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미국의 윌슨주의 전통과 한국 -미군정기 레너드 버치(Leonard M. Bertsch)의 민주주의 사역

A Wilsonian Mission in Korea : Leonard M. Bertsch’s Democratic Ministry in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상허학보
약어 : -
2022 vol.64, pp.101 - 135
DOI : 10.22936/sh.64..202202.004
발행기관 : 상허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상허학회
5 회 열람

본 연구는 『버치문서』를 분석해 국민국가 성립 시기 레너드 버치(Leonard M. Bertsch)의 역할을 재조명한다. 『버치문서』는 하버드대학교 옌칭도서관에 소장된, 미군정 사령관 존 하지의 정치고문이었던 레너드 버치가 작성한 공적인 문서와 사적인 편지, 메모 등을 말하는 것이다. 레너드 버치는 미군정 정치고문으로 활동하며, 삼권의 분립 등을 근간으로 한 중간파 중심의 공화체제를 수립하려고 했다. 본 논문은 버치와 중간파 정치인・문화예술인(예를 들어, 강용흘)이나 문화예술단체(예를 들어, 조선문화단체총연맹)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그가 어떻게 경찰 폭력을 비판했으며 한국인들의 표현의 자유를 확보해주기 위해 노력했는가를 예증한다. 특히 본 연구는 민주주의 사역이라는 개념으로 버치의 활동을 평가한다. 버치를 민주주의의 선교사라고 규정하는 것이다. 버치는 미국의 윌슨주의 전통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인물이다. 윌슨주의란 미국식 민주주의를 해외에 전파・이식하려는 미국의 외교・안보 사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본 연구는 『버치문서』의 분석을 통해, 미국의 윌슨주의적 전통이 어떻게 한국의 정치체제와 문화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가를 논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Leonard M. Bertsch (1910~1976) contributed to the founding of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Bertsch Papers. The Bertsch Papers is a collection of memorandums, letters, and personal notes written by or received by US Army Lieutenant Bertsch. As the political adviser to John Hodge, the Military Governor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Leonard M. Bertsch attempted to establish a republic based on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led by Korean centrists. Furthermore, this paper illustrates how Bertsch attempted to eradicate police brutality in South Korea and secure freedom of speech for Korean artists by focusing on his friendship with artists and writers—such as Young Hill Kang (Kang Yonghŭl)—and his support of arts organizations—for example, Korean Federation of Cultural Unions.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ertsch is a democratic missionary, by developing a general conceptualization of ministry. In other words, Bertsch was influenced by the Wilsonian tradition, which emphasized the aggressive propagation of American democracy. Hence, this paper addresses what role Wilsonianism played in building South Korea’s political system and its culture.

레너드 버치(Leonard M. Betsch), 버치문서, 미군정, 중간파, 조선문화단체총연맹, 민주주의 사역, 윌슨주의
Leonard M. Bertsch, Bertsch Papers,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Korean centrist, Korean Federation of Cultural Unions, democratic ministry, Wilsonianism

  • 1. [기타] / The Bertsch Papers
  • 2. [학술지] 김기협 / 2015 / 해방기 중간파 노선의 재인식 / 황해문화 / 88
  • 3. [학술지] 김욱동 / 2004 / 강용흘과 한국문학 / 세계문학비교연구 / 10
  • 4. [학술지] 박태균 / 2019 / 미군정이 만들려고 했던 한국의 공화 체제 / 역사비평 (127) : 117 ~ 127 kci
  • 5. [학술지] 성현경 / 2012 / 1930년대 세계문학담론의 수행적 구조와 해외문학기행의 정치성 / 구보학보 / 8
  • 6. [학술지] 성현경 / 2018 / 세계로 향한 조선의 이방인: 강용흘의 『초당』 / 근대문학 / 7
  • 7. [학술지] 이행선 / 2013 / 해방공간 ‘미국 대리자’의 출현, 조선의 미국화와 책임정치 / 한국문학연구 (45) : 269 ~ 45 kci
  • 8. [학술지] 정홍섭 / 2019 / 나르시시즘의 거울 만들기로서의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 / 한국현대문학연구 (57) : 235 ~ 57 kci
  • 9. [학술지] 조은정 / 2014 / 해방기 문화공작대의 의제와 성격 / 상허학보 / 41 : 243 ~ kci
  • 10. [학술지] Bellah, Robert N. / 2005 / Civil Religion in America / Daedalus / 134 (4)
  • 11. [학술지] Pratt, Mary Louise / 1991 / Arts of the Contact Zone / Profession (1991)
  • 12. [단행본] 문동환 / 1986 / 한국과 미국: 현단계 한ㆍ미관계의 비판적 인식 / 실천문학사
  • 13. [단행본] 박태균 / 버치문서와 해방정국: 미군정 중위의 눈에 비친 1945~1948년의 한반도 / 역시비평사
  • 14. [단행본] 이재봉 / 2018 / 문학과 예술 속의 반미 : 시와 소설, 음악과 미술, 연극과 영화를 통한 미국 비판 / 네잎클로바
  • 15. [단행본] 장세진 / 2018 / 숨겨진 미래 : 탈냉전 상상의 계보 1945~1972 / 푸른역사
  • 16. [단행본] 정용욱 / 2003 / 미군정 자료 연구 / 선인
  • 17. [단행본] 정용욱 / 2003 / 존 하지와 미군 점령통치 3년 / 중심
  • 18. [단행본] 정용욱 / 2003 /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 [단행본] 정용욱 / 2018 / 해방의 공간, 점령의 시간 : 解放占領 / 푸른역사
  • 20. [단행본] 진덕규 / 1989 / 해방전후사의 인식 1 / 한길사
  • 21. [단행본] Anderson, Perry / 2015 / American Foreign Policy and Its Thinkers / Verso
  • 22. [단행본] Gentile, Emilio / 2006 / Politics as Religion, translated by George Staunt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23. [단행본] Mead, Walter Russell / 2001 / Special Providence : American Foreign Policy and How It Change the World / Alfred A. Knopf
  • 24. [단행본] Ortiz, Fernando / 1995 / Cuban Counterpoint: Tobacco and Sugar, translated by Harriet de Onís / Duke University Press
  • 25. [단행본]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 2017 / 반미주의로 보는 한국현대사 / 산처럼
  • 26. [인터넷자료] 김성희 / 백범 김구의 자동차 / 교수신문
  • 27. [인터넷자료] 정용욱 / 미군정, 여운형 피살 위험 알고도 나몰라라—정용욱의 편지 현대사 (18) 여운형의 죽음 / 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