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공유경제가 새로운 경제활동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세계의 관심을 얻기 시작하고, 점차 많은 사람들이 공유경제에 참여하게 되면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유촉진사업비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도구변수 프로빗 모형으로 단체 및 기업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한 결과 공유촉진사업비 지원금액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생존확률 또한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서울시에서 민간주도형 공유경제를 목표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만큼 이는 정책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키워드

공유경제, 서울시 공유촉진사업비 지원사업, 도구변수 프로빗 모형

참고문헌(13)open

  1. [보고서] 김민정 / 2016 / 공유경제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기대효과와 우려요인 및 정책적 함의

  2. [보고서] 김민창 / 2018 / 공유경제 관련 국내외 규제현황 및 시사점

  3. [보고서] 김점산 / 2014 /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미래와 성공조건 : 1 ~ 25

  4. [보고서] 나승권 / 2017 / 국제사회의 공유경제 추진현황과 시사점

  5. [단행본] 박건철 / 2016 / 도시・사회혁신을 위한 디지털 공유경제 / 서울디지털재단

  6. [보고서] 반정화 / 2015 / 서울시 공유경제 활성화방안

  7. [보고서] 조현승 / 2014 / 공유경제 활성화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

  8. [학술지] Botsman, R. / 2010 / Beyond Zipcar: Collaborative Consumption / Harvard Business Review

  9. [단행본] Botsman, R. / 2011 / What’s Mine is Yours: 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 Harper Collins Publishers

  10. [학술지] Bardhi, F. / 2012 / Access-Based Consumption: The Case of Car Sharing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 (4) : 881 ~ 898

  11. [학술지] Hamari, J. / 2016 / The Sharing Economy: Why People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7 (9) : 2047 ~ 2059

  12. [단행본] Lessig, L. / 2008 / Remix: Making Art and Commerce Thrive in the Hybrid Economy / The Penguin Press

  13. [학술지] Ranjbari. M. / 2018 / Conceptualizing the Sharing Economy Through Present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 Sustainability 10 (7) : 2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