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국가차원에서 공공정보를 개방하고 문화예술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되는 시기이다. 또한모바일 이용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정보통신기술의 진보와 함께 기록물과 지식을 연계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올해로 설립 10주년을 맞는 국악아카이브는 대내외 자료의 수집과 정리, 디지털화, 온라인 서비스 업무를정형화하고 운영의 안정적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아카이브와 관련한 정책과 제도, 사회문화,정보통신기술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시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추진해야 할 시점에 있기도 하다. 그래서이용자에게 쉽고 유익하며 깊이 있게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과 실천이 국악아카이브에요구된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고 수집하기 위한 기획과 실행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보유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활용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콘텐츠 활용 결과는 수집 전략에 반영되고, 수집 전략의 성과는 활용에 반영되어 유기적으로 선순환되어야 한다. 국악아카이브를 비롯한 각각의 아카이브는 개인이나 단체의 아카이빙(archiving)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과도구를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자체콘텐츠와 DB를 충실히 구축하고, 이를공유하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을 기울일 때 ‘지식·자원·네트워크’가 결합된 아카이브 허브(hub)로서 위상을확보할 수 있다.

키워드

국악아카이브, 서비스, 수집전략, 활용전략, 지식 네트워크

참고문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