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호남산조춤에 나타나는 한국미 고찰

A Study on the Korean Beauty in Honam Sanjo Dance

영남춤학회誌
약어 : skds
2021 vol.9, no.1, pp.73 - 98
DOI : 10.23003/skds.2021.9.1.004
발행기관 : 영남춤학회
연구분야 : 무용
Copyright © 영남춤학회
8 회 열람

이 연구는 호남산조춤에 드러나는 한국미에 대한 고찰이다. 산조춤은 추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유파로 자리매김을 했는데, 그 이유는 산조춤의 발생에서부터 개인의 개성과 자유로운 표현이 농후했기 때문이다. 즉, 자유로운 감정표현과 춤사위, 의상, 구도 등이 기존 한국의 춤들과는 다르게 즉흥적이고 자유로움을 내재했던 것은 산조음악의 파격적인 창의성과도 무관하지 않다. 산조춤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1860년 근대화의 숨결에 힘입어 산조 음악이 발생했고, 이 음악에 춤을 입히면서 춤의 특성은 그 당시의 여느 춤보다 즉흥적이고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웠다. 그 이후 신무용의 번성기였던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한층 더 자유로운 개인의 창작 욕구를 발휘할 수 있는 춤으로써 자리매김하며 수 많은 무용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1980년대 이후부터는 후대 무용가들에 의해 산조춤이 재정립되고 발전하였다. 보편적으로 산조춤이 신무용적인 기법으로 추어진 데 비해 호남산조춤은 전통기법에 훼손 없이 보존되었다. 이는 전주지역의 ‘추월’이라는 기녀에 의해 ‘최선’을 거쳐 ‘이길주’에게 이어져서 전승되었고, 지역적 특색을 내재하고 있다. 즉, 호남산조춤은 자연스럽고, 소박하며, 절제에서 우러나는 담담한 멋을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남산조춤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한국의 미는 예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자연, 경제, 사회, 정치, 역사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심성, 정서와도 맞닿아 있다. 특히 호남산조춤의 춤사위 중에서 잉어걸이, 버드나무사위, 궁체사위, 학사위 등에서 자연의 모습을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의 형상화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절제에 의해 드러나는 담담한 멋은 한국적 정서와 자연관을 더 강하게 담고 있다. 호남산조춤이 유일하게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것은 삼대에 걸쳐 이어진 춤의 역사적 지속성과 함께 한국적 정서와 자연관을 있는 그대로 전승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Korean beauty revealed in the Honam Sanjo Dance. Sanjo danc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variety of papa depending on the dancer, because the individual personality and free expression were abundant from the occurrence of Sanjo dance.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free expression of emotions, dance moves, costumes, and composition were impromptu and inherent freedom unlike other existing dances is not unrelated to the unconventional creativity of Sanjo music. From the 1950s to the 1970s, when the new dance was flourishing, it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by many dancers, establishing itself as a dance that can express a more free individual's creative desire. Since the 1980s, Sanjo Dance has been reorganized and developed by later dancers. In general, if Sanjo dance was performed with a new dance technique, Honam Sanjo dance was preserved without any damage to traditional techniques. This was passed down to Lee Gil-ju through the best by a gisaeng named "Chasing the Jeonju area" and thus has a regional characteristic. In other words, Honam Sanjo Dance has a more natural, simple, and calm style derived from moderation. The beauty of Korea, revealed in the Honam Sanjo Dance, is in line with not only Korea's natural,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history, but also with the heart and emotions of Koreans. In particular, among the dance moves of the Honam Sanjo Dance, it can be seen that nature is inherent in carp girls, willow sons-in-law, gungche son-in-law, and bachelor's degre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calm style revealed by temperance is stronger in Korean sentiment and nature. As such, Honam Sanjo Dance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cause it inherited Korean sentiment and nature as it is, along with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dance that lasted for three generations.

남산조춤, 한국미, 자연관, 소박함, 절제
Honam Sanjo Dance, Korean Beauty, Natural View, Simplicity, Moderation

  • 1. [단행본] 강이문 / 2003 / 강이문 춤비평론집 1.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 현대미학사
  • 2. [단행본] 김명숙 / 2010 / 최순우의 한국미愛 / 동남풍
  • 3. [학위논문] 김미진 / 2011 / 호남산조춤 무보와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4. [단행본] 김영희 / 2014 / 한국춤통사 / 보고사
  • 5. [학위논문] 김은주 / 2011 / 전통예술 전용공연장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중소형 전용공 연장을 중심으로-
  • 6. [학술지] 김추자 / 2001 / 한국 춤의 자연미 연구 / 경남체육연구 / 6 (1) : 94 ~ 1
  • 7. [학위논문] 김형석 / 2015 / 지영희, 성금연 구성 “새 가락 별곡”의 선율과 리듬분석
  • 8. [학위논문] 민의식 / 2014 / 가야금음악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적 확장 연구
  • 9. [학술지] 배민지 / 2019 /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 영남춤학회誌 / 7 (1) : 111 ~ 1 kci
  • 10. [학술지] 배민지 / 2020 / 산조춤의 유형과 변천 / 영남춤학회誌 / 8 (1) : 79 ~ 1 kci
  • 11. [단행본] 성기숙 / 2009 / 한국 근대춤의 전통과 신무용의 창조적 계승 -1930년대 한성준의 전통 변용과 춤창조- / 민속원
  • 12. [학술지] 성기숙 / 2011 / 전통명인 박성옥의 예술세계 연구 / 한국무용연구 / 29 (2) : 1 ~ 2 kci
  • 13. [학술지] 신은주 / 2018 / 판소리 우조와 평조에 대한 두 異論-백대웅과 이보형의 판소리 악조론 비교 검토- / 한국음악연구 / 63 : 233 ~ kci
  • 14. [학술지] 이기동 / 2014 / 한국인의 예술정신과 미의식 / 한국사상과 문화 / 75 (75) : 221 ~ 75 kci
  • 15. [단행본] 이기웅 / 2013 / 미술과 미술평론 우현 고유섭 전집 8권 / 열화당
  • 16. [학술지] 이주영 / 2011 / 한국적 미의식의 다양성과 유형별 분류에 대한 연구 / 미학예술학연구 / 34 : 383 ~ kci
  • 17. [단행본] 조동일 / 2015 / 힌국문학강의 / 길벗
  • 18. [단행본] 지순자 / 2003 / 지순자가 풀어내는 성금연 가락들 새 가락別曲 음반해설집 / 드림레코드
  • 19. [단행본] 최순우 / 2015 /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 학고재
  • 20. [단행본] 최순우 / 2016 /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 / 학고재
  • 21. [학위논문] 최현정 / 2016 / 호남산조춤의 구조와 춤프레이즈 연구
  • 22. [단행본] 한린더 / 1996 / 한권으로 읽는 동양 미학 / 이학사
  • 23. [인터넷자료] 전라일보 / 4대가 펼치는 금아 이길주의 춤 '사제동행'
  • 24. [인터넷자료] / 네이버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