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산림청의 정원에 대한 정책 지원 확대로 다양한 규모의 정원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 대상의 정원경관에 대한 시각적 평가와 정원에 대한 경관적 측면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경관연구에서는 경관이미지의 시각적 평가도구로 형용사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형용사를 활용한 경관평가를 진행하는 경우, 경관의 특성을 반영한 형용사 목록선정과 경관분류별 경관평가가 중요시된다. 그러나 국내의 정원이미지 형용사 평가연구는 기존 문헌연구에서 활용한 형용사 목록을 사용함으로써 정원경관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의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정원경관이미지의 대표 형용사를 선정하고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원식물의 시각적 특성인 색채, 질감, 형태와 관련한 형용사를 목록화하고, 설문조사 및 요인분석을 통해 형용사를 분류하였다. 연구과정은 자료수집, 형용사 적합성 평가, 정원형용사 분류의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로 정원이미지 수집 및 선정, 형용사 목록화를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로 조경전공자를 대상으로 어의구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활용하여 1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형용사 적합성 평가 후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3단계로 조경전공자를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정원형용사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식물의 시각적 특성에 따른 정원형용사는 총 16쌍이 선정되었다. 둘째, 정원의 대표 형용사는 ‘식물소재의 색채․형태적 특성’, ‘식재계획의 형태적 특성’, ‘식재계획의 매력성’, ‘식재밀도의 적정성’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정원경관의 시각적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물의 조합으로 구성된 정원의 시각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정원경관, 형용사, 어의구별척도법, 요인분석, 정원식물, 식재계획

참고문헌(63)open

  1. [학위논문] 고수경 / 2002 / 방모 직물의 구조 및 표면 특성에 따른 질감 이미지 분석

  2. [학위논문] 곽영길 / 2017 / 전원주택 정원의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연구

  3. [학위논문] 구지연 / 2013 / 도심 상업가로경관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을 사례로

  4. [보고서] 국립수목원 / 2021 / 정원유형 도출을 위한 국내 정원 스타일 객관화 연구 보고서

  5. [학위논문] 김보미 / 2015 / 감성어휘를 활용한 농촌관광이미지 측정척도 개발

  6. [학위논문] 김서현 / 2017 / 수목원 유형별 이용자 선호 이미지 분석: 물향기수목원․아침고요수목원․한택식물원을 대상으로

  7. [학술지] 김신원 / 2007 / 주상복합아파트 외부공간 조형물에 대한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 (3) : 146 ~ 156

  8. [학위논문] 김은진 / 2014 / 도심 옥상정원의 물리적 구성요소와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사례로

  9. [학술지] 김지애 / 2009 / 병원 녹지 경관의 치유 효과에관한 연구 : 서울 아산병원 옥상 정원을 중심으로 / 한국경관학회지 1 (1) : 60 ~ 73

  10. [학위논문] 김현정 / 2020 / 소규모 도시 공간재생 프로젝트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 72시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11. [단행본] 농촌진흥청 / 2012 / 정원가꾸기의 사회경제학

  12. [학술지] 박연선 / 2015 /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색채감성형용사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16 (2) : 177 ~ 188

  13. [학술지] 박은영 / 2010 / 영국정원에서의 색상중심의 재식설계방법 - 먼스태드 우드, 시싱허스트, 그레이트 딕스터, 히드콧 매너를 중심으로 -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 (1) : 102 ~ 112

  14. [학술지] 박은영 / 2004 / Gertrude Jekyll의 재식설계 방법론의 해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 (3) : 33 ~ 44

  15. [학위논문] 박주영 / 2017 / 시민가드너 교육 참가자의 도시정원 역할 인식에 관한연구

  16. [학술지] 반영운 / 2012 / 경관영역 및 공간유형별 대표 경관형용사 선정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 (2) : 95 ~ 101

  17. [단행본] 방광자 / 2005 / 지피식물학 / 도서출판 조경

  18. [학위논문] 배현주 / 2003 / 남성 정장용 양모 직물의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19. [학위논문] 백선경 / 2008 /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시각정보 요소별 감성공간 생성

  20. [보고서] 산림청 / 2021 / 제2차 정원진흥 기본계획(2021-2025)

  21. [학술지] 서주환 / 2008 / 옥외 화훼장식물 유형별 이미지와 시각적 선호성 분석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 (3) : 11 ~ 26

  22. [학술지] 손관화 / 2012 / 정원 디자인을 위한 초화류 선정 체크리스트 제시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 (1) : 47 ~ 60

  23. [학술지] 손은정 / 2014 / 백화점 옥상정원의 브랜드 이미지 일치도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 (1) : 837 ~ 849

  24. [학술지] 수능비 / 2021 / 수원시 월화원을 통해 본 중국 전통정원의 재현 특성 / 휴양및경관연구 15 (1) : 77 ~ 86

  25. [학술지] 신민지 / 2015 / 조망거리에 따른 농촌경관의 농촌다움 평가에 관한 연구 / 농촌계획 21 (2) : 63 ~ 77

  26. [학위논문] 신지훈 / 2003 / 도시 경관계획 지표 연구: 건축물 규모 및 배치 지표를 중심으로

  27. [학술지] 신지훈 / 2014 / 천안시 구도심의 경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 상업가로경관을 중심으로 / 한국경관학회지 6 (1) : 26 ~ 38

