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壬亂 이후 鑄錢論과 倭錢의 수입

The Debate on the Making Coin and Importing Coin from Japan after Korea-Japan War

동국사학
약어 : 동국사학
2014 no.56, pp.131 - 162
DOI : 10.22912/dgsh.2014..56.131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 회 열람

본 논문은 양란 이후 나타난 동전 제작 논의 과정과 수입한 왜전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 동안 화폐연구에서는 동전의 주된 성격을 상품화폐경제에 상응하여 나타난 매체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서 동전을 제작하거나 유통시키는 기록은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전란 때문에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할 수 있는 경제적 조건이 구비되지 않았다는 전제 때문이었다. 특히 병자호란 이후 왜로부터 동전을 수입한다고 하는 기록을 사실로 받아들일 경우 당시 조선의 경제수준이 일본보다 뒤떨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동안 연구에서는 사실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근대 화폐는 재정수단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임진왜란 당시에도 동전제작을 논의 하였고 병자호란 이후에는 긴급한 재정적 필요에 따라 왜전을 완제품으로 구입하였다. 당시 수입한 왜전의 규모는 정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최소값으로 계산할 때에 쌀 5천 석 규모였다. 그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조선은 왜전 수입을 통해 긴급한 재정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쌀이나 현물은 생산에 한계가 있었고 전란 이후라 이동과 생산에 큰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비록 적은 수량이지만 동전을 수입하여 긴급한 재정수요를 충당하려고 했다. 그 규모와 회수에 대해서는 기록 부족으로 정확하게 추정이 불가능하지만 당시 양란 이후 조선은 동전을 적극적인 재정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왜전 수입에 대한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조선은 재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동전을 활용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a debate on the making coin and the role of imported Japanese coin, which are shown after two wars (兩亂). Coin has been understood as a medium appeared corresponding to commodity economy;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manufacture or the distribution of coin during the crisis situations such as war. Particularly, importing coin from Japan could be interpreted that Chosŏn has lower economic level than Japan; hence, this fact hasn’t even been acknowledged. However, premodern currency actuall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financial means because Chosŏn could supply urgent demand with currency under the crisis like war. Therefore, Chosŏn government discussed making coin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1592), and purchased complete product from Japan according to urgent financial needs after the Manchu war (1636). We cannot know exact scale of imported coin from Japan because it was not recorded exactly, but if we reckon a minimum value of it, it would be 5,000 sŏk of rice. Even though the scale was not that large, Chosŏn could resolve the issue of urgent financial problems through this; in other words, importing coin from Japan can be evaluated the debate on the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coin and importing coin from Japan as an active policy for overcoming its financial crisis after war.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倭錢, 주전책, 재정활용
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in Dutch, Japanese coin, Monetary Policy, Financial Utilization

  • 1. [기타] / 朝鮮王朝實錄
  • 2. [기타] / 承政院日記
  • 3. [기타] / 銅政便覽
  • 4. [기타] / 欽定大淸會典事例
  • 5. [기타] / 皇朝經世文編
  • 6. [단행본] 송찬식 / 1975 / 춘추문고 9 / 한국일보사
  • 7. [단행본] 원유한 / 1975 / 조선후기 화폐사 / 한국학연구원
  • 8. [단행본] 원유한 / 2008 / 조선후기 화폐사 / 혜안
  • 9. [단행본] 이정수 / 2006 / 조선후기의 화폐와 화폐량 / 경북대출판부
  • 10. [단행본] 富永牧太 / 1956 / 日蘭交涉史 / 養德社
  • 11. [단행본] Glyn Davis / 2002 / A History of Mone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 University of Wales Press
  • 12. [단행본] Oskar Nachod / 1897 / Die beziehungen der Niederländischen ostindschen kompagine zu Japan im siebzehnten jahrhundent / Leipzig, R. Friese
  • 13. [단행본] Richard Von Glahn / 1996 / Fountain of Fortune: Money and Monetary Policy in China, 1000~1700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4. [단행본] Suzuki Yasuko / 2012 / Japan-Netherlands Trade 1600~1800: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and Beyond / Trans Pacific Press
  • 15. [학위논문] 유현재 / 2014 / 조선후기 鑄錢정책과 財政활용
  • 16. [학위논문] Innes / 1980 / The Door ajar : Japan’s foreign trade in the seventeen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