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형법 텍스트를 대상으로 텍스트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 텍스트유형, 사용된 어휘와 문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론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률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편, 장, 절, 조, 항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형법 제1편 총칙은 형법의 적용 범위, 죄의 성립, 죄에 따른 형벌, 형벌 기간 순으로 점점 상세한 내용이 전개되는 상세화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제2편 각칙은 죄의 종류 42개가 동등한 지위로 병렬 구조를 이루고 있다. 둘째, 법률 텍스트는 상위 제목과 하위 제목, 조문의 제목과 내용의 응집성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정확한 어휘를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형법 텍스트를 분석해 보았을 때 어휘적보수성으로 응집성을 해치는 예들이 발견되었다. 셋째, 법률 텍스트는 1차적으로 제보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형법 텍스트는 이 외에도 책무 기능과 호소 기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4장에서는 주로 일반적 용법과 달리 사용되는 어휘와 문법 현상을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현상이 어떤 오해를 불러일으키는지 설명하였다. 만약 이러한 용법이 법률 텍스트에 꼭 필요한 것이라면 정확한 풀이와 용법을 정하여 혼동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형법 텍스트를 대상으로 법률 텍스트의 텍스트언어학적 특징을 일부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조사, 분석한 내용은 다른 법률 텍스트와 공통적인 것도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앞으로 더 많은 법률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공통적 특징과 개별적 특징을 밝히도록 하겠다.

키워드

형법, 텍스트언어학, 거시 구조, 미시 구조, 텍스트 유형, 상세화 구조, 병렬구조, 제보 기능, 책무 기능, 호소 기능

참고문헌(19)open

  1. [학술지] 고성환 / 2010 / 법조문의 텍스트 분석 / 텍스트언어학 29 : 25 ~ 50

  2. [단행본] 고영근 / 2011 / 텍스트과학 / 집문당

  3. [학술지] 김광해 / 2000 / 우리나라 판결문의 텍스트성에 대한 연구 / 텍스트언어학 8 : 271 ~ 297

  4. [학술지] 김동욱 / 2004 / 한국 민법조문의 문법표현에 나타난 일본어의 영향 / 일어일문학연구 51 (2) : 411 ~ 430

  5. [학술지] 김동욱 / 2013 / 한국 형법 조문의 ‘사람’ 에 나타난 일본어 ‘ひと(人)’의 영향 및 개선 방안 / 日本學硏究 38 : 301 ~ 318

  6. [단행본] 김문오 / 2002 / 법령문의 국어학적 검토 / 국립국어연구원

  7. [단행본] 문숙영 / 2006 / 한국어의 시제 범주 / 태학사

  8. [학술지] 박갑수 / 1997 / 법률 문장 순화되어야 한다: 민사소송법을 중심으로 / 새국어생활 7 (4) : 223 ~ 236

  9. [단행본] 박영도 / 2001 / 법률 문화 및 법률 용어에 관한 국민 여론 조사 / 한국법제연구원

  10. [단행본] 법무부 / 2007 / 日本刑法

  11. [기타] 법제처 / 2014 / 알기 쉽게 새로 쓴 형법 설명자료집

  12. [학술지] 송민 / 1979 / 언어의 접촉과 간섭 유형에 대하여 -현대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 논문집 10 : 29 ~ 62

  13. [학술지] 신각철 / 1995 / 법령에서 쓰이고 있는 일본식 표기 용어의 정비 / 새국어생활 5 (2) : 108 ~ 125

  14. [단행본] 양명희 / 2002 / 문법과 텍스트 / 서울대학교출판부 : 59 ~ 784

  15. [학술지] 오경순 / 2011 / 일한 번역과 번역투 / 인간과 문화 연구 19 : 87 ~ 113

  16. [단행본] 이재상 / 2015 / 형법총론(제8판) / 박영사

  17. [학술지] 장소원 / 2009 / 법률 텍스트 문장의 문법성 / 텍스트언어학 27 : 1 ~ 29

  18. [단행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2004 /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 박이정

  19. [인터넷자료] /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