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에서는 원나라 선종과 고려 불교계의 교류를 살펴보고, 이러한 교류가 나옹의 사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원나라 선종의 국가주의적 경향이 나옹의 사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원나라 선종은 국가주의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런 점이 나옹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그래서 『나옹화상어록』에 국가주의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3장에서는 우선 원나라 임제종 승려와 고려 불교계의 교류에 대해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알아보고, 그 다음에 몽산(蒙山)과 철산(鐵山)의 수행담이 나옹의 「공부십절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검토한다. 몽산은 세 차례의 깨달음을 통해서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고, 몽산의 제자 철산은 처음에 공안을 깨닫고 나서 그 다음에는 선정을 닦아서 남아있는 습기를 제거해서 마침내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나옹의 「공부십절목」은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십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첫 번째 단계, 일곱 번째 단계, 열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나옹의 「공부십절목」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깨달음을 얻고 그것이 점차로 익어가면서 일곱 번째 단계에서 자신의 본래면목을 깨닫고, 열 번째 단계에서 생사에 자유로운 경지를 깨닫는다는 것이다. 몽산과 철산의 수행담은 완전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자세한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고, 이러한 마음자세가 나옹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쳐서 더 자세하게 십 단계로 설명한 것이 나옹의 「공부십절목」이라고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몽산화상보설』이 나옹의 「보설」에 영향을 미쳤음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몽산의 ‘삼보’, ‘자기삼보’의 내용이 나옹의 「보설」에도 나타나며, 나아가 표현에도 상당히 유사한 것이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키워드

국가주의적 경향, 몽산, 철산, 나옹의 「공부십절목」, 삼보, 자기삼보, 「보설」

참고문헌(24)open

  1. [기타] / 나옹화상어록 (한국불교전서6권)

  2. [기타] / 몽산화상보설 (보조사상19집)

  3. [기타] / 선관책진 (대정장48권)

  4. [단행본] 운서주굉 / 2013 / 선관책진 / 불광출판사

  5. [단행본] 이병욱 / 2002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혜안

  6. [단행본] 인경 / 2000 / 몽산덕이와 고려후기 선사상연구 / 불일출판사

  7. [단행본] 염중섭 / 2017 / 한국 선불교의 원류 지공과 나옹 연구 / 불광출판사

  8. [단행본] 허흥식 / 1997 / 고려불교사연구 / 일조각

  9. [학술지] 강호선 / 2001 / 충렬․충선왕대 임제종 수용과 고려불교의 변화 / 한국사론 46

  10. [학위논문] 강호선 / 2011 / 고려말 나옹혜근 연구

  11. [학술지] 강호선 / 2012 / 고려말 禪僧의 入元遊歷과 元 淸規의 수용 / 한국사상사학 (40) : 29 ~ 66

  12. [학술지] 강호선 / 2014 / 조선전기 蒙山和尙六道普說 간행의 배경과 의미 / 동국사학 (56) : 93 ~ 129

  13. [학술지] 김영두 / 2008 / 懶翁慧勤의 생애와 선사상 / 禪學(선학) (20) : 189 ~ 224

  14. [학술지] 남동신 / 2007 / 여말선초기 懶翁 현창 운동 / 한국사연구 (139) : 161 ~ 203

  15. [학술지] 신규탁 / 2008 / 나옹혜근의 선사상에 대한 철학적 분석 / 대각사상 (11) : 71 ~ 98

  16. [학술지] 이병욱 / 1997 / 나옹선사상에 대한 체계적 이해 / 보조사상 (10) : 161 ~ 193

  17. [학술지] 이창구 / 2002 / 懶翁 禪의 실천체계 / 범한철학 (26) : 5 ~ 28

  18. [학위논문] 이철헌 / 1996 / 나옹혜근의 연구

  19. [학술지] 정영식 / 2014 / 懶翁惠勤의 강남유학에서의 행적과 그 영향 / 禪學(선학) (37) : 31 ~ 58

  20. [학술지] 조명제 / 1999 / 고려 후기 몽산법어의 수용과 간화선의 전개 / 보조사상 (12) : 233 ~ 261

  21. [학술지] 조명제 / 2005 / 고려말 元代 간화선 수용과 그 사상적 영향 / 보조사상 (23) : 137 ~ 178

  22. [학술지] 최연식 / 2003 / 몽산화상 보설의 내용과 고려후기불교계와의 관계 / 보조사상 (19) : 5 ~ 206

  23. [학술지] 허흥식 / 2002 / 몽산덕이의 보설과 나옹보설과의 관계 / 서지학보 (26)

  24. [학술지] 황인규 / 2006 / 고려후기 선종산문과 원나라 선풍 / 중앙사론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