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ㅔ, ㅐ/는 소리가 이어나는 대화나 단락 읽기 환경에서는 변별되지 않고 간접 질문이나 낱말 읽기에서 소수의 제보자의 발음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하지만 격식적인 상황에서 두 음소를 변별하고자 하는 교육을 받은 제보자의 의도적인 노력이 반영된 부분이 있으며 공무원과 상업, 여성에게 보이는 현상이다. /ㅡ, ㅓ/는 화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모든 발화 상황에서 변별된다. 표준발음을 주도하는 여성의 발음에서 변별이 높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더 확산될 것이다. /ㄺ, ㄼ/ 겹받침이 서부 지역에서 노년층과 반대로 /ㄹ/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 지역어가 젊은 층으로 갈수록 전이 지역 특징을 상실하고 언어 현상이 점점 공통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신의 중심에 고졸 상업 화자가 있고 앞으로도 확산될 것으로 본다. 그러함에도 /ㄹ/을 탈락하는 비율이 동부보다 서부에서 높다는 것은 지역적인 특징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이상의 음운 현상에서 학력 기준 고졸, 직업 기준 상업, 성별 기준 여성이 언어 사용에 민감하고 개신의 중심에 있다.

This study analyzed phonological phenomena social dialec-tologically expressed by speakers in their 40s living in Haman County, Gyeongsangnamdo Province, South Korea. They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social factors.
A minority of public officials and those in commercial occupations exhibited differences in their pronunciation of / ㅔ,ㅐ/ when speaking carefully and reading word lists. However, this result was a product of the intentional efforts they made to distinguish between the phonemes given the formality of the situation and due to the influence of education. The pronunciation of /ㅡ,ㅓ/ varied by speaker, but speakers distinguished between them in every environment and wome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discrimination in their pronunciation, so it is expected to spread further.
Pronunciation of the paired final consonants /ㄺ, ㄼ/ in the western region of Haman County is distinctly changing in a way that is preserving the pronunciation of /ㄹ/, which is the opposite of the nationwide trend for this age group. This phenomena is manifested in the Haman County accents of young people losing the transition zone, facilitating the spread of linguistic phenomena throughout the population. The unification in the pronunciation of /ㄹ/ was influenced by the countrywide trend which was led by those in commercial occupations and high school graduates. It is likely that this trend will spread further. Nonetheless, the higher rate at which speakers in the western region of Haman County drop /ㄹ/ than speakers in the eastern region suggests that local characteristics have not completely disappeared.

목차

벼리
1. 머리말
2. 제보자 선정과 조사 방법
3. 음운 현상에 대한 사회방언학적 분석
4. 마무리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710-000888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