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3·1운동에서 전도부인의 역할과 의의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Bible Women in the 3.1 Movement

여성과 역사
약어 : -
2019 no.31, pp.101 - 132
DOI : 10.22511/women..31.201912.101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한국여성사학회
102 회 열람

3.1운동은 당시 일제의 무단통치로 인해 각종 제한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다. 이에 대해 인적기반으로서의 연락책과 주도적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여성 지도자로서 전도부인을 조명하였다. 기존의 전도부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의 경우 교회에서 전도자의 역할이나 교회의 부흥에 기여한 점에만 천착하고 있다. 전도부인이 3.1운동 속에서의 역할들이 분명하게 있었으며 그들의 활동이 이후 독립운동의 한 축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남성 독립운동가들의 부수적 역할로 기술될 뿐 집중적으로 조명되지 못하였다. 전도부인은 교회를 넘어 학교와 여성 단체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3.1운동 이전 이미 형성되어있던 교회와 학교, 그리고 여성 단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락책 뿐 아니라 지도자로서의 역할까지 하였을 만큼 자주적인 신여성이었다. 이후 3.1운동의 경험을 살려 여성 계몽운동과 독립운동에서 적극적으로 활약하게 되는데, 이것은 여성사 뿐 아니라 민족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전도부인의 형성과 3.1운동에서의 전도부인의 역할과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great affair. It was an extremely rare occurrence that a national movement could occur so rapidly in a short amount of time despite the existence of diverse forms of restriction and suppression due to the military rule of the Japanese Empire. At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key roles and person-based contacts. While several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Bible women, most inquire into their roles as missionaries in church or in their contributions to church revivals. It is a shame that, even though Bible women had clear roles with regard to independence movements, especially the March 1st movement, these were simply accompanying descriptions and not illuminated with focus. Christian women represented by Bible women were active through church, school, and women’s organizations. Afterwards, they became active in enlightenment movemen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is has greatly important meaning, not only in historical aspects but also in aspects of Christian education as well. This article attempted to observe the formation of Bible women along with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Bible Women in the March 1st Movement.

전도부인, 3.1운동, 근대여성, 여성독립운동, 여학교, 여성단체
Bible Women, 3.1 Movement, Modern Age Women, Women Independence movements, Girls’ School, Women’s Organization

  • 1. [단행본] 경기도향토사연구협의회 / 2008 / 수원지역 여성과 3.1운동 / 경기도 가족여성정책국 가족여성정책과
  • 2.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 1970 / 독립운동사 제2권(상) /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영위원회
  • 3. [단행본] 박용규 / 2016 / 한국기독교회사Ⅰ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 4. [단행본] 박용규 / 2016 / 한국기독교회사Ⅱ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 5. [단행본] 여성동아편집부 / 1971 / 여성동아 1971년 3월호 별책부록 / 동아일보사
  • 6. [단행본] 이덕주 / 2013 / 이덕주 교수가 쉽게 쓴 한국교회 이야기 / 신앙과 지성사
  • 7. [단행본] 이덕주 / 1991 / 한국감리교 여선교회의 역사 / 기독교 대한감리회 여선교회 전국연합회
  • 8. [단행본] 이덕주 / 2007 / 한국교회 처음 여성들 / 홍성사
  • 9. [단행본] 장성진 / 2008 / 한국교회의 잊혀진 이야기 / 한국학술정보
  • 10. [단행본] 정석기 / 1995 / 한국기독교 여성인물사 / 쿰란출판사
  • 11. [단행본] 주선애 / 1979 / 장로교 여성사 / 혜선문화사
  • 12. [단행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2000 / 한국 기독교의 역사Ⅱ / 기독교문사
  • 13. [단행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 1999 / 자료총서 제25집 - 한국교회 전도부인자료집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14. [학술지] 강영심 / 2009 / 어윤희(1880~1961)의 생애와 독립운동 / 한국문화연구 / 17 : 255 ~ kci
  • 15. [학위논문] 김경한 / 2014 / 한국 성결교회 전도부인의 활동과 복음전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16. [학위논문] 김수경 / 2004 / 전도부인이 초기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 연구
  • 17. [학술지] 김희자 / 2006 / 초기 장로교회에 있어서 전도부인(Bible Women)의 역할 / 총신대논총 / 26S : 269 ~
  • 18. [학위논문] 박옥란 / 2015 / 기독교여성지도자 채애요라(채혜수)의 삶과 신앙에 대한 선교적 연구
  • 19. [학술지] 박용옥 / 2000 / 3.1운동에서의 여성 역할 / 아시아문화 / 15 : 25 ~
  • 20. [단행본] 소현숙 / 2019 /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회의:3.1운동 10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136 ~
  • 21. [학술지] 양미강 / 1997 / 참여와 배제의 관점에서 본 전도부인에 관한 연구-1910년∼1930년대를 중심으로 / 한국기독교와 역사 / 6 : 139 ~
  • 22. [학위논문] 오철상 / 2011 / 개신교 초기 전도부인에 대한 연구 : 1884-1934
  • 23. [학술지] 윤정란 / 2005 / 황애덕과 대한애국부인회 / 숭실사학 / 22 : 93 ~
  • 24. [학술지] 윤정란 / 2009 / 강원지역 기독교 여성교육사업과 3.1운동 / 여성과 역사 (10) : 71 ~ 10 kci
  • 25. [단행본] 윤혜원 / 1987 / 한국 근대 여성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 113 ~
  • 26. [학술지] 이호재 / 1983 / 개신교 선교와 한국여성개화 / 한국기독교교육논총 / 1 : 191 ~
  • 27. [학술지] 임인재 / 2015 / 1895~1910년 평안도 사립학교 설립 과정과 주체 / 사학연구 (120) : 75 ~ 120 kci
  • 28. [학술지] 조선혜 / 2013 / 노블 부인(Mattie Wilcox Noble)의 선교활동과 사회관계망 / 한국기독교와 역사 (39) : 33 ~ 39 kci
  • 29. [학술지] 최기영 / 1993 / 韓末서울 소재 私立學校의 敎育規模에 관한 一考察 / 韓國學報 / 19 : 24 ~
  • 30. [기타] 황애덕 / 1946 / 3.1운동과 여성의 활약 / 신천지 : 142 ~
  • 31. [학위논문] 황인철 / 2014 / 메리 스크랜튼의 선교활동과 그와 함께한 전도부인에 관한 연구
  • 32. [학위논문] 허연숙 / 2006 / 초기 감리교회 전도부인의 활동과 역할, 1885-1935
  • 33. [인터넷자료] / 기독교대한감리회 역사정보자료실