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강학과 숭모의 공간인 서원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서원은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 궁중에 있던 서적의 편수처였던 여정전서원(麗正殿書院)과 집현전서원(集賢殿書院)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서원은 시대에 따라 장서소(藏書所)로, 또는 강학소(講學所) 형태로 이어져 오던 것이 송대에 이르러 강학(講學)과 사묘(祠廟)를 겸비한 서원의 형태로 발전하였는데, 강학과 숭모의 기능에 크게 기여한 인물은 주희(朱熹)였다. 특히 고려 말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전래 되고, 조선의 건국과 더불어 주자학이 건국이념으로 확립되어 널리 보급되면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주희를 흠모하여 그의 생활양식까지 본받고자 하였다. 주세붕(周世鵬)은 1543년 풍기군수 재직 중 안향을 기리기 위해 주희가 중수한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본 따 풍기군 순흥면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하였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서원의 효시이다. 주세붕의 뒤를 이어 서원 건립에 많은 공을 들인 인물은 이황(李滉)으로, 그는 최충(崔沖)·우탁(禹倬)·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 등 선정(先正)의 자취가 있고 향기가 뿌려져 있는 곳에 모두 서원을 건립해야 한다고 하면서, 제자들과 함께 서원 건립과 보급에 주력함으로써 서원 건립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서원의 난립과 서원전(書院田)의 확대에 따라 세수가 감소하고, 서원이 군역(軍役) 회피를 위한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붕당(朋黨)정치의 지방 거점이 되는 등 폐해가 심각하였다. 이에 따라 효종 이후 서원 설립에 대한 허가제를 비롯하여 학생 수 제한 등 여러 조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 후반 이후에 문중 서원들이 난립하게 되고, 그 폐해가 커짐에 따라 고종 8년(1871)에는 대원군에 의해 전국에 47개의 사액서원만 남기고 모두 훼철되기에 이르렀다.

키워드

서원, 강학, 숭모, 주희, 주세붕, 이황, 이이.

참고문헌(24)open

  1. [기타] / 畿輔通志

  2. [기타] / 訥隱集

  3. [기타] / 陶菴集

  4. [기타] / 栗谷全書

  5. [기타] / 渼湖集

  6. [기타] / 世宗實錄

  7. [기타] / 竹溪志

  8. [기타] / 哲宗實錄

  9. [기타] / 退溪集

  10. [기타] / 寒岡先生續集

  11. [단행본] 김호일 / 2000 / 한국의 향교 / 대원사

  12. [단행본] 손인수 / 1998 / 한국교육사연구 / 문음사

  13. [단행본] 이성무 / 1994 / 한국의 과거제도 / 집문당

  14. [단행본] 최완기 / 2006 / 한국의 서원 / 대원사

  15. [단행본] 최진옥 / 1998 / 조선시대 생원 진사 연구 / 집문당

  16. [단행본] 한기언 / 1963 / 한국교육사 / 박영사

  17. [단행본] 한영우 / 2010 / 다시 찾는 우리역사 / 경세원

  18. [학술지] 김인규 / 2010 / 향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 동양고전연구 (40) : 57 ~ 94

  19. [학술지] 김인규 / 2012 / 김원행의 학문과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 동방학 (22) : 175 ~ 204

  20. [학술지] 김춘식 / 2011 / 조선시대 서원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 한국행정사학지 (28) : 55 ~ 78

  21. [학술지] 김학권 / 2009 / 한국 書院의 기원과 발달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10 (2) : 215 ~ 228

  22. [학술지] 박종배 / 2010 / 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 / 한국학논총 33 : 43 ~ 73

  23. [학술지] 윤경호 / 2013 / 석실서원의 건립과 교육방법 / 퇴계학논총 (22) : 163 ~ 186

  24. [학위논문] 정진옥 / 2011 / 학규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서원의 교육기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