사>의 해석과 감상 / 주류성

  9. [단행본] 도수희 / 2004 / 백제말의 시대별 특징 / 주류성

  10. [학술지] 박진태 / 2005 / <정읍사>의 확산과 지역 축제로의 회귀 / 고전문학과 10

  11. [학술지] 서철원 / 2006 / <서동요> 전승의 형성과 사상적 배경 / 고시가연구 17

  12. [학술지] 서철원 / 2007 / 향가와 고려속요의 장르적 차이를 통해 본 전변 양상의 단서 / 한국시가연구 23

  13. [단행본] 안동주 / 1997 / 백제문학사론 / 국학자료원

  14. [학술지] 유경환 / 2001 / <정읍사>에 나타난 달의 원형적 상징 / 새국어교육 61

  15. [학술지] 이등룡 / 2003 / <정읍사> 연구 - 방법론의 반성 / 인문과학 33

  16. [학술지] 이수곤 / 2007 / <정읍사>의 여성 화자 태도와 그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여성 화자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앞으로의 과제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0 (14) : 384 ~ 416

  17. [학술지] 이연숙 / 2004 / <정읍사>의 불교적 성격 연구 / 한국문학논총 38

  18. [단행본] 이연숙 / 2003 / 일본고대한인작가연구 / 박이정

  19. [단행본] 이용현 / 2007 / 한문자의 사용-목간 /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 [단행본] 전덕재 / 2006 / 한국고대사회경제사 / 태학사

  21. [단행본] 전덕재 / 2000 / 한국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 아카넷

  22. [학위논문] 조재훈 / 백제가요의 연구

  23. [단행본] 황명천 / 2005 / 만요슈와 한인계 시가 연구 / 보고사

  24. [단행본] 황인덕 / 2007 / 백제사와 설화 /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