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동학농민혁명담을 중심으로 금기된 역사체험담의 기록성 문제를 논한 것이다. 분석 대상은 동학농민혁명유족 증언록 중 1, 2차에 걸쳐 중복적으로 이루어진 6편이다. 이들 자료의 경우 1차 증언에서도 기록을 근거로 많이 활용했다. 오랜 금기로 인해 부족한 구술 자산의 보완을 위해 기록에 많이 의존한 것이다. 그런데 2차에 와서는 의도적으로 관련 서사를 재배치하고 과장한 결과 서사 자체가 기록성을 강하게 띄었다고 할 수 있다. 기록의 영향이 내면화된 것이다. 그 결과 전투담이 일목요연하게 서사되거나, 참여자가 동학영웅으로 형상화되었을 뿐 아니라 관련 기록물이 구술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 동학농민혁명담의 기록성은 그것이 금기된 역사체험담인 데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금기로 인해 동학농민혁명담이 오랫동안 전승에 제한을 받아오면서 공백으로 남아 있던 참여자의 행적을 재구하는 과정에서 기록에 크게 의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키워드

금기된 역사체험담, 기록성, 동학농민혁명담, 동학농민혁명유족 증언록, 내면화, 전투담, 참여자, 동학영웅, 전승

참고문헌(15)open

  1. [학술대회] 김영희 / 2014 / ‘구술’과 ‘기록’의 차이와 교섭을 둘러싼 ‘한국문학사’의 오해 / 2014년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 [학술지] La Shure Charles / 2014 /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한 영어권 학자들의 초기 탐구에 대한 소고 / 구비문학연구 (38) : 29 ~ 63

  3. [단행본] 동학농민유족회 / 2009 / 다시 피는 녹두꽃 (동학농민혁명 유족들이 전하는 고통과 자부심의 영상증언록)

  4. [단행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 2010 / 다시 피는 녹두꽃 (동학농민혁명 구전자료 영상증언록) 1~3

  5. [학술지] 박맹수 / 2002 / 『일사(日史)』와 강진ㆍ장흥 지역 동학농민혁명 / 역사학연구 19 : 353 ~ 368

  6. [학술지] 박상란 / 2017 / 생존 희생자에 대한 기억 서사로서의 ‘신이한 동물담’ : 동학농민혁명유족 증언록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 (55) : 161 ~ 198

  7. [학술지] 송효섭 / 2014 / 구술/기술의 패러다임과 그 담화적 실현 / 구비문학연구 (38) : 1 ~ 27

  8. [단행본] 역사문제연구소 / 1994 / 다시 피는 녹두꽃 / 역사비평사

  9. [단행본] 역사문제연구소 / 1997 / 전봉준과 그의 동지들 / 역사비평사

  10. [학술지] 우윤 / 1995 / 장흥·강진지역의 농민전쟁 전개와 역사적 성격 / 호남문화연구 23

  11. [단행본] 윤택림 / 2010 /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 아르케

  12. [단행본] 이이화 / 2004 / 대접주 김인배, 동학농민혁명의 선두에 서다 / 푸른역사

  13. [학술지] 정성미 / 2016 /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현황과 기록학적 분석 시론 / 기록학연구 (50) : 231 ~ 271

  14. [학술지] 표영삼 / 2000 / 장흥지역 동학혁명연구 / 동학연구 6

  15. [단행본] 한국학문헌연구소 / 1992 / 오지영전집, 상 / 아세아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