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변화 촉진 기제로써 SNS의 역할에 착안하여 비판이론과 사회문화적 전환학습의 관점에서 SNS 사용자의 사회문화적 전환학습 경험을 탐색해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으로 기본질적연구방법론(basic qualitative research)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참여자 선정준거를 만족시키는 10명의 Facebook 혹은 Twitter 사용자들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화에 관심이 있는 SNS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자신이 몸담고 있는 생활세계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통한 의식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의식화는 자신의 삶에 대한 하나의 반성적 성찰이며 주체화이다. 둘째, 앎을 행위로 옮김으로서 진정한 이론과 실천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는 앎 혹은 성찰과 그 앎을 실천하는 행위가 결코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랙시스(praxis) 주체로서의 행위자에 의한 사회변화 가능성은 이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키워드

사회변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회문화적 전환학습

참고문헌(28)open

  1. [학술지] 고상민 / 2010 /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 (1) : 103 ~ 118

  2. [기타] 구자룡 / 2011 / “中 일당독재 종식 13개도시 궐기”SNS타고 확산 / 동아일보

  3. [학술지] 김병선 / 2010 /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사용되는 공손 전략에관한 탐색적 연구 : 트위터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논총 29 (1) : 57 ~ 88

  4. [학술대회] 김영성 / 2010 / 인터넷 및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 커뮤니케이션 특성변화 /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 130 ~ 131

  5. [학술대회] 김용환 / 2009 / SNS 사용자의 모르는 사람(stranger)과의 사회네트워크 구축 행태에 관한 탐구 / 제16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6. [학위논문] 김진희 / 2008 / 블로그 활용의 역기능에 관한 연구 : 싸이월드 미니홈피 중학생 이용자를 중심으로

  7. [학술지] 노지영 / 2012 / SNS 이용목적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 한국자치행정학보 26 (2) : 261 ~ 281

  8. [단행본] 문혜림 / 2012 / 교육혁명가 파울로 프레이리 : 교육사상과 사회변혁론 / 학이시습

  9. [인터넷자료] / 아랍,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혁명의 성지 / 전자신문

  10. [학술지] 박지홍 / 2008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Users’ Continuance Intention in Social Networking Sites / 정보관리학회지 25 (4) : 205 ~ 226

  11. [기타] 백봉삼 / 2014 / 중, 홍콩 시위 확산에 ‘인스타그램’ 차단 / ZDNet Korea

  12. [학술지] 송경재 / 2010 /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 한국과 국제정치 26 (3) : 129 ~ 157

  13. [기타] 이외수 / 2011 / 트위터는 소통의 타임머신 광장-소설가 이외수 / 한국일보

  14. [학술지] 임걸 / 2010 /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방법연구 22 (4) : 91 ~ 114

  15. [학술지] 장우영 / 2014 / 트위터 선거캠페인과 정치동원: 2011년 서울시장 재보궐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 (1) : 93 ~ 123

  16. [학술대회] 홍삼열 / 2010 /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2) : 189 ~ 190

  17. [기타] 홍의석 / 2014 / 이외수, 금일 퇴원…“꼭 극복하겠습니다 / TVREPORT

  18. [단행본] Brookfield, S. D. / 2001 / Power in practice:The struggle for knowledge and power in society / Jossey-Bass : 206 ~ 225

  19. [단행본] Brookfield, S. D. / 2009 /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성인의 삶과 학습에 대한 희망의 담론 / 학지사

  20. [학술지] Chu Baojun / 2014 / 소셜 미디어 이용이 참여적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5 (2) : 79 ~ 102

  21. [단행본] Freire, P. / 2000 / Pedagogy of the oppressed / Continuum

  22. [단행본] Habermas, J. / 2010 /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 나남

  23. [단행본] Kegan, R. / 2009 / Contemporary theory of learning / Routledge : 35 ~ 52

  24. [기타] Kerka, S. / 1996 / Adult education: Social change or status quo? / Eric Digest No. 176

  25. [단행본] Merriam, S. B. / 2009 / Qualitative research :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 Jossey-Bass

  26. [단행본] Merriam, S. B. / 2007 / Learning in adulthood : A comprehensive guide(3/E) / John Wiley & Sons

  27. [단행본] Merriam, S. B. / 2000 / A guide to research for educators and trainers of adults / Krieger publishing Company

  28. [단행본] Mezirow, J. / 1995 / In defense of the life world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39 ~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