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형식의미론 전통에서 빈도부사는 양화사의 한 부류로, 빈도부사를 포함한 문장은 연산자, 제약부, 작용역의 의미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이론적 설명은 빈도부사를 포함한 문장의 의미와 관련하여 매우 직관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다만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빈도부사의 제약부가 언어적으로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론적으로 가정된 이러한 제약부의 존재를 직접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는 제약부 한정이라는 빈도부사의 기본 의미 특성과 관련하여 빈도부사의 범주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빈도부사에는 고도로 한정적인 제약부를 필요로 하는 강양화적 빈도부사와 그렇지 않은 약양화적 빈도부사의 두 하위부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항상, 대개’ 등은 전자의 경우에 해당하여 사건들의 집합으로 주어지는 제약부를 요구하며 문장에서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만이 유일한 양화의 배경 영역으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그 쓰임이 어색해진다.
이러한 이론상의 가정은 실험을 통해 다시금 확인된다. 비가시적인 제약부 한정 양상은 문장에서의 작용역 중의성 해소 양상을 매개로 논의된다. 빈도부사와 부정어가 함께 포함된 문장에서는 이 두 연산자 간의 작용역 다툼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들 중 무엇이 더 넓은 작용역을 갖는지로부터 빈도부사가 제약부 한정과 관련하여 가지는 의미 특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dverbs of frequency in relation to their restriction in the quantificational domain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This study was inspired by Paik (2019) who closely explored the semantic structure of Korean adverbs of frequency. This study’s experimental methods were based on those used by Brasoveanu and Dotlačil (2015) who indirectly confirmed the lex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quantifier “each” when the speaker uses the working scope-taking strategy with other semantic operators in the same sentence.
This study’s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wo classes of frequency adverbs in Korean. The first class is strong quantifiers, which require a specific set of events as the restriction of quantification, such as “항상 (always)” and “대개 (mostly).” The second class is weak quantifiers, which do not require a proportional interpretation, such as “자주 (often)” and “가끔 (sometimes).” This categorization is a product of the scope-taking strategy between adverbs of frequency and negators.

목차

벼리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실험 가설
4. 실험 설계와 실행
5. 결과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710-00003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