  28. [학술지] 신현철 / 2013 / 업무공간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선호도 분석 / 휴양및경관연구 7 (2) : 43 ~ 52

  29. [학술지] 안계복 / 2014 /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 (3) : 10 ~ 20

  30. [학술지] 여화선 / 2011 / 화훼디자인 작품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선호도 분석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 (2) : 287 ~ 297

  31. [학술지] 염혜리 / 2017 / 정원 박람회 출품작 분석을 통한 정원 유형 구분 연구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36 (36) : 39 ~ 58

  32. [학술지] 위재경 / 2020 / 골프코스 주요 공간의 초화류 식재기법 및 식물종 선정 /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 (1) : 48 ~ 64

  33. [학술지] 류윤진 / 2015 /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0 (5) : 113 ~ 124

  34. [학술지] 유준완 / 2019 / 농촌 경관관리 개선을 위한 이미지 분석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3 (3) : 21 ~ 29

  35. [학술지] 윤덕규 / 2019 / 도시 화훼장식물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 고양 꽃 박람회장 주변 지역 주민 대상 - /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5 (2) : 82 ~ 92

  36. [학술지] 윤덕규 / 2020 / 도시 화훼경관 유형화에 관한 연구- 문헌 및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 한국조경학회지 48 (5) : 42 ~ 58

  37. [학술지] 윤상준 / 2015 / 한·중·일 궁궐정원의 경관 구성 비교 연구 - 창덕궁(昌德宮), 이화원(頤和園), 선동어소(仙洞御所)를 중심으로 -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 (4) : 52 ~ 64

  38. [단행본] 윤평섭 / 2008 / 화훼원예 / 교학사

  39. [학술지] 윤호선 / 2012 / 경관평가에 적합한 사진유형 연구 / 한국경관학회지 4 (1) : 1 ~ 15

  40. [학위논문] 이성희 / 2012 / 식공간 화훼디자인의 형태와 색채 요소에 따른 시각적 감성 이미지 연구

  41. [학술지] 이우성 / 2017 / 경관형용사를 활용한 생태축 복원사업의 경관변화요인 분석 -정면경관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 (1) : 97 ~ 115

  42. [학술지] 이원호 / 2013 /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 (9) : 429 ~ 439

  43. [학술지] 이임정 / 2016 / 경관계획의 질적 향상을 위한 경관시뮬레이션 조망점 선정의 지표설정 및 중요도 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 (10) : 709 ~ 718

  44. [학술지] 이재흥 / 2020 / 건물 외벽 수직정원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분석 연구 / 휴양및경관연구 14 (4) : 63 ~ 70

  45. [학위논문] 이종숙 / 2014 / 화훼디자인 작품에 나타난 감성언어와 사계절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46. [학술지] 이주형 / 2011 / 주택정원의 공간 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분석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4 (5) : 315 ~ 329

  47. [학술지] 이행렬 / 2021 / 한국 전통사찰의 정원 문화경관 연구 – 화엄사를 중심으로 - /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7 (3) : 174 ~ 188

  48. [학술지] 이혁재 / 2018 / 외부공간으로써의 옥상정원의 경관적 의미에 관한 연구 /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4 (1) : 54 ~ 62

  49. [학술지] 장철규 / 2011 / 도시개발사업의 경관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체계 구축 및 적용 / 한국조경학회지 39 (3) : 39 ~ 50

  50. [학술지] 정나라 / 2015 / 정원 조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 분석 /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 (1) : 67 ~ 76

  51. [학술지] 조우현 / 2013 / 북한산 둘레길 경관선호도와 이용만족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조경학회지 41 (1) : 1 ~ 11

  52. [학술대회] 조현길 / 2009 / 녹지기능 증진을 위한 계획 전략 연구 / 한국조경학회 09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14 ~ 17

  53. [학술대회] 주신하 / 2003 /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연구 / 한국조경학회 03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65 ~ 68

  54. [학술지] 진상철 / 2015 /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 (4) : 26 ~ 37

  55. [학술지] 채주석 / 2016 / 제품디자인 선호요인 분석을 위한 대표감성어휘 추출에 관한 연구; 형태, 색채, 질감을 중심으로 / 산업디자인학연구 10 (4) : 31 ~ 38

  56. [학술지] 탁영란 / 2009 / 경관 선호가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 전통정원 경관을 대상으로 -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 (2) : 80 ~ 88

  57. [학위논문] 한명흠 / 2011 / 감성어휘를 통한 공간 환경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58. [학술지] 한명흠 / 2010 / 공간환경의 감성평가척도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 (4) : 3 ~ 10

  59. [학술지] 홍광표 / 2017 / 프랑스 수도원의 회랑식 정원에서 나타나는 형식과 내용 /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3 (2) : 69 ~ 75

  60. [보고서] 환경부 / 2000 / 경관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61. [단행본] Alexander, R. / 2009 / The Essential Design Workbook / Timber Press

  62. [단행본] Noel, K. / 2006 / The Ultimate Planting Guide / 시그마프레스

  63. [단행본] Nick, R. / 2018 / The Planting Design Handbook(Hardcover) / 도서출판 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