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전라남도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의 평가방법에 대한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Evaluation Methods for the Project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 in Jeollanamdo

『도서문화』
약어 : JIC
2016 no.48, pp.175 - 198
DOI : 10.22917/island.2016..48.175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8 회 열람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서 역점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는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추진을위한 도서선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내용검토와 변화성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명백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대상지 선정을 위한 평가방법 분석에서는, 사업 첫해인 2015년도에는 서류평가와 현장평가의 두 가지 방식만으로 진행되었으나 사업 2, 3년차에는 평가방법에 대한 항목이 추가 또는 삭제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평가방법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배점비율 역시 상호 조정되고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서류평가의 경우 소폭에서 유지되고 있는 반면 현장평가의 평가비율은 점차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② 세부 평가항목 및 배점비율 분석에서는, 2017년도에 ‘적합성’ 부분만 확대 조정된 것으로 나타나 평가기준으로써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그와는 달리 ‘실현가능성’은 대폭 감소되는 변화가 인지되었다. 10가지 세부 평가항목 중 ‘섬 고유 생태자원’ 은사업 시행년도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배점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섬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생태자원의 존재여부가 평가의 주요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③ 2015년도와 2016년도에는 도서지역 마을주민의 역할과 참여가 도서선정을 위한 주요한 가항목 및 평가내용으로 다루어졌었다. 그러나 2017년도에는 관할관청의 지원과 추진의지그리고 지역 균형발전 등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준이 추가되고 배점비율이 증가되는 등 명백한변화성향이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selection andevaluation methods used for the project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that is being implemented as an emphasis project in Jeollanamdo. The resultsof the study are as follows. ① In 2015, the first year of the project, only two methods of documentevaluation and on-site evaluation were conducted, while in the following twoyears items for evaluation were added or deleted. Score ratio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evaluation ofdocuments was performed without major changes. However, it was found thatthe evaluation rate of on-site evaluation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② In the analysis of sub-items and weghts used for evaluation, it was foundthat only the ‘conformity’ part had been given more weght in 2017, implyingthat its role as an evaluation standard is emphasized. On the contrary, the weightgiven to ‘feasibility’ had been greatly reduced. Among the 10 sub-criteria, ‘island-specific ecological resources’ wasconsistently given the highest weight regardless of the project year. Thistendency confirms that the existence of unique ecological resources on islandsplays a major role in the evaluation. ③ In 2015 and 2016,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village residents in islandswere treated as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contents for islandselection. In 2017, however, new criteria have been added, including the supportand willingness of the responsible authorities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rate of change has been identified.

가고 싶은 섬, 전라남도, 도서, 평가방법
Island attractiveness, Jeollanamdo, Island, Evaluation method

  • 1. [보고서] 강신겸 / 2012 /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적 연구
  • 2. [보고서] 국토해양부 / 2010 / 무인도서 종합관리계획
  • 3. [보고서] 김향자 / 2013 / 섬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4. [보고서] 마상열 / 2008 / 가고 싶은 섬 조성을 위한 개발구상
  • 5.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2009 / 국토 끝 섬 관광자원화 기본계획(안) 수립 연구
  • 6.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2006 / 가고 싶은 섬 시범사업 기본계획(안) 연구
  • 7.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2010 / 가고 싶은 섬 시범사업 중간평가 연구
  • 8.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2008 /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과제발굴 및 평가모델 개발
  • 9. [보고서] 이상범 / 2012 / 도서지역 친환경 관광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10. [기타] 전남발전연구원 / 2012 / 2015 전남의 비전과 전략
  • 11. [기타] 전라남도 / 2000 / 21C 전남도서 발전전략
  • 12. [기타] 전라남도 / 2002 / 전남의 섬
  • 13. [보고서] 전라남도 / 2011 / 해양수산발전 2차 5개년계획
  • 14. [보고서] 전라남도 / 2012 / 제5차 전남권 관광개발계획
  • 15. [보고서] 전라남도 / 2012 / 제3차 전라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
  • 16. [보고서] 전라남도 / 2015 / 가고 싶은 섬 가꾸기 10개년 계획
  • 17. [보고서] 전라남도 / 2015 / 2015년, 2016년 가고 싶은 섬 사업대상지 선정 세부 평가계획
  • 18. [보고서] 전라남도 / 2015 / 2015년, 2016년 사업대상지 선정 결과
  • 19. [보고서] 전라남도 / 2016 / 2017년 사업대상지 선정을 위한 가고 싶은 섬 평가기준 변경계획
  • 20. [보고서] 한국관광공사 / 1999 / 남해안 관광벨트 개발계획
  • 21. [보고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2013 / 해양관광개발의 발전방향 연구-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22. [단행본] 행정안전부 / 2011 / 대한민국 도서백서
  • 23. [학위논문] 김경옥 / 2000 / 조선후기 서남해 도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도서정책 연구
  • 24. [학술지] 김농오 / 2012 / 전남 해양관광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도서연구 / 24 (4) : 161 ~ 4 kci
  • 25. [학술지] 김영준 / 2012 / 섬관광 현재와 미래 발전 전략 / 경남발전 / 121 : 6 ~
  • 26. [학술지] 김재은 / 2013 / 대한민국 정부의 섬 정책과 관련한 국민인식 분석 / 한국도서연구 / 25 (1) : 41 ~ 1 kci
  • 27. [학술지] 김정호 / 1989 / 도서지역 관광자원의 활용과 발전전략 / 한국도서연구 / 1 (1) : 49 ~ 1
  • 28. [학술지] 김준 / 2008 / 섬관광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전남 도서·연안지역을 중심으로- / 『도서문화』 (32) : 3 ~ 32 kci
  • 29. [학술지] 김준 / 2012 / 우리나라 도서개발정책의 성찰과 지속가능한 섬만들기 전략 / 『도서문화』 (40) : 427 ~ 40 kci
  • 30. [학술지] 김태영 / 2012 / 경남의 섬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경남발전 / 121 : 35 ~
  • 31. [학술지] 박재순 / 2002 / 전라남도의 도서개발현황과 추진전략 / 한국도서연구 / 14 (1) : 1 ~ 1
  • 32. [학술지] 신순호 / 2014 / 도서개발정책에 대한 주민의식구조의 변화 분석-1995년과 2011년의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도서문화』 (44) : 203 ~ 44 kci
  • 33. [학술지] 윤석태 / 2016 / 전라남도 섬 자연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방안 / 한국도서연구 / 28 (1) : 137 ~ 1 kci
  • 34. [학술지] 이동신 / 1995 / 거문도의 관광잠재력과 관광여건문제 / 한국도서연구 / 6 (1) : 19 ~ 1
  • 35. [학술지] 이순자 / 2014 / 지속가능한 섬지역 발전의 요건과 과제-자원특성에 기반을 둔 섬지역 발전사례를 중심으로- / 『도서문화』 (44) : 161 ~ 44 kci
  • 36. [학술지] 이진형 / 2014 / 전남 서남해안의 섬관광 : 성찰과 제안 / 한국도서연구 / 26 (4) : 47 ~ 4 kci
  • 37. [학술지] 홍석준 / 2004 / 도서지역의 관광개발과 지역문화 / 도서문화 / 24 : 423 ~
  • 38. [학술지] 홍선기 / 2007 / 도서해양의 생태.문화자원의 활용과 지역 활성화 / 농촌계획 / 13 (3) : 61 ~ 3 kci
  • 39. [인터넷자료] / http://islands.jeonnam.go.kr
  • 40. [인터넷자료] / http://www.jeonnam.go.kr
  • 41. [인터넷자료] / http://kosis.kr
  • 42. [인터넷자료] / http://www.me.go.kr
  • 43. [인터넷자료] / http://www.mcst.go.kr
  • 44. [인터넷자료] / http://www.moi.go.kr
  • 45. [인터넷자료] / http://www.moli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