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례관리 표준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통합사정틀(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개발을 중심으로

Basic Study for building Case Management Standardization System - Focused on developing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약어 : -
2018 vol.20, no.1, pp.235 - 275
DOI : 10.22944/kswa.2018.20.1.009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 회 열람

이 연구는 사례관리 표준화 시스템 구축에 대한 기초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사례관리의 구심점이 되는 통합사정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합사정틀을 개발하기 위해 1단계에서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초적인 모형틀을 구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현장사례 151case에서 추출한 1,640개 서술문을 분석하여 모형을 재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현장전문가의 FGI 검증을 실시하고 최종통합사정틀을 도출하였다. 4단계에서는 최종통합모형 적용의 일반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사정틀은 사정영역(대분류)-사정범주(중분류)-사정지표(소분류) 총 3단계로 분류되고, 사정영역은 4개 영역, 사정범주는 13개 범주, 사정지표는 문제․욕구․강점 사정영역은 13개 사정지표, 자원 사정영역은 2개 유형과 10개 사정지표로 분류되었으며, 측정지표는 사정영역별 3개 지표로 구성되고, 사정범주와 사정지표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더불어 모형의 일반화를 위해 현장의 사례를 적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특성, 사정범주와 사정지표, 생애주기별 사정범주와 사정지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as a pivotal figure of case management to find basic grounds about building a case management standardization system. In order to develop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a basic model by literature research in step 1 and to restructure the model by analyzing 1,640 sentences abstracted from 151 onsite cases in step 2. In step 3,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this study executed FGI verification of the site specialists and drew out a final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In step 4, it progressed a generalize process for application of the final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is classified by 3 steps; assessment area(large scale classification) - assessment category(medium scale classification) - assessment indicator(small scale classification). Assessment area is sorted by 4 areas, assessment category is sorted by 13 categories and assessment indicators are problem, needs and strength. Assessment area is sorted by 13 assessment indicators and resource assessment area is sorted by 2 categories and 10 indicators. Each assessment area has three assessment indicators and it establishes concept of assessment category and assessment indicator. Additionally, it applied site examples for generalization of the model, and present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analyzing assessment category and assessment indicator and assessment category for life cycle and assessment indicator for life cycle.

사례관리, 표준화, 사정, 통합사정틀
Case management, Standardization), Assessment, Integration assessment framework

  • 1.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 2008 / 지방자치단체 사례관리업무매뉴얼 보고서
  • 2. [기타] 보건복지부 / 2000 /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사례관리 매뉴얼 / 보건복지부
  • 3. [기타] 보건복지부 / 2000 / 아동보호체계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세부 매뉴얼 / 보건복지부
  • 4. [기타] 보건복지부 / 2006 /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매뉴얼 / 보건복지부
  • 5. [기타] 보건복지부 / 2007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업무운영 매뉴얼 / 보건복지부
  • 6. [기타] 보건복지부 / 2008 / 지방자치단체 사례관리 업무 매뉴얼 / 보건복지부
  • 7. [기타] 보건복지부 / 2011 / 자활인큐베이팅사업 운영지침 / 보건복지부
  • 8. [기타] 보건복지부 / 2012 /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 보건복지부
  • 9. [기타] 보건복지부 / 2013 / 위기가구 사례관리 업무 매뉴얼 / 보건복지부
  • 10. [기타] 보건복지부 / 2017 /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 보건복지부
  • 11. [기타] 보건복지부 / 2017 /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 보건복지부
  • 12.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10 /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 매뉴얼 개발
  • 13. [기타] 보건복지부 / 2013 / 위기가구 사례관리업무매뉴얼 / 보건복지부
  • 14. [기타] 서울시복지재단 / 2009 /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매뉴얼 지역사회보호사업-사례관리 실천 매뉴얼 / 서울시복지재단
  • 15. [보고서] 서울시복지재단 / 2010 / 사례관리 서비스 표준화 및 원가측정방안 연구
  • 16. [학술지] 안정선 / 2005 /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T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사회복지연구 (28) : 243 ~ 28 kci
  • 17. [학술지] 안정선 / 2006 /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 한국아동복지학 (21) : 147 ~ 21 kci
  • 18. [학술지] 우국희 / 2007 /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 / 사회복지정책 (30) : 287 ~ 30 kci
  • 19. [학위논문] 원연미 / 2011 /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과 실행에 대한 연구
  • 20. [학술지] 유경미 / 2008 / 발달장애아동의 사정 모형과 과정에 대한 고찰 / 발달장애연구 / 12 (2) : 57 ~ 2
  • 21. [학술지] 이시연 / 2004 / 청소년 자활지원관에서의 사례관리 적용과정에 관한 연구 / 청소년복지연구 / 6 (2) : 69 ~ 2 kci
  • 22. [학술지] 이용표 / 2009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사례관리에 관한 인식과 실천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재활복지 / 13 (2) : 79 ~ 2 kci
  • 23. [단행본] 이종복 / 2011 /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천 / 학지사
  • 24. [학술지] 이준상 / 1995 / 사례관리실천과정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사회복지개발연구 / 1 (1) : 59 ~ 1
  • 25. [단행본] 이준우 / 2010 / 정신보건사회복지론 / 서현사
  • 26. [보고서] 인천광역시사회복지관협회 / 2009 / 인천광역시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실천을 위한 매뉴얼 연구보고서
  • 27. [단행본] 장인협 / 2001 / 지역사회기반 사회복지실천 케어․케이스 매니지먼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28. [학술대회] 전영호 / 2017 / 지역사회 사례관리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현황 및 개선방향 / 한국사례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21 ~
  • 29. [학위논문] 전은희 / 1998 / 비행청소년 사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30. [학술지] 정병기 / 2009 / 표준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새로운 규범의 가능성 및 표준학의 전망 / 한국정치연구 / 18 (3) : 87 ~ 3 kci
  • 31. [학술지] 정수경 / 2009 / 학교사례관리 준거틀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 전주지역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 25 (4) : 393 ~ 4 kci
  • 32. [학술지] 정순둘 / 2003 / 사례관리 대상노인의 미충족 욕구사정: 욕구사정도구를 활용한 탐색적 연구 / 한국노년학 / 23 (4) : 99 ~ 4
  • 33. [학술지] 최송식 / 2000 / 사회사업사정체계에 관한 연구-PIE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 16 : 57 ~
  • 34. [학술지] 최정호 / 2012 /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 혼란 연구 / 노인복지연구 (56) : 217 ~ 56 kci
  • 35. [학술지] 최지선 / 2012 /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3 : 229 ~ kci
  • 36. [보고서] 한국발달장애인개발원 / 2013 / 발달장애인가족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
  • 37.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1 / 선진국의 아동 사례관리체계 비교연구: 영국. 미국.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 38. [단행본] 한국사례관리학회 / 2012 / 사례관리 전문가교육-실무자 기초과정 / 학지사
  • 39. [기타]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2012 / 사회복지관 사례관리매뉴얼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40. [보고서]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 2013 /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
  • 41. [학술지] 함철호 / 2013 / 희망복지지원단 사례관리사의 역할수행 경험에 관한 연구-근거이론 적용 / 사례관리연구 / 4 (1) : 89 ~ 1
  • 42. [단행본] 현외성 / 2012 / 사회복지 사례관리론 / 공동체
  • 43. [학술대회] 홍선미 / 2005 / 특성화된 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 모델링과 적용방안 /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지 : 799 ~
  • 44. [학술지] 황미경 / 2009 /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0) : 49 ~ 30 kci
  • 45. [학술지] 황성철 / 1995 / 사례관리실천을 위한 모형개발과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27 : 275 ~
  • 46. [학술지] David, P. Moxley / 1989 / Perceptions of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Elderly People / Health&Social Work / 14 (3) : 196 ~ 3
  • 47. [학술지] Early, T. J. / 2000 / Valuing Families : Social Work Practice with Families from a Strengths Perspective / Social Work / 45 (2) : 118 ~ 2
  • 48. [단행본] Fast, B. / 2000 / Strengths-Based Care Management for Older Adults / Health Professional Press
  • 49. [학술지] Karls, J. M. / 1992 / A New Language for Social Work / Social Work / 37 (1) : 80 ~ 1
  • 50. [단행본] Karls, J. M. / 1994 / Person-In-Environment System / NASW Press
  • 51. [단행본] Karls, J. M. / 1994 / PIE Manual / NASW Press
  • 52. [단행본] Raiff, N. R. / 1993 / Advanced case management : new strategies for the nineties / SAGE publications
  • 53. [단행본] Woodside, M. / 2003 / Generalist Case Management : A Method Human service delivery / Brooks 